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9 09:56:41      ·조회수 : 4,016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과장 29일 열릴 한·중·일 국제심포지엄 앞두고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 요약문 발표
제민일보 9/28 김경필 기자
한·미FTA 협상 등 시장개방에 따른 제주감귤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을 선택,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장은 29일 오후 1시30분부터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열릴 동북아 감귤산업 국제심포지엄에서 제주도가 추진하는 감귤정책의 선택과 집중 필요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 과장은 심포지엄에 앞서 보도자료로 발표한 요약문을 통해 선택·집중이 필요한 감귤정책으로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의 기호와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과장은 이를 위해 산지거점유통센터를 통한 감귤출하물량이 도외 반출량의 50%인 20만t(계통출하량의 80%)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노지에서 생산되는 감귤중 35%는 12브릭스 이상의 고당도로 생산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고당도 노지감귤 생산 방안으로 “무엇보다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를 5000㏊까지 확대시키는 것이 제주도의 급선무”라며 제시했다.
김 과장은 또 “고품질 품종 갱신, 방풍수 정리, 간벌 등 과원정비와 시비·토양관리 개선도 고당도 감귤생산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한후 “제주감귤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민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오까다 마사미찌씨와 펑수앙 중국 화중농업대학교수가 참석, 각각 일본과 중국의 감귤산업 현황과 발전방향을 발표할 계획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09 감귤은 ‘정치작물’이다 기획정보과 2015-01-23 3567
1508 제주감귤·월동채소 소비자 공략 기획정보과 2015-01-22 3671
1507 미래의 제주 감귤을 생각할 때다 기획정보과 2015-01-22 4423
1506 한해 감귤농사 이렇게 지키자 기획정보과 2015-01-21 3517
1505 도내 항만물동량 증가 기획정보과 2015-01-20 3501
1504 ‘감귤 북한보내기 사업’ 탄력 받나 기획정보과 2015-01-20 4139
1503 예래동주민센터 대구서 감귤판촉행사 기획정보과 2014-12-29 3989
1502 일부상인 감귤값 하락 피해 농민에 떠넘겨 기획정보과 2014-12-29 3765
1501 제주감귤재배면적 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4-12-29 3996
1500 허송세월 보낸 올래 감귤명품화사업 기획정보과 2014-12-26 3378
1499 내년 서귀포감귤박람회 반쪽 위기 기획정보과 2014-12-26 3695
1498 감귤명품화사업 해 넘겼다 기획정보과 2014-12-26 3871
1497 농가 골칫덩이 "이끼"제거제 주목 기획정보과 2014-12-26 3861
1496 제주감귤, 이제 생과로 승부하자 기획정보과 2014-12-26 3485
1495 감귤가격 꾸준히 올라 평년수준으로 기획정보과 2014-12-24 3456
1494 "고품질감귤 생산 기술 실천이 경쟁력이다" 기획정보과 2014-12-22 3597
1493 "무작정 도전"큰코" 다치죠" 기획정보과 2014-12-22 4292
1492 [농협관측]과일(2014년 12월) 기획정보과 2014-12-11 3782
1491 [농헙관측]과채(2014년 12월) 기획정보과 2014-12-11 3824
1490 감귤 생산량 관측 시스템을 다시 짜자 기획정보과 2014-12-11 360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