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비파괴 광센서 도입 시급”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27 09:50:03      ·조회수 : 2,871     

“감귤 비파괴 광센서 도입 시급”
어제 감귤국제학술세미나서 제기    

크기 등 외관중심서 품질로 승부해야
4/27일 한라일보 고대용 기자

 감귤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선과과정에 효율적인 비파괴 광센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감귤협의회(회장 강희철)와 제주대 생명자원대학 산업응용경제학과(고성보 교수)는 26일 제주대 국제교류회관에서 감귤농가, 농협임직원, 도·시·군 및 농업기술원 관계자, 학계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비파괴 광센서 도입과 감귤의 생산·유통혁신’이라는 주제로 국제학술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소비시장의 고객만족을 위해서는 감귤의 고품질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게 되는데다 감귤의 외관 및 크기보다는 당도와 산도 등 내부품질에 의한 품질등급화가 매우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서 개최돼 의미가 크다.

 세미나에서 권영길 박사(일본 사이가기술연구소 연구관)는 근적외 분광법을 이용한 비파괴 광센서 선과방법에 대해 주제발표를 했다. 비파괴 광센서 선과는 안정된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과실로 비추어 과실에서 투과나 반사돼 나온 빛을 검출기에서 수집하여 전기신호로 바꾸어 해석한 후 과실의 당도나 산도를 판정하는 기법이다.

 주제발표에 이어 일본, 이탈리아 등 2개국 4개업체에서 비파괴 광센서 선과기를 소개했다.

 종합토론에서는 고정삼 제주대 교수의 사회로 난지농업연구소 최영훈 박사, 크린영농조합법인 송상순 대표, (주)통통 박지웅 대표가 토론자로 나서 제주실정에 맞는 비파괴 광센서 도입방안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토론에서는 과일크기 등 외관중심에 따라 선과되는 기존 드럼식선과기에서 내부품질(당도·산도) 중시의 감귤 생산유통으로 탈바꿈하여 품질신뢰성 확보는 물론 브랜드화 및 시장교섭력을 향상시켜야 한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09 감귤은 ‘정치작물’이다 기획정보과 2015-01-23 3479
1508 제주감귤·월동채소 소비자 공략 기획정보과 2015-01-22 3603
1507 미래의 제주 감귤을 생각할 때다 기획정보과 2015-01-22 4314
1506 한해 감귤농사 이렇게 지키자 기획정보과 2015-01-21 3413
1505 도내 항만물동량 증가 기획정보과 2015-01-20 3434
1504 ‘감귤 북한보내기 사업’ 탄력 받나 기획정보과 2015-01-20 4036
1503 예래동주민센터 대구서 감귤판촉행사 기획정보과 2014-12-29 3919
1502 일부상인 감귤값 하락 피해 농민에 떠넘겨 기획정보과 2014-12-29 3703
1501 제주감귤재배면적 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4-12-29 3898
1500 허송세월 보낸 올래 감귤명품화사업 기획정보과 2014-12-26 3296
1499 내년 서귀포감귤박람회 반쪽 위기 기획정보과 2014-12-26 3601
1498 감귤명품화사업 해 넘겼다 기획정보과 2014-12-26 3802
1497 농가 골칫덩이 "이끼"제거제 주목 기획정보과 2014-12-26 3779
1496 제주감귤, 이제 생과로 승부하자 기획정보과 2014-12-26 3393
1495 감귤가격 꾸준히 올라 평년수준으로 기획정보과 2014-12-24 3388
1494 "고품질감귤 생산 기술 실천이 경쟁력이다" 기획정보과 2014-12-22 3550
1493 "무작정 도전"큰코" 다치죠" 기획정보과 2014-12-22 4207
1492 [농협관측]과일(2014년 12월) 기획정보과 2014-12-11 3711
1491 [농헙관측]과채(2014년 12월) 기획정보과 2014-12-11 3708
1490 감귤 생산량 관측 시스템을 다시 짜자 기획정보과 2014-12-11 348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