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획]흔들리는 감귤농정 <하>선 고품질 후 행정지원 체제 시급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25 09:43:39      ·조회수 : 2,815     

[기획]흔들리는 감귤농정
<하>선 고품질 후 행정지원 체제 시급
제민일보 8월24일 현민철 기자
제주도는 지난 97년 미숙감귤 유통과 강제착색 행위 등에 대해 강력한 처벌조항을 담은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이하 감귤조례)를 제정했다.
이후 개정 등의 작업을 통해 현재 감귤조례는 노지감귤은 물론 하우스감귤, 한라봉 등 만감류에도 적용된다.
또 도는 올해산 노지감귤 가격 유지를 위해 유통명령제 시행이 필수라고 인식, 농림부 등 관련 부처에 필요성을 설득하는 등 감귤 제값 받기에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도가 수확시기에 따라 조례 적용 여부를 달리하거나 규정에 있는 내용조차 단속에 나서지 않는 등 제도 활용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감귤 제값 받기에 전제 조건인 고품질 감귤 생산을 소홀히 한 채 유통명령제 시행에만 매달리는 모습이어서 앞뒤가 바뀐 감귤정책이란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잠자는 조례, 그때 그때 바뀌는 원칙
올해 초 한라봉 가격이 끝도 없는 추락현상을 보여 농가들은 물론 농정당국을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한라봉 가격 하락은 ‘특화상품’이란 이미지만 믿고 품질 관리에 소홀했던 농가들의 책임이 크다.
그러나 이를 방치한 농정당국의 책임도 가격하락을 부추겼다는 지적이다.
현행 감귤조례는 한라봉의 품질 기준을 무게 200g이상, 당도 12Bx이상, 산함량 1.1%이하 등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올해 초 한라봉 가격 폭락 현상이 지속되는 과정에도 도는 한라봉에 대해 감귤조례를 전혀 적용하지 않았다. 감귤조례를 근거로 비상품 한라봉을 단속한 건수한 전무한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애써 만든 감귤조례가 사문화되고 있는 것이다.
왁스코팅 문제도 사정은 마찬가지.
현행 감귤조례에서 수출을 제외한 출하감귤에 대해서는 왁스코팅을 금지토록 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최고 5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돼 있지만 도는 노지감귤만을 대상으로 정하고 하우스감귤은 제외, 형평성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유통명령제 만능 해결책인가
최근 제주특별자치도 인력개발원에서 열린 감귤유통명령제 공청회는 유통명령제의 도입 및 실시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확인한 자리였다.
이날 공청회에 참석한 농가 및 유통인 등은 육지부의 단속 인원을 늘리고, 유통질서가 잡히지 않은 외곽시장에 대한 단속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외에도 일부 참석자는 유통명령제 도입의 관건이 되는 법 조항을 개정해 물량규제, 품질규제, 시장조성 제한 등 3가지 가운데 하나만 부합하면 도입을 허용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그러나 이날 공청회 참석자들은 고품질 감귤 생산이 우선돼야 한다는데 모두 공감했다.
고품질 감귤 생산이 되지 않은 상황에서 유통명령제 도입은 그 효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도는 수확기 이전 추진해야 할 감귤 열매솎기 등 고품질 감귤 생산 추진에는 소홀한 채 유통명령제 도입에만 급급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고품질 감귤 생산과 감귤조례 활용, 유통명령제 도입 등을 통해 올해산 감귤의 제값받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87 올래 비상품 감귤 가공처리 "빨간불" 기획정보과 2014-12-01 3145
1486 북한에 "사랑의감귤'보내기, 지금이 최적기다 기획정보과 2014-12-01 3275
1485 충북소재중심기업 감귤선과 과정 비상품억제방법 개발 중 기획정보과 2014-11-19 3383
1484 올해 노지감귤 미국 수출 "사실상 중단" 기획정보과 2014-11-19 3386
1483 감귤농사 저는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제주감귤농협 포럼 기획정보과 2014-11-18 3979
1482 제주감귤이 외국산이라고?... 외국 종자에 점령당한 식탁 기획정보과 2014-11-18 2961
1481 올해 노지감귤 위법 242건 92톤적발 기획정보과 2014-11-18 3201
1480 감귤값 바닥 찍었나... 한달만에 1만2000원 회복 기획정보과 2014-11-17 3080
1479 부패과와의 전쟁 "끝났지만 안심 일러.." 기획정보과 2014-11-17 3680
1478 한중FTA와 제주농업의 미래 기획정보과 2014-11-14 2888
1477 서귀포농협 유통사업소의 오늘과 내일 기획정보과 2014-11-14 3230
1476 "제주감귤농사 망해봐야 정신 차릴테죠" 기획정보과 2014-11-12 3904
1475 제주감귤수확에 대한노인회 기획정보과 2014-11-12 3204
1474 도,도관광협 융복합상품 감귤따기 제험농장 운영 기획정보과 2014-11-10 3606
1473 울릉섬서 제주감귤 재배? 기획정보과 2014-11-07 3926
1472 고품질감귤생산시설현대화사업접수 기획정보과 2014-11-04 3022
1471 제주시 비상품감귤 유통 차단 총력 기획정보과 2014-11-03 3161
1470 감귤 고품질·적정생산이 우선이다 기획정보과 2014-10-15 2924
1469 잘못된 인식이 생명산업을 망친다 기획정보과 2014-10-14 3595
1468 브랜드 감귤 생산 출하를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4-10-08 430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