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저급품 너무 많아 값 하락”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09 12:09:04      ·조회수 : 2,862     

<p></p>
<font size="5"><b>“저급품 너무 많아 값 하락” </b></font>

<font size="4" color="blue">짓눌러 터진 부패과에다 비상품도`출하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1/8 신정익 기자

(경제) 르포-서울 가락동 감귤 경매시장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된다는 입동(立冬)인 7일 새벽 2시 서울 가락동 농산물공판장.

올 가을 들어 가장 낮은 영하 1.3도를 기록한 가운데 강한 바람까지 불어 체감온도

는 영하 5∼6도까지 떨어졌다. 추운 날씨만큼이나 공판장내 과일경매시장의 분위기

도 예년같지 않게 가라 앉았다.

이날 가락동 공판장에 상장된 감귤은 총 408.9t. 전일 439t에 비해서는 7% 가량 줄었

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본격적인 경매를 앞두고 기자가 상장된 감귤들을 살펴본 결

과 적지 않은 부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수송과정에서 상자에 짓눌려 껍질이 터진

것들도 보였다.

가격에 대한 불안감이 들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가격하락의 주범은 부패과 등 저급품

농협 가락공판장 김정배 경매과장은 “노지감귤의 부패과가 올해처럼 많은 경우는 5

년여 만에 처음”이라며 “이로 인해 가격이 너무 하락하면 다시 치고 올라가는데 힘

에 부칠 수 있다”고 걱정했다.

중도매인인 이종기씨(51) 역시 “중도매인들이 경매에서 감귤을 구입한 후 직원들이

부패과를 골라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특히 중도매업체에서 상자째

감귤을 구입한 소매업체에서 부패과가 너무 많다며 반품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어 곤

혹스럽다”고 털어놨다.

이씨는 “가뜩이나 소비심리 위축에다 다른 경쟁과일들이 출하로 감귤시세가 침체

된 가운데 저급품이 줄지 않으면 정말 큰 일”이라고 우려했다. 이날 경매에 나온 중

도매인은 예년에 비해 20여 명 가량 줄었다. 감귤 재고가 쌓여 추가 구입을 하지 않

기 때문이다.

그나마 지난주까지는 10㎏ 한 상자에 많으면 20~30개의 부패과가 쏟아졌으나 이날

경매에 나온 감귤의 사정은 많이 좋아졌다는 게 시장 관계자들의 말이다.

▲‘비양심 출하’도 여전

유통명령제가 도입된 후 올해로 3년째 도외 이행점검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원근

씨(48.슈퍼마켓연합회 소속.양천구 신정동)는 “올들어 지금까지 출하된 물량은 작년

에 비해 많은 편은 아니지만 품위가 떨어진다”고 지적하고 “상습적으로 위반하는 경

우 많다. 결국 검사원이 제대로 검사를 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밖에 없다’고 말

했다. 이씨는 이날도 1번과를 2번과에 섞어 출하한 사례를 적발, 휴대폰 카메라로 촬

영해 출하연합회로 통보했다.

자신이 직접 슈퍼마켓을 경영하고 있어서 위축된 소비심리를 절감하고 있다는 이씨

는 “감귤의 품질만이 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침체를 이겨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가격유지 ‘안간힘’

이날 상장된 감귤 경락가는 최저 4000원에서 최고 1만 6000원에서 형성됐다. 최저가

인 4000원이 무너질 상황도 여러 차례 벌어졌다. 그러나 4000원을 유지하기 위해 경

매사의 숨은 노력이 이어지면서 다행히 이날의 마지노선은 지켜졌다.

그러기 위해 경매사는 연신 ‘호가’를 했다. 3000원대로 내려 앉는 상황은 없어야 하

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중도매인들과의 입씨름과 신경전도 심심찮게 벌어진다.

새벽 3시 30분께 경매가 끝나고 경매사와 담당직원들은 경매상황을 정리하면서 도

내 출하농가와 상인들에게 이날의 경매결과를 알려주고 출하물량을 조절해 달라고

부탁했다.

김정배 경매과장은 “산지에서 꼼꼼하게 선과해서 출하하면 그만큼 상품성이 높아지

기 때문에 가격으로 바로 직결된다”며 “현실에 그럭저럭 안주하는 지금까지의 관행

을 되풀이하면 제주감귤의 미래는 길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b>“저급품 너무 많아 값 하락”  </b>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07 제주 월동채소 소비촉진 판촉행사 및 김포공항 스크린 영상 홍보 총무기획부 2024-12-20 485
2106 전국 주요 유통업체 바이어 초청 워크숍 총무기획부 2024-12-16 503
2105 2024 감귤데이 기념행사 총무기획부 2024-12-04 542
2104 제주월동 채소 활용 요리 유튜브 홍보 총무기획부 2024-12-02 529
2103 제주감귤 소비촉진 판촉행사 총무기획부 2024-11-21 518
2102 2024 제주국제감귤박람회 부스 홍보 총무기획부 2024-11-20 462
2101 제8회 밭담축제 부스 홍보 총무기획부 2024-11-05 424
2100 기후위기 속 역대급 제주감귤 피해 … 열매 5개 중 1개 떨어져 감귤부 2024-09-26 1118
2099 [KBS 뉴스7_대담] 전국 최초 '농산물수급관리센터' 가동 총무기획부 2024-05-31 1368
2098 농산물수급관리센터 문 열어, 생산량 조절 가능할까? 총무기획부 2024-04-24 1540
2097 농작물 수급 관리되나 총무기획부 2024-04-24 1314
2096 제주 농업, 디지털 과학영농으로의 대도약 1 총무기획부 2024-04-23 1291
2095 갑작스런 대체작물 변경 농민 강력 반발 1 총무기획부 2024-04-22 1494
2094 감귤의무자조금, 만감류 할인 지원 1 기획정보과 2024-04-08 1185
2093 ‘물가안정’ 납품단가 지원, 만감류는 제외…감귤농가 뿔났다 1 기획정보과 2024-04-08 1039
2092 ‘물가안정’ 납품단가 지원, 만감류는 제외…감귤농가 뿔났다 1 기획정보과 2024-04-04 1041
2091 한·칠레 FTA 20년, 농가들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아직 끝나지 않았다 1 기획정보과 2024-04-02 1500
2090 국내 육성 만감류 신품종 보급 ‘속도’ 1 기획정보과 2024-04-02 1174
2089 역대급 겨울장마에 참외 수박 등 과채류 농사 대흉작...타는 농심 1 기획정보과 2024-03-29 778
2088 "감귤값 작년보다 2.5배↑"…생산자물가, 석달째 '상승' 1 기획정보과 2024-03-22 112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