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민포럼]감귤 탑프루트 사업을 마무리 하며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0-28 09:08:07      ·조회수 : 3,124     

과실수입개방 허용과 FTA·DDA등 시장 추가개방 논의 확대 및 웰빙 열풍등 소비자 패턴이 고품질과 안전성 중심으로 급격히 변하고 있는 시점에서 최고품질 감귤생산으로 고소득을 올리는 탑프루트 사업이 2단계 막바지로 접어들고 있다. 3년동안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과 제주도농업기술원 그리고 기술센터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내용을 돌이켜 보고 잘된 점은 계속 추진하고 다소 부족한 점은 개선·보완해 더 발전된 탑프루트 사업으로 추진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우선 많은 농가들이 종합적인 만족도에 있어 긍정적인 점수를 준다. 특히 고품질 생산에 관해 대부분의 농가들이 자신감을 갖게 됐고 탑프루트 기술을 투입해 생산된 감귤들이 도매시장 등에서 관행 감귤농가에 비해 2~3배 더 높은 가격을 받았을때 그 기쁨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려울 정도였다. 지금까지는 특정 지역의 감귤이 맛있고 높은 가격을 받았지만 탑프루트 농가들의 경우 산남·북 가릴것 없이 날씨와 토양 등 하늘로부터 주어진 환경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고품질 생산으로 높은 가격을 받는 농업인이 꽤 많이 생겨났다.

더욱이 최근에 준공된 거점산지유통센타(APC)의 비파괴 선과기를 통한 차별화된 상품생산은 소비자를 만족시켜 지속구매가 이뤄지고 감귤이 명품으로 거듭나는 계기도 됐다. APC가 없었던 10년 전만해도 탑프루트의 핵심 기술인 타이벡(TYVEC)재배를 통해 생산된 감귤이 높은 가격을 받지 못했기에 부정적인 농업인들이 많았다. 고생은 무척했지만 그에 따른 보상을 받지 못했기에 초창기 농업인들은 활용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APC 를 통해 선별된 감귤의 경우 도매시장 등에서 차별화된 상품으로 인정을 받고 있고 다른제품 대비 높은 가격을 주었기에 앞으로는 더 늘어날 것이다. 품질 만족도에 있어서는 매년 품질이 향상되고 있고 과일의 크기·색깔·당도 등에서 기존 관행으로 생산된 감귤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탑프루트 사업전과 비교 상품의 고급화가 이뤄졌다. 기술수준에서는 중앙기술지원단과 도기술원 및 기술센터 지도사들의 교육과 지원에 힘을 얻어 많이 향상됐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내용외에 문제점 및 과제도 있었다. 특히 홍보 및 유통과정의 문제점은 앞으로 개선해야 할 것 같다. 2단계 마지막 3년차가 진행되는 지금도 많은 농업인들의 경우 탑프루트사업을 모르고 있다. 탑프루트 사업이 단지 회원들만의 고품질 생산과 고소득 올리는 것만이 아니고 기술과 경험을 인근 농가들에게 전파하는 일도 중요한 일일 것이다.

또한 유통과정은 많은 농업인들이 불만을 갖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이다. 아직까지는 참여농업인이 적고 물량이 많지 않다 해도 지속적인 관심과 더 나아가 탑프루트 생산감귤 판매시 창구를 일원화활 수 있는 방법도 좋을 것 같다. 또한 현재의 단지별 회원구성을 20명 전후가 아닌 50여명 수준으로 확대해 더 많은 농업인에게 기회를 주고 이분들이 각지역에서 기술 전도사가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것도 중요하다.

최근 우리 국회는 한-미 FTA 비준에 진통을 겪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FTA가 비준됐고 올해 말에는 한-중 FTA 협상이 시작된다는 말이 흘러 나온다. 다가올 엄청난 시련 앞에 우리가 지금이라도 대처할 수 있는 것은 고품질 생산과 안정된 농산물 생산일 것이다.

이 자리를 빌어 그동안 탑프루트 사업을 위해 애쓴 시험장·기술원 및 기술센터의 지도직 담당자들에게 감사드리며 사업이 종료돼 특별한 지원을 할 수 없다 해도 강소농 사업과 연계해 탑프루트 회원들이 높은 수취 가격을 받을 수 있도록 관심과 성원을 기대해 본다. 아울러 3년동안 교육과 컨설팅 등을 통해 검증된 우수회원들을 잘 활용해 주변농가들에게 그동안 배운 축적된 기술을 보급시킬 수 있는 장을 만들어 주고 그러므로써 감귤산업의 경쟁력을 갖도록 하는 일 또한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김종우 감귤사랑동호회 회장·논설위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05 2024 감귤데이 기념행사 총무기획부 2024-12-04 537
2104 제주월동 채소 활용 요리 유튜브 홍보 총무기획부 2024-12-02 519
2103 제주감귤 소비촉진 판촉행사 총무기획부 2024-11-21 515
2102 2024 제주국제감귤박람회 부스 홍보 총무기획부 2024-11-20 457
2101 제8회 밭담축제 부스 홍보 총무기획부 2024-11-05 421
2100 기후위기 속 역대급 제주감귤 피해 … 열매 5개 중 1개 떨어져 감귤부 2024-09-26 1106
2099 [KBS 뉴스7_대담] 전국 최초 '농산물수급관리센터' 가동 총무기획부 2024-05-31 1356
2098 농산물수급관리센터 문 열어, 생산량 조절 가능할까? 총무기획부 2024-04-24 1528
2097 농작물 수급 관리되나 총무기획부 2024-04-24 1307
2096 제주 농업, 디지털 과학영농으로의 대도약 1 총무기획부 2024-04-23 1289
2095 갑작스런 대체작물 변경 농민 강력 반발 1 총무기획부 2024-04-22 1494
2094 감귤의무자조금, 만감류 할인 지원 1 기획정보과 2024-04-08 1183
2093 ‘물가안정’ 납품단가 지원, 만감류는 제외…감귤농가 뿔났다 1 기획정보과 2024-04-08 1037
2092 ‘물가안정’ 납품단가 지원, 만감류는 제외…감귤농가 뿔났다 1 기획정보과 2024-04-04 1033
2091 한·칠레 FTA 20년, 농가들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아직 끝나지 않았다 1 기획정보과 2024-04-02 1498
2090 국내 육성 만감류 신품종 보급 ‘속도’ 1 기획정보과 2024-04-02 1168
2089 역대급 겨울장마에 참외 수박 등 과채류 농사 대흉작...타는 농심 1 기획정보과 2024-03-29 777
2088 "감귤값 작년보다 2.5배↑"…생산자물가, 석달째 '상승' 1 기획정보과 2024-03-22 1121
2087 "베트남 친구들이 농사 다 지었다"…감귤농가 '최고' 평가 1 기획정보과 2024-03-15 1040
2086 제주산 감귤, 미국 월마트 간다…FBH, 가공품 수출 추진 1 기획정보과 2024-03-12 110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