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인터넷 비상품 감귤유통 사각지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05 12:36:56      ·조회수 : 3,496     

<p></p>
<b><font size="5">인터넷 비상품 감귤유통 사각지대 </font></b>

<font size="4" color="blue">“썩거나 주먹만한 크기”대형쇼핑몰 불만 폭주</font>

“고객불편 양해 부탁…환불 가능”안내문구도

원산지도 제주산만 표기 제주감귤 경쟁력 약화 대형 인터넷쇼핑몰에서 비상품 감귤의 거래가 공공연하게 이뤄져 비난이 폭증하는 등 제주 감귤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2일 G인터넷쇼핑물에서 ‘제주 감귤’을 검색하자 361개의 상품이 쏟아져 나왔다. 가격은 10㎏ 한상자에 6500원∼2만9000원으로 다양하다. 인터넷쇼핑몰은 판매자와 소비자를 연결시켜주고 이에 대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는다.

10㎏ 한상자를 9900원에 판매하는 상품을 클릭하자 ‘주문하자마자 제주농장에서 직접 수확, 당일 택배로 배송되며 유기농으로 재배된 100% 친환경감귤’이라는 문구가 눈에 들어온다. 하지만 해당 상품의 상품분석평을 보면 고객들의 불만이 이어진다.

소비자 ‘toto2513’은 “배송된 감귤 박스를 열자마자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감귤크기가 큰 것은 밥공기만 하고 껍질이 쭈그러져 싱싱하지 않은데다 절반이상이 썩어 먹지를 못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해당 쇼핑몰에서 가격이 제일 저렴한 6500원짜리 제주감귤의 상품분석평에도 고객들의 불만이 쏟아진다.

‘대왕귤 성의 없음 싼게 비지떡’, ‘진짜 먹지 마세요’, ‘주먹만한 귤이 80개’, ‘귤이 너무 커요’라는 제목으로 불만이 폭주 말썽을 빚고 있다.

168개의 제주산 감귤이 검색된 A쇼핑몰도 마찬가지. 한 상품을 클릭하자 ‘고객 불만으로 인해 문의사항이 증가, 불편을 가져와 양해를 구한다’는 설명과 함께 ‘하자여부를 카메라로 촬영해 보내주면 부분교환·환불·반품이 가능하다’는 안내문구까지 게재됐다.

일부 상품들은 원산지를 ‘제주산’만으로 표기하는 등 인터넷을 통한 비상품 감귤 유통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제주도 관계자는 “인터넷을 통해 소규모로 거래되는 비상품 감귤에 대한 단속은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69 잘못된 인식이 생명산업을 망친다 기획정보과 2014-10-14 4056
1468 브랜드 감귤 생산 출하를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4-10-08 4854
1467 제주감귤,남부 화해,평화 협력 가료로 기획정보과 2014-10-08 3600
1466 '감귤 1번과'정책, 이렇게 어설퍼서야.. 기획정보과 2014-10-06 3358
1465 제주감귤브랜드 가치가 높아지길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4-09-15 4338
1464 [농업관측]과일(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3890
1463 [농업관측]과채(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3111
1462 '감귤 1번과'혼란, 어떻게든 해법 도출하라 기획정보과 2014-09-11 3905
1461 [사설]감귤 품질기준,유통전략 발전적 대안을 기획정보과 2014-09-04 3630
1460 감귤 유통구조 혁신안, 의욕이 너무 앞선다 기획정보과 2014-09-04 3658
1459 [제민 열린광장]화물운송대란, 근본 문제부터 해결해야 기획정보과 2014-08-29 3800
1458 한라봉 감귤은 온주밀감보다 더위를 좋아해 기획정보과 2014-08-28 4039
1457 제주감귤 브랜드 통합의 전제조건들 기획정보과 2014-08-27 3578
1456 [무등일보]제주감귤 기획정보과 2014-08-18 3953
1455 [농업관측]과일(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918
1454 [농업관측]과채(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942
1453 종자비,로열티 부담에 농가 허리휜다 기획정보과 2014-08-08 4379
1452 더 큰 제주감귤산업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기획정보과 2014-08-05 3782
1451 [기고]감귤 궤양병에 대한 올바른 이해 기획정보과 2014-07-15 4065
1450 감귤거래소 공론화보다 타탕성 검토가 우선 기획정보과 2014-07-14 541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