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농림보조사업 축소 안된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30 09:31:14      ·조회수 : 3,888     

농림보조사업 축소 안된다
정부, 직접보조`축소 반면 융자 대체에 농가 반발
제주일보 8/30 고경업 기자
정부의 농림사업 방향이 농가에 대한 직접보조(무상지원)사업 중심에서 융자지원으로 변경되고 있어 농업인들 사이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8일 제주특별자치도와 농협 제주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농림부는 신규 농림사업 계획 수립시 개별 농가에 대한 직접보조사업은 원칙적으로 축소하거나 폐지하고, 대신 필요예산은 융자형태로 지원한다는 방침 아래 내년도 농림예산안을 편성, 기획예산처와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부의 이 같은 보조사업 축소 방침은 무상지원에 따른 농가들의 도덕적 해이와 퍼주기식 예산지원이라는 비난을 막기 위해 2, 3년 전부터 본격화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농림예산 편성시 보조사업이거나 보조지원 성격이 강한 사업 대부분이 자체 심의과정에서 제외됐고, 몇몇 사업은 융자사업으로 바뀐 뒤 기획예산처에 넘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예컨대 당초 올해부터 시범사업으로 도입될 예정이었던 ‘시설원예 에너지절감시설 구축사업’은 채소·화훼류 시설하우스에 대해 고효율 난방시설 설치비용을 정부가 50% 보조, 농가들의 난방비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사업비 중 직접 보조사업비가 많다는 이유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자체 심사과정에서 탈락했다.

또 내년도 사업에 반영된 ‘비닐하우스 재해경감 대책사업’은 농가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당초 보조지원 사업으로 추진했지만 내부 논의과정에서 융자사업으로 전환됐다.

이와 함께 1993년부터 1997년까지 구입비의 50%를 정부가 보조해주던 ‘농기계 구입자금 지원사업’은 1998년부터 보조비율이 점차 줄어들다 현재는 보조금 한푼 없는 융자사업이 돼 버렸다.

도내 시설농가 일각에서는 “아무리 융자조건이 좋아도 담보능력 초과 등으로 자금을 못 받는 경우가 많아 융자사업은 ‘그림의 떡’이 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며 “그렇지 않아도 농산물 시장 개방 확대와 고유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터에 직접 보조사업마저 축소되거나 폐지돼 영농의욕이 생기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한편 만감류, 하우스감귤, 화훼 등 도내 시설재배 농가는 5000여 가구에 이른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69 잘못된 인식이 생명산업을 망친다 기획정보과 2014-10-14 4046
1468 브랜드 감귤 생산 출하를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4-10-08 4854
1467 제주감귤,남부 화해,평화 협력 가료로 기획정보과 2014-10-08 3592
1466 '감귤 1번과'정책, 이렇게 어설퍼서야.. 기획정보과 2014-10-06 3349
1465 제주감귤브랜드 가치가 높아지길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4-09-15 4337
1464 [농업관측]과일(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3890
1463 [농업관측]과채(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3111
1462 '감귤 1번과'혼란, 어떻게든 해법 도출하라 기획정보과 2014-09-11 3905
1461 [사설]감귤 품질기준,유통전략 발전적 대안을 기획정보과 2014-09-04 3630
1460 감귤 유통구조 혁신안, 의욕이 너무 앞선다 기획정보과 2014-09-04 3655
1459 [제민 열린광장]화물운송대란, 근본 문제부터 해결해야 기획정보과 2014-08-29 3799
1458 한라봉 감귤은 온주밀감보다 더위를 좋아해 기획정보과 2014-08-28 4029
1457 제주감귤 브랜드 통합의 전제조건들 기획정보과 2014-08-27 3569
1456 [무등일보]제주감귤 기획정보과 2014-08-18 3945
1455 [농업관측]과일(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918
1454 [농업관측]과채(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933
1453 종자비,로열티 부담에 농가 허리휜다 기획정보과 2014-08-08 4378
1452 더 큰 제주감귤산업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기획정보과 2014-08-05 3780
1451 [기고]감귤 궤양병에 대한 올바른 이해 기획정보과 2014-07-15 4056
1450 감귤거래소 공론화보다 타탕성 검토가 우선 기획정보과 2014-07-14 540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