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 금년-내년, 北에 감귤 보내지 말자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13 10:07:15      ·조회수 : 2,522     

<p></p>
<b><font size="5">[사설] 금년-내년, 北에 감귤 보내지 말자 </b>
<p></p>
<font size="3">제주타임즈 10/13

북한 동포들이 잘살든, 못살든, 제주 감귤을 그들에게 보내는 것을 나쁘다 할 도민

은 없을 줄 안다. 굶주림을 면케 하는 쌀과는 달리 감귤은 기호 식으로도 즐길 수 있

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주도 민간단체에서는 1998년부터 지금까지 내리 8년 동안 모

두 3만6226t의 감귤을 북한 동포들에게 보냈던 것이다. 어디 그뿐인가. 체소류인 당

근도 1만3000t이나 보냈다. 이 모두를 현금으로 치면 163억7500만 원이나 된다. 결

코 적지 않은 서비스다. 하지만 북한은 그 동안 우리 정부의 거국적인 경제 지원에

도 불구하고 핵실험을 강행했다. 북한의 핵실험이 자위를 위한 것이든, 대미(對美)

협상을 위한 것이든, 아니면 그들의 주장대로 아시아의 평화를 지키기 위한 것이든,

현실적으로는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를 위기로 몰아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

고 북한이 핵을 보유하고 있는 한, 남한은 언제까지나 불안할 수밖에 없으며 그들로

부터 공격을 받지 않은 다는 확고한 보장도 아직 없다. 그리고 남한은 북의 핵 위력

앞에 무력하게 질질 끌려 다닐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마당에, 지금까지

인도적 차원에서 북에 보내 주던 감귤-당근을 앞으로도 계속 보내 주어야 합당한 일

인지 깊이 생각할 때가 되었다. 만약 제주도민들이 국가적 안보 위기 상황에도 불구

하고 감귤-당근을 계속 북에 보낸다면 그들은 우리의 진심을 왜곡 선전할지도 모른

다. 핵을 가진 종주국에 핵을 갖지 못한 속국이 조공을 올리는 것이라며 대 인민(對

人民) 선동용으로 악용한다 해도 우리는 그것을 어찌 알겠는가. ‘뭐 주고 뺨 맞는 식’

이 돼서는 안 된다. 적어도 올해와 내년까지는 감귤-당근을 보내지 말자. 그래서 북

한의 태도를 예의 주시할 줄 아는 지혜도 갖자.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69 잘못된 인식이 생명산업을 망친다 기획정보과 2014-10-14 4051
1468 브랜드 감귤 생산 출하를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4-10-08 4854
1467 제주감귤,남부 화해,평화 협력 가료로 기획정보과 2014-10-08 3597
1466 '감귤 1번과'정책, 이렇게 어설퍼서야.. 기획정보과 2014-10-06 3358
1465 제주감귤브랜드 가치가 높아지길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4-09-15 4338
1464 [농업관측]과일(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3890
1463 [농업관측]과채(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3111
1462 '감귤 1번과'혼란, 어떻게든 해법 도출하라 기획정보과 2014-09-11 3905
1461 [사설]감귤 품질기준,유통전략 발전적 대안을 기획정보과 2014-09-04 3630
1460 감귤 유통구조 혁신안, 의욕이 너무 앞선다 기획정보과 2014-09-04 3655
1459 [제민 열린광장]화물운송대란, 근본 문제부터 해결해야 기획정보과 2014-08-29 3800
1458 한라봉 감귤은 온주밀감보다 더위를 좋아해 기획정보과 2014-08-28 4034
1457 제주감귤 브랜드 통합의 전제조건들 기획정보과 2014-08-27 3574
1456 [무등일보]제주감귤 기획정보과 2014-08-18 3953
1455 [농업관측]과일(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918
1454 [농업관측]과채(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941
1453 종자비,로열티 부담에 농가 허리휜다 기획정보과 2014-08-08 4379
1452 더 큰 제주감귤산업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기획정보과 2014-08-05 3782
1451 [기고]감귤 궤양병에 대한 올바른 이해 기획정보과 2014-07-15 4061
1450 감귤거래소 공론화보다 타탕성 검토가 우선 기획정보과 2014-07-14 541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