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꽃혹파리 방제 힘써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02 09:41:28      ·조회수 : 2,983     

감귤꽃혹파리 방제 힘써야 (제민일보 2006. 5. 1)

감귤꽃혹파리는 꽃이 떨어질 시기에 꽃이 많은 과수원에서는 이로울 수도 있고, 꽃이 적은 과수원에서는 해로울 수도 있는 해충이다. 성충의 몸길이는 1.5㎜정도이며 담갈색이다. 유충은 1㎜정도 크기의 유백색이다.

제주도에는 한라산을 기준으로 산 북쪽과 남쪽의 피해가 나타나는 시기가 다를 수 있다. 특히 금년처럼 예년보다 새순 발아시기가 빠르면 꽃봉오리를 빨리 볼 수 있는데, 금년과 같은 기상에서는 육안으로 잘 관찰 될 수 있다.

농장에서의 예찰방법은 꽃봉오리를 보면 정상적인 것은 유백색(하얀색)으로 보이고, 피해를 입은 꽃봉오리는 누런색깔을(갈변) 보이게 된다. 또 꽃봉오리를 까보면 속에 빨간색으로 된 아주 작은 벌레들이 모여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꽃봉오리가 갈변된 것은 꽃봉오리 내부가 부패됐기 때문이다.

이 해충은 연간 1세대 발생하는 벌레다. 꽃이 떨어진 후 유충 형태로 토양 중에서 다음해 4월까지 생활한다.

다시 설명하면면 월동 유충은 4월에 토양 지표면에서 번데기가 되고 4~월에 성충이 돼 꽃봉오리에 산란, 피해를 주는 것이다.

올해처럼 봄이 일찍 오는 해에는 서귀포시·남제주군 지역에서는 벌써 피해 조짐이 관찰될 것이다.

이 벌레는 봉오리 속에서 짧게는 7일, 길게는 10일 정도 피해를 가져오는데 피해가 나타나면 생리 낙화시기에 낙화량이 더 조장되기도 한다.

그러면 어떻게 방제를 해야 할 것인가.

감귤꽃혹파리는 해에 따라 발생량이 큰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과수원을 한번 돌아보며 예찰을 할 필요가 있다. 약제로서는 파프유제(엘산·씨디알) 1000배 액이나 스프라사이드, 모폭스 등을 살포하면 된다. 한가지 더 강조한다면 남들이 약제를 살포하니까 무작정 살포하거나, 필요없는 약제를 혼용 살포할 필요는 없다.

이 해충의 방제 시기는 여러가지 면에서 시기를 정할 수 있지만, 자기 농장에서 예찰을 하여 다른 해에 비해 감귤꽃 색깔이 봉우리상태에서 갈변되는 것이 간혹 눈에 띠게 되면 많이 발생될 징조이므로 해당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김석중 / 제주시농업기술센터 감귤기술담당>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69 잘못된 인식이 생명산업을 망친다 기획정보과 2014-10-14 4020
1468 브랜드 감귤 생산 출하를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4-10-08 4827
1467 제주감귤,남부 화해,평화 협력 가료로 기획정보과 2014-10-08 3552
1466 '감귤 1번과'정책, 이렇게 어설퍼서야.. 기획정보과 2014-10-06 3307
1465 제주감귤브랜드 가치가 높아지길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4-09-15 4309
1464 [농업관측]과일(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3857
1463 [농업관측]과채(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3081
1462 '감귤 1번과'혼란, 어떻게든 해법 도출하라 기획정보과 2014-09-11 3891
1461 [사설]감귤 품질기준,유통전략 발전적 대안을 기획정보과 2014-09-04 3593
1460 감귤 유통구조 혁신안, 의욕이 너무 앞선다 기획정보과 2014-09-04 3616
1459 [제민 열린광장]화물운송대란, 근본 문제부터 해결해야 기획정보과 2014-08-29 3768
1458 한라봉 감귤은 온주밀감보다 더위를 좋아해 기획정보과 2014-08-28 4002
1457 제주감귤 브랜드 통합의 전제조건들 기획정보과 2014-08-27 3542
1456 [무등일보]제주감귤 기획정보과 2014-08-18 3910
1455 [농업관측]과일(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910
1454 [농업관측]과채(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896
1453 종자비,로열티 부담에 농가 허리휜다 기획정보과 2014-08-08 4348
1452 더 큰 제주감귤산업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기획정보과 2014-08-05 3761
1451 [기고]감귤 궤양병에 대한 올바른 이해 기획정보과 2014-07-15 4031
1450 감귤거래소 공론화보다 타탕성 검토가 우선 기획정보과 2014-07-14 536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