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사]뚱뚱한 사람에겐 귤보다 껍질이 '보약'!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22 11:02:23      ·조회수 : 2,786     

<b>귤은 뚱뚱한 사람에겐 '독'이 될 수 있다고? </b>

<b>스포츠서울닷컴 2007년 01월 20일 (토) 07:51:51 메디컬투데이 mdtoday.iamdoctor.com</b>


겨울에 가장 인기 있는 과일은 귤이다. 귤은 감기예방과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흔하게 구할 수 있어 서민들의 대표적인 과일이라 할 수 있다.

한방에서 보는 은 잎, 껍질, 씨를 모두 약재로 쓰고 꽃을 차의 재료로 이용할 만큼 하나도 버릴 것이 없는 과일이다.

특히 귤 껍질은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귤껍질은 좋다는 걸 알면서도 농약오염의 불안감으로 인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잘만 관리해서 활용하면 훌륭한 보약이 된다.

◇ 뚱뚱한 이에게 귤은 ‘독’일수도

귤에는 구연산이라는 물질이 들어있어 스트레스와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주며, 비타민이 풍부해서 눈에 좋으며 피부와 점막을 튼튼하게 한다.

동맥경화와 고혈압 예방에 효과가 있고, 잇몸이나 혈관을 튼튼하게 해 상처를 빨리 낫게 할 뿐 아니라 활발한 장운동도 도와 노폐물의 축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대장암 예방이나 유방암의 세포의 증식을 막아준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하지만 뚱뚱한 사람에게 귤은 좋지 않을 수 있다. 대전대 대전 한방병원 소화기내과 이연월 교수는 귤은 겨울에 나는 과일로 찬 성질을 갖고 있어 소화가 잘 안되며 담을 생성할 수 있다고 충고한다.

한방에서 담이란 소화가 안될 때 생길 수 있는 노폐물을 말하며 소화기능이 약할 대 생긴다. 반면 몸이 마르고 화가 많은 사람에게 귤은 수분을 보충해 주고 갈증을 없애는데 효과적이다.

◇ 잘 익은 껍질 ‘진피’는 훌륭한 약제

귤껍질은 귤보다 더 훌륭한 약효를 갖고 있다.

동국대 일산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김호준 교수에 따르면 귤껍질은 귤과 반대로 맵고 쓴 맛에 따뜻한 성질이 있다.

귤 껍질 중 채 익지 않은 것을 청피(靑皮), 잘 익은 것을 진피(陳皮), 껍질 안쪽의 흰 부분만 제거한 나머지 부분을 귤홍(橘紅)이라 하여 각각의 부분을 다르게 활용할 정도로 쓰임새가 많다.

특히 진피는 기운을 소통시켜 주고, 몸에 쌓인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또 위장기능을 활발하게 해 소화를 촉진 시키고, 구역질, 구토, 딸꾹질을 막고 땀을 내 기침과 가래를 줄여 준다.

또, 물고기와 바닷게의 독을 풀고 비린내를 없애는데 효과적이며, 생선가시가 목에 걸렸을 때 씹으면 씻은 듯이 내려가게 한다.

또, 파란색으로 덜 익은 귤껍질인 청피는 기를 흩어버리는 성질이 강해 스트레스 과다로 인해 옆구리가 결리고 아픈 경우와 뱃속의 덩어리를 풀어주는데 좋다.

◇ 식초에 담갔다 맑은 물에 헹궈야 먹어야 안전

하지만 귤껍질은 그냥 먹기엔 농약재로 인해 위험하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귤껍질은 특수한 처리를 거친 것이지만 일반적인 귤은 껍질을 우려먹기엔 좋지 않다.

김호준 교수는 농약의 위험성을 줄이려면 흐르는 맑은 물에 여러 번 씻은 후 약간의 식초를 탄 물에 잠시 담가 두었다 헹궈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말려두었다가 사용할 것을 권한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귤껍질은 오래 보관한 것일수록 효과가 크다. 먹을 때는 차로 우려먹는 것이 좋다. 또, 입욕제로 활용하면 피로회복과 감기예방, 피부미용에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 체내에 열을 일으키고, 땀을 내는 작용이 있으므로 허열이 많거나 기운이 약해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전한다.

또, 몸에 음기가 부족해 가래 없이 마른 기침을 자주하거나 기운이 약하고 너무 마른 사람에게는 맞지 않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07 제주 월동채소 소비촉진 판촉행사 및 김포공항 스크린 영상 홍보 총무기획부 2024-12-20 495
2106 전국 주요 유통업체 바이어 초청 워크숍 총무기획부 2024-12-16 509
2105 2024 감귤데이 기념행사 총무기획부 2024-12-04 542
2104 제주월동 채소 활용 요리 유튜브 홍보 총무기획부 2024-12-02 531
2103 제주감귤 소비촉진 판촉행사 총무기획부 2024-11-21 518
2102 2024 제주국제감귤박람회 부스 홍보 총무기획부 2024-11-20 464
2101 제8회 밭담축제 부스 홍보 총무기획부 2024-11-05 425
2100 기후위기 속 역대급 제주감귤 피해 … 열매 5개 중 1개 떨어져 감귤부 2024-09-26 1121
2099 [KBS 뉴스7_대담] 전국 최초 '농산물수급관리센터' 가동 총무기획부 2024-05-31 1370
2098 농산물수급관리센터 문 열어, 생산량 조절 가능할까? 총무기획부 2024-04-24 1540
2097 농작물 수급 관리되나 총무기획부 2024-04-24 1314
2096 제주 농업, 디지털 과학영농으로의 대도약 1 총무기획부 2024-04-23 1296
2095 갑작스런 대체작물 변경 농민 강력 반발 1 총무기획부 2024-04-22 1494
2094 감귤의무자조금, 만감류 할인 지원 1 기획정보과 2024-04-08 1189
2093 ‘물가안정’ 납품단가 지원, 만감류는 제외…감귤농가 뿔났다 1 기획정보과 2024-04-08 1041
2092 ‘물가안정’ 납품단가 지원, 만감류는 제외…감귤농가 뿔났다 1 기획정보과 2024-04-04 1042
2091 한·칠레 FTA 20년, 농가들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아직 끝나지 않았다 1 기획정보과 2024-04-02 1500
2090 국내 육성 만감류 신품종 보급 ‘속도’ 1 기획정보과 2024-04-02 1174
2089 역대급 겨울장마에 참외 수박 등 과채류 농사 대흉작...타는 농심 1 기획정보과 2024-03-29 779
2088 "감귤값 작년보다 2.5배↑"…생산자물가, 석달째 '상승' 1 기획정보과 2024-03-22 112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