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라봉 무농약재배 최경석씨 〈남제주 대정〉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21 09:44:06      ·조회수 : 3,601     

한라봉 무농약재배 최경석씨 〈남제주 대정〉

직접 만든 유산균·생선아미노액 시기별 농도 조절해 월 1회 살포
“〈한라봉〉은 3년째까지는 물만 줘도 큰다고 합니다. 그 이후가 문제지요. 열매가 맺히고 나면 대부분의 양분이 열매쪽으로 몰리고 잎과 줄기로는 잘 가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열매가 크고 당도가 높습니다만 조금만 관리를 잘못해줘도 잎과 줄기, 열매 사이의 균형이 깨지고 품질이 떨어지게 됩니다.”

제주 남제주군에서 2,200평 〈한라봉〉 농사를 무농약으로 짓고 있는 최경석씨(대정읍 안성리)는 생리적으로 민감한 〈한라봉〉을 잘 달래주기 위해 여러 가지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M16A 바이러스 무독묘를 구해 심었고, 과원 바닥에는 매풀을 깔아 초생재배를 하고 있다. 올해는 들묵새를 도입할 예정이다. 정밀한 양분관리를 위해 토양검정 결과에 맞춰 점적관주를 하고 있다. 퇴비로 골분 등을 넣어줬고 자가제조한 유산균과 생선아미노액을 주기적으로 살포한다.

효소는 최씨가 가장 중요시하는 관리방법이다. 효소를 한달에 한번씩 살포하는데 꽃이 필 때까지는 5,000배로 희석해 주다가 이후 1만배로 농도를 낮춰 준다.

열매 비대기와 수확기 때는 다시 5,000배로 농도를 높여 원활한 성장과 품질 향상을 돕는다. 효소는 그 자체가 양분이라기보다는 다른 양분과 생리작용을 활성화하는 작용을 한다.

생육이 좋아지다 보니 당도가 높아지고 중량이 늘어나며 껍질들림열매(부피과) 발생이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최씨는 그러나 유기농 재배는 고사하고 있다. 고품질 생산을 위해서는 요오드·붕소·망간 등 미량요소를 시기별로 적당량 넣어줘야 하는데 천연자재로는 어렵고 화학비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최씨는 “품질이 좋지 않은 〈한라봉〉이 많이 출하돼 문제가 되고 있는데 돈을 조금이라도 더 벌겠다는 욕심에 익지도 않은 것을 미리 따고 제대로 예비건조를 시키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나무를 건강하게 키우고 무리한 작업을 하지 않는 것이 기본”이라고 말했다. ☎016-691-0823.

농민신문 4/21 남제주=윤덕한 기자 dkny@nongmin.com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29 월요포커스]긴 설연휴 민심 들여다보니 기획정보과 2015-02-23 3521
1528 비상품 감귤 유통 악순환, 언제쯤 끝날까 기획정보과 2015-02-17 3920
1527 “설 다가오는데…” 과일 판매줄어 한숨 기획정보과 2015-02-13 3968
1526 감귤 택배 직거래가 불법?…현실 맞지 않은 ‘감귤조례’ 기획정보과 2015-02-12 3779
1525 설 연휴 앞두고 과일 값 폭락, 사과-배-감귤까지 다 떨어졌다 기획정보과 2015-02-12 3989
1524 [포토]"올 설 선물로 컬러 수입과일 어떠세요?" 기획정보과 2015-02-10 3946
1523 이마트, 설 과일세트 당도·크기 키운다 기획정보과 2015-02-10 4173
1522 수입과일 전문 쇼핑몰 베스토피아, 사이트 리뉴얼 오픈 이벤트 진행 기획정보과 2015-02-10 4207
1521 '혁신'에 걸맞은 감귤정책이 우선이다 기획정보과 2015-02-09 3696
1520 제주 감귤 농업의 효시 '역사의 고장' 서홍동, 재도약을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5-02-06 4023
1519 [기고]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명성 되찾자 기획정보과 2015-02-03 3783
1518 설 대목 고품질 감귤 출하로 제값 받기를 바라면서 기획정보과 2015-02-03 3883
1517 제주개발공사 감귤가공 공장서 폐수 방류 기획정보과 2015-02-02 4106
1516 가공용감귤 대란에 감귤박도 처리난 기획정보과 2015-02-02 4226
1515 [열린광장]"제주농업 위기, 도정은 대책을 마련하라" 기획정보과 2015-01-30 3494
1514 “감귤보내기 등 대북 교류사업 재개 노력” 기획정보과 2015-01-28 3582
1513 감귤 수확 막바지 비상품 차단 주력 기획정보과 2015-01-27 4118
1512 레드향 서울판촉행사 성황…5000㎏ 판매 기획정보과 2015-01-27 5317
1511 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명성 되찾자 김혜숙 2015-01-26 3532
1510 농가 옥죄는 ‘풍년의 역설’, 언제까지… 기획정보과 2015-01-26 369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