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 왁스코팅 논란, 해결책 간단하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16 10:36:21      ·조회수 : 3,158     

[사설] 왁스코팅 논란, 해결책 간단하다
제주타임즈 8/15
감귤 왁스코팅을 둘러싸고 제주도와 농협이 끝없는 찬-반 논쟁에 휩싸여 있다. 왁스코팅 금지를 적극적으로 밀고 가려는 쪽은 제주도다. 그래서 이미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에 왁스코팅을 금지하는 조항까지 만들어 이미 7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 가 있다. 따라서 제주도는 왁스코팅 금지를 어기는 자에 대해서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이에 반해 감귤 왁스코팅을 한사코 찬성하는 쪽은 농협이다. 제주도내 상당 수 농협들은 이미 마련된 시설 활용과 소비자에 대한 감귤 이미지 개선 등 장점을 들어 조례에도 불구하고 왁스코팅 금지를 수용하려 들지 않고 있다. 지금 전국 시장에 왁스코팅 된 하우스 감귤이 상당량 유통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제주도와 농협, 그 어느 쪽이 옳고 그름을 떠나 왁스코팅 문제는 빨리 해결되지 않으면 안 된다.
언제까지나 소모적인 논쟁을 계속하면서 갈등만 재생산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 하지 않다. 왁스코팅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방책이 없는 것도 아니지 않은가. 제주도와 농협이 하루 빨리 감귤 왁스코팅의 인체 유해 여부 검사 및 분석을 식품-의약계에 최종적으로 의뢰해서 세밀하고도 확실한 결론을 얻어내면 된다.
만약 식품-의약계의 검사 분석 결과 왁스코팅이 인체에 해롭다는 판정이 나오면 어떤 일이 있더라도 그것을 엄금해야 한다. 이와는 달리 왁스코팅이 사람에게 전혀 유해하지 않다는 결론이 나면 소비자 이미지 개선에도 좋으니 적극 권장해야 마땅하다. 조례야 개정해버리면 그만이다. 이러한 해결책은 제주도의회가 맡아서 강구해도 괜찮을 것 같다. 조례 개정 권이 있으니 말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07 서귀포시, 설 대목 비상품 감귤 유통 단속강화 기획정보과 2014-01-22 2884
1406 한라봉 생산량 감소원인 '자근(自根)'...어떻게 해결? 기획정보과 2014-01-16 3468
1405 "신선한 과일과 스낵의 만남"...제주 '프루낵' 런칭 기획정보과 2014-01-13 3247
1404 [기자수첩]'명품감귤연합사업단'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기획정보과 2014-01-10 3504
1403 제주밀감,한라봉 지고 '레드향'뜬다 기획정보과 2014-01-08 3255
1402 "따뜻한 제주 감귤은 뜨거운 사랑입니다" 기획정보과 2014-01-07 2930
1401 한라봉 효능 제값하나? 감귤과 비교해보니... 기획정보과 2013-12-12 3617
1400 [날씨경영 스토리]기후변화와 '감귤' 기획정보과 2013-12-02 3194
1399 [오피니언]종착역 향한 한중FTA, 대책 재점검하라 기획정보과 2013-11-19 3213
1398 [기고]감귤 제값받기에 대한 소고 기획정보과 2013-11-18 2944
1397 [제민포럼]감귤산업의 희망 그리고 절망 기획정보과 2013-11-12 4130
1396 [기고]최고의 과일이라고 쓰고 '감귤'이라 읽는다 기획정보과 2013-11-08 4009
1395 감귤 1번과 상품화 논란 재연 기획정보과 2013-11-01 3503
1394 [오피니언]감귤 명품화 결실, 정부 지원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13-11-01 3185
1393 '감귤의 가치'가공용 식품으로 되돌아 보자! 기획정보과 2013-10-30 3743
1392 제주도의회, 감귤 1번과 상품화 재점화 '논란' 기획정보과 2013-10-28 3340
1391 [열린마당]극조생감귤 '첫인상'이 좋아야 한다 기획정보과 2013-10-02 3411
1390 '시장 따로 정책 따로'감귤산업 우려 기획정보과 2013-09-30 3409
1389 감귤유통 불법행위고개...단속은 한계 기획정보과 2013-09-30 3314
1388 감귤 1번과 상품화 반대 기획정보과 2013-09-27 288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