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관세철폐시 美오렌지 수입 갑절 증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25 10:03:39      ·조회수 : 3,178     

<b><font size=6>
관세철폐시 美오렌지 수입 갑절 증가 </font><font size=4 color=blue>

수입가 33% 하락…연간 24만t`이를 듯 </font>

2007년 01월 25일 (목) 신정익 기자

<font size=3>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미FTA 협상 결과에 따라 오렌지 수입 관세가 감축되거나 철폐될 경우 수입량이 급증해 감귤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도내 감귤 재배면적과 생산량도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4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한 ‘2007 농업전망 대회’에서 발표한 과일류 수급 전망 등에 따르면 현재 50%의 관세율로 수입되고 있는 미국산 오렌지의 경우 한미FTA 협상에 따라 관세가 감축되거나 철폐될 경우 수입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농경연은 미국산 오렌지에 대한 관세가 50% 감축돼 관세율이 25%가 될 경우 오렌지 수입 가격은 17% 가량 하락해 수입량은 현재보다 22∼24% 증가한 16만~19만t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 수입 관세가 철폐될 경우 오렌지 수입 가격은 33% 가량 하락, 수입량은 43∼80% 증가한 19만∼24만t 가량 될 것으로 농경연은 내다봤다.

특히 관세가 50% 감축될 경우 미국산 오렌지의 국내 판매가격 역시 현재보다 12% 낮은 ㎏당 1430원, 관세가 철폐될 경우 판매가격은 29% 낮은 ㎏당 1150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런데 농경연은 한미FTA 협상이 타결돼 오렌지 수입관세가 단계적으로 하락할 경우를 예상한 감귤 수급전망에서 오는 2017년 감귤재배면적은 1만 8600㏊, 생산량은 48만 5000t으로 추정하고 있다.

결국 관세철폐시 미국산 오렌지의 국내 수입량은 제주산 감귤 생산량의 최대 절반 가량에 육박하면서 가격경쟁력까지 갖출 것으로 보여 제주 감귤산업을 위협할 최대 복병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편 미국 오렌지의 국별 수입량을 보면 최대 수입국인 캐나다와 일본, 홍콩 등은 지속적으로 수입량이 줄고 있으나 한국은 1995년 1만 5288t에서 2005년 11만 8563t으로 10년새 8배 가량 증가하면서 캐나다에 이어 두 번째 수입국으로 나타났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69 잘못된 인식이 생명산업을 망친다 기획정보과 2014-10-14 4041
1468 브랜드 감귤 생산 출하를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4-10-08 4847
1467 제주감귤,남부 화해,평화 협력 가료로 기획정보과 2014-10-08 3582
1466 '감귤 1번과'정책, 이렇게 어설퍼서야.. 기획정보과 2014-10-06 3344
1465 제주감귤브랜드 가치가 높아지길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4-09-15 4325
1464 [농업관측]과일(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3881
1463 [농업관측]과채(2014년 9월) 기획정보과 2014-09-11 3102
1462 '감귤 1번과'혼란, 어떻게든 해법 도출하라 기획정보과 2014-09-11 3901
1461 [사설]감귤 품질기준,유통전략 발전적 대안을 기획정보과 2014-09-04 3620
1460 감귤 유통구조 혁신안, 의욕이 너무 앞선다 기획정보과 2014-09-04 3641
1459 [제민 열린광장]화물운송대란, 근본 문제부터 해결해야 기획정보과 2014-08-29 3790
1458 한라봉 감귤은 온주밀감보다 더위를 좋아해 기획정보과 2014-08-28 4023
1457 제주감귤 브랜드 통합의 전제조건들 기획정보과 2014-08-27 3562
1456 [무등일보]제주감귤 기획정보과 2014-08-18 3942
1455 [농업관측]과일(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917
1454 [농업관측]과채(2014년 8월) 기획정보과 2014-08-08 3929
1453 종자비,로열티 부담에 농가 허리휜다 기획정보과 2014-08-08 4366
1452 더 큰 제주감귤산업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기획정보과 2014-08-05 3774
1451 [기고]감귤 궤양병에 대한 올바른 이해 기획정보과 2014-07-15 4053
1450 감귤거래소 공론화보다 타탕성 검토가 우선 기획정보과 2014-07-14 539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