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 1차산업 위기감 고조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25 11:49:58      ·조회수 : 2,722     

<p></p>
<font size="5"><b>제주 1차산업 위기감 고조 </b></font>

<font size="4" color="blue">한-중, 한-EU 자유무역협정 협상 내년 개시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1/23 김재범 기자

정부가 내년 초 미국과의 FTA(자유무역협정) 체결을 목표로 하는데 이어 빠르면 내

년 중국, 유럽연합(EU)과도 협상 개시 방침을 피력, 제주 감귤은 물론 1차산업 전반

에 걸쳐 심각한 위기를 불러오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외교통상부는 EU와의 FTA 협상을 추진하기 위해 24일 공청회를 가질 예정인데 EU

이사회가 내년 2∼3월 중 한국과의 협상을 승인할 경우 본격 개시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에 앞서 최근 하노이 통상장관회담에서 중국과 산·관·학 공동연구를 1년간

진행키로 합의, 빠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협상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이 이처럼 농산물 교역 수입규모면에서 1∼3위를 달리는 이들 나라

와 FTA 협상을 체결하고 개방 수위 폭을 확대할 경우 제주지역 1차산업에 막대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제 현재 4차까지 진행중인 한미FTA 협상의 경우 피해 규모가 감귤의 경우 ‘개방예

외품목’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오렌지 관세가 완전 철폐되면 10년간 무려 2조원에 이

르고 양돈업을 비롯한 축산업도 연간 215억∼27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의 경우 감귤품목은 제주와 비교할 때 생산량만 30배 안팎 많아 수

출량을 늘릴 경우 사실상 ‘직격탄’이 될 수도 있는 상황이며 밭작물, 수산업 등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아울러 EU와 FTA가 체결돼 세계적으로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EU산 돼지고

기와 맥주보리 등 관세가 폐지될 경우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정부는 다만 중국이나 EU와 FTA 협상을 시작할 경우 주요 농산물 품목의 민감성을

고려, 개방에서 제외시킬 것을 전제조건으로 내세울 것으로 알려져 이의 실현 여부

가 주목되고 있다.

이에따라 제주도가 1차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적인 비전과 개방화에 대비한

보호대책 등을 재점검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29 월요포커스]긴 설연휴 민심 들여다보니 기획정보과 2015-02-23 3581
1528 비상품 감귤 유통 악순환, 언제쯤 끝날까 기획정보과 2015-02-17 3977
1527 “설 다가오는데…” 과일 판매줄어 한숨 기획정보과 2015-02-13 4035
1526 감귤 택배 직거래가 불법?…현실 맞지 않은 ‘감귤조례’ 기획정보과 2015-02-12 3831
1525 설 연휴 앞두고 과일 값 폭락, 사과-배-감귤까지 다 떨어졌다 기획정보과 2015-02-12 4048
1524 [포토]"올 설 선물로 컬러 수입과일 어떠세요?" 기획정보과 2015-02-10 4004
1523 이마트, 설 과일세트 당도·크기 키운다 기획정보과 2015-02-10 4247
1522 수입과일 전문 쇼핑몰 베스토피아, 사이트 리뉴얼 오픈 이벤트 진행 기획정보과 2015-02-10 4274
1521 '혁신'에 걸맞은 감귤정책이 우선이다 기획정보과 2015-02-09 3748
1520 제주 감귤 농업의 효시 '역사의 고장' 서홍동, 재도약을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5-02-06 4079
1519 [기고]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명성 되찾자 기획정보과 2015-02-03 3848
1518 설 대목 고품질 감귤 출하로 제값 받기를 바라면서 기획정보과 2015-02-03 3954
1517 제주개발공사 감귤가공 공장서 폐수 방류 기획정보과 2015-02-02 4171
1516 가공용감귤 대란에 감귤박도 처리난 기획정보과 2015-02-02 4294
1515 [열린광장]"제주농업 위기, 도정은 대책을 마련하라" 기획정보과 2015-01-30 3560
1514 “감귤보내기 등 대북 교류사업 재개 노력” 기획정보과 2015-01-28 3649
1513 감귤 수확 막바지 비상품 차단 주력 기획정보과 2015-01-27 4172
1512 레드향 서울판촉행사 성황…5000㎏ 판매 기획정보과 2015-01-27 5383
1511 겨울철 대표과일 감귤 명성 되찾자 김혜숙 2015-01-26 3589
1510 농가 옥죄는 ‘풍년의 역설’, 언제까지… 기획정보과 2015-01-26 376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