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폐원 ‘부익부 빈익빈’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25 12:20:24      ·조회수 : 3,762     

<p></p>
<font size="5"><b>감귤 폐원 ‘부익부 빈익빈’ </b></font>

<font size="4" color="blue">24일 농수축산산업위 농기원 행정사무감사서 한영호 의원 제기</font>

<font size="3">제민일보 11/24 김영헌 기자

감귤 폐원 정책이 제주농민들의 ‘부익부 빈익빈’을 조장하는 등 실패한 정책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24일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 대한 제주자치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 한나라당 한영호 의원은 “지난 2004년 대대적인 감귤원 폐원 정

책으로 3년 연속 감귤 제값 받기에 성공하고 있다고 제주도정은 자화자찬하고 있지

만 이는 실패한 정책”이라며 “오히려 감귤 폐원으로 피해를 본 사람은 농민들”이라

고 지적했다.

한 의원은 “대체작목을 준비하지도 않고 일시에 대규모로 이뤄진 감귤폐원으로 일

반 밭작물은 산지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도의 정책 시행에 농기원이 제동을

걸 수 있어야 올바른 농업정책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나라당 김완근 의원은 “농기원이 오갈피, 배, 포도, 단감 등 특화과수를 개발해 농

민들에게 기술을 보급하고 있지만 과연 이들 과수를 재배해 성공한 농민들이 있냐”

며 “현 실정에 맞지도 않는 연구로 농민들만 피해를 보고 있기 때문에 농민들이 가

장 필요한 부분을 찾는 등 시대에 맞는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또 현우범 의원은 “과학영농연구시설 문제가 지역주민 설득 없이 추진되면서 지역

간의 갈등만 만들었다”며 “특히 도농기원 등 관련 부서의 적극적인 노력이 없어 불

거진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현 의원은 “앞으로 넘어야 할 과제가 많은데 주민들을 설득할 수 있는 논리적인 방

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며 “또한 지역갈등 해소를 위해 도농기원 차원이 아닌 제

주도 차원에서 대응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안동우 의원도 “연구시설 문제가 도의회에 계류된 이후 갈등 해소를 위해 현장을 방

문해 주민들과 만난 적이 있는가”며 “도의회 차원에서 갈등 해소 기회를 제공한 만

큼 도지사를 비롯해 농기원이 적극 나서야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않다”고 질타했

다.

이와 함께 이날 오후에 열린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의 서귀포시 행정사무감사에서

한나라당 고동수 의원은 성읍리 양돈장 허가 취소 문제와 관련 “행정이 관광산업에

치우치다보니 도내 축산업 정체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성읍리 양돈장 허가 취소

절차를 밟는 것은 창조행정에 역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또 고 의원은 “성읍리 양돈장 쟁점 가운데 농업용수 사용 문제는 사업자와 협의해

해결방안을 찾는 적극적인 행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영두 시장은 “사업자가 제시한 용수문제 해결방안은 현실적으로 불가

능해 허가 취소 절차를 밟고 있다”고 답변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07 서귀포시, 설 대목 비상품 감귤 유통 단속강화 기획정보과 2014-01-22 2884
1406 한라봉 생산량 감소원인 '자근(自根)'...어떻게 해결? 기획정보과 2014-01-16 3468
1405 "신선한 과일과 스낵의 만남"...제주 '프루낵' 런칭 기획정보과 2014-01-13 3247
1404 [기자수첩]'명품감귤연합사업단'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기획정보과 2014-01-10 3504
1403 제주밀감,한라봉 지고 '레드향'뜬다 기획정보과 2014-01-08 3255
1402 "따뜻한 제주 감귤은 뜨거운 사랑입니다" 기획정보과 2014-01-07 2930
1401 한라봉 효능 제값하나? 감귤과 비교해보니... 기획정보과 2013-12-12 3617
1400 [날씨경영 스토리]기후변화와 '감귤' 기획정보과 2013-12-02 3194
1399 [오피니언]종착역 향한 한중FTA, 대책 재점검하라 기획정보과 2013-11-19 3213
1398 [기고]감귤 제값받기에 대한 소고 기획정보과 2013-11-18 2944
1397 [제민포럼]감귤산업의 희망 그리고 절망 기획정보과 2013-11-12 4130
1396 [기고]최고의 과일이라고 쓰고 '감귤'이라 읽는다 기획정보과 2013-11-08 4009
1395 감귤 1번과 상품화 논란 재연 기획정보과 2013-11-01 3503
1394 [오피니언]감귤 명품화 결실, 정부 지원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13-11-01 3185
1393 '감귤의 가치'가공용 식품으로 되돌아 보자! 기획정보과 2013-10-30 3743
1392 제주도의회, 감귤 1번과 상품화 재점화 '논란' 기획정보과 2013-10-28 3340
1391 [열린마당]극조생감귤 '첫인상'이 좋아야 한다 기획정보과 2013-10-02 3411
1390 '시장 따로 정책 따로'감귤산업 우려 기획정보과 2013-09-30 3409
1389 감귤유통 불법행위고개...단속은 한계 기획정보과 2013-09-30 3314
1388 감귤 1번과 상품화 반대 기획정보과 2013-09-27 288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