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 감귤 1만톤 수출 무리수 우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6-21 08:18:36      ·조회수 : 3,622     

감귤 수출 1만톤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가 수출에 참여하지 않는 지역농협에 대해 패널티를 검토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제주자치도는 수출 1조원 달성의 밑거름이 되고 감귤의 안정적 수출을 유도하기 위해 올해 감귤 수출 목표를 1만톤으로 정하고 행정과 유관기관 농·감협 등으로 수출실무협의회를 구성, 운영중이다. 국가별로는 영국과 러시아가 각각 3000톤이고 미국과 캐나다는 각각 1000톤, 동남아 등은 2000톤이다. 현재까지 감귤 수출농가에서 신청한 물량은 9129톤으로 올해 목표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자치도는 앞으로 안정적인 수출물량 확보를 위해 3ha 이상 대규모 농가를 대상으로 수출 참여여부를 조사하고 롯데마트와 협약을 통해 인도네시아에 100톤가량을 수출할 계획이다.

제주자치도는 이를 바탕으로 수출 목표를 8000톤가량 확대하기로 하고 농·감협별로 수출물량을 추가 조사하는 한편 우수농가와 농협에는 인센티브를, 수출에 참여하지 않는 농협에는 패널티를 주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선 수출후 내수'라는 원칙 아래 3년 이상 장기적으로 계약이 이루어지는 만큼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차원이다. 인센티브로는 영국 수출감귤 선과장에는 시설보완을 추진하고 해외시장 개척비 1억5000만원, 수출물류비 2억2200만원, 수출용 포장재비 4000만원, 유기질 비료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문제는 수출 미참여 농협에 대한 패널티 적용여부다. 현재 도내 농·감협 중 수출에 참여하지 않는 지역농협은 한림·고산·구좌·애월·대정·성산농협 등 6개 농협이다. 제주자치도는 이들 농협에 대해 FTA 기금 지원사업비 지원금액을 별도 조정하는 방안을 19일 열리는 감귤수출실무협의회에서 논의했다.

이에 대해 일부 농협에서는 "수출작업장이나 물량 확보 등에서 어려움이 있어 수출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을 놓고 패널티를 주는 것도 상식에 어긋나지만 FTA기금으로 차등지원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고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제주자치도 관계자는 "해외 수출을 독려하기 위한 차원으로 패널티 부과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지역농협 등을 의견을 수렴하는 등 추가적인 검토를 거쳐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한라일보 위영석 기자 >

제주, 감귤 1만톤 수출 무리수 우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67 제주감귤,남부 화해,평화 협력 가료로 기획정보과 2014-10-08 3225
1466 '감귤 1번과'정책, 이렇게 어설퍼서야.. 기획정보과 2014-10-06 2988
1465 제주감귤브랜드 가치가 높아지길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4-09-15 3739
1464 [농업관측]과일(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3548
1463 [농업관측]과채(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2773
1462 '감귤 1번과'혼란, 어떻게든 해법 도출하라 기획정보과 2014-09-11 3582
1461 [사설]감귤 품질기준,유통전략 발전적 대안을 기획정보과 2014-09-04 3119
1460 감귤 유통구조 혁신안, 의욕이 너무 앞선다 기획정보과 2014-09-04 3355
1459 [제민 열린광장]화물운송대란, 근본 문제부터 해결해야 기획정보과 2014-08-29 3238
1458 한라봉 감귤은 온주밀감보다 더위를 좋아해 기획정보과 2014-08-28 3645
1457 제주감귤 브랜드 통합의 전제조건들 기획정보과 2014-08-27 3124
1456 [무등일보]제주감귤 기획정보과 2014-08-18 3542
1455 [농업관측]과일(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524
1454 [농업관측]과채(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501
1453 종자비,로열티 부담에 농가 허리휜다 기획정보과 2014-08-08 3864
1452 더 큰 제주감귤산업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기획정보과 2014-08-05 3253
1451 [기고]감귤 궤양병에 대한 올바른 이해 기획정보과 2014-07-15 3646
1450 감귤거래소 공론화보다 타탕성 검토가 우선 기획정보과 2014-07-14 4955
1449 민선6기에 기대하는 감귤정책 기획정보과 2014-07-14 3271
1448 [농업관측]과채(2014년 7월) 기획정보과 2014-07-08 309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