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올 노지감귤 생산량 52만∼54만톤 예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10 11:43:55      ·조회수 : 3,406     

“올 노지감귤 생산량 52만∼54만톤 예상”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과일관측’발표·전망
제주일보 7/20 신정익 기자
올해산 노지감귤의 생산량이 52만∼54만t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발표되면서 8월로 예정된 생산예상량 조사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0일자로 발표한 ‘과일관측’을 통해 지난달 19∼28일 도내 감귤재배 농가 및 모니터 조사치를 종합한 결과 올해 노지감귤의 착과량은 작년 동기보다 1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해거리와 저온현상 등으로 과수원별, 나무별로 착과량 차이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 10a 당 노지감귤 열매수를 작년과 비교한 결과 서귀포시 지역의 경우 5.1∼11.4% 감소했으며 제주시 지역은 7.5∼17.5%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또 착과량은 작년보다 10% 가량 감소하지만 과실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질 것으로 보여 성목단수(10a당 생산량)는 작년보다 7% 안팎 감소에 그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올해 성목면적 1만 8451㏊에서 10a당 2812∼2926㎏이 생산될 경우 전체 노지감귤 생산량은 51만 9000~54만t 수준이 될 것으로 농경연은 전망했다.

그런데 제주도농업기술원은 지난 5월말 화엽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추정한 올해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을 54만 5000∼59만 8000t으로 발표했다.

결과적으로 농업기술원과 농경연의 생산예상량 전망치는 최대 6만t 가량 격차가 벌어지고 있어 유통명령제 재도입 등 감귤정책에 대한 방향 설정을 위해서도 정확한 생산예상량 조사가 시급한 것으로 대두되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49 민선6기에 기대하는 감귤정책 기획정보과 2014-07-14 3460
1448 [농업관측]과채(2014년 7월) 기획정보과 2014-07-08 3394
1447 [농업관측]과일(2014년 7월) 기획정보과 2014-07-08 4139
1446 "추석 9월8일 너무 빠르네" 유통업게 과일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4-07-08 3795
1445 중국발 FTA 태풍은 어쩌나 기획정보과 2014-07-08 3393
1444 한라봉 감귤의 자근 처리 방안 기획정보과 2014-07-08 4274
1443 농업정책이라는 도로와 신호등 기획정보과 2014-07-07 3948
1442 [농업기술원]장마철 농작물 관리요령 기획정보과 2014-07-03 3290
1441 한라봉·월동채소, 더 이상 제주농업 전유물 아니다. 기획정보과 2014-07-02 3877
1440 감귤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 난항 예상 기획정보과 2014-06-30 2717
1439 국산 '유자'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 있다 기획정보과 2014-06-26 3325
1438 [농업관측]과채(2014년 6월) 기획정보과 2014-06-17 2984
1437 [농업관측]과일(2014년 6월) 기획정보과 2014-06-17 3373
1436 [사설]노지감귤 출하 기준·대표 브랜드 신중해야 기획정보과 2014-06-17 3702
1435 제주농산물 수출 "우리에게 맡기세요" 기획정보과 2014-06-10 2953
1434 제주감귤 박사, 우수 돌연변이 찾아 FTA대비 기획정보과 2014-06-09 3782
1433 한라봉 감귤과 자근 기획정보과 2014-06-03 3034
1432 감귤 '강소농 컨설팅' 고품질 생산 효과 기획정보과 2014-05-16 3550
1431 감귤 꽃이 피는 시점에 생각하는 전정 방향 기획정보과 2014-05-14 4312
1430 [농업관측]과채(2014년 5월) 기획정보과 2014-05-13 343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