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기고>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20 10:12:31      ·조회수 : 2,871     

<기고>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7월 20일 제주일보
조정의 수필가

달포나 되었을까. 갑자기 서울에 가야 할 일이 생겨 한라봉 두 상자를 들고 비행기를 탔다. 내 딴에는 빈 손으로 가는 것 보다야 백 번 잘하는 일이라는 생각에서였다.

한 상자는 친구에게, 또 한 상자는 누이에게 줬다.

친구는 뭐 이런 비싼 걸 들고 왔느냐고 저녁을 거하게 샀다. 일을 마치고 한라봉 두 상자의 위력을 만끽하며 제주에 내려왔는데 누이로부터 질책성 전화가 걸려왔다.

“오빠 선물을 할 양이면 최고는 못되어도 성의는 있어야 되는 게 아니에요.” 목소리가 앙칼졌다. 어처구니가 없었다. 꼭 물리적으로 한 방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얼른 대꾸할 말이 떠오르지 않아 한참을 머뭇거려야 했다. 막내 누이라 조금은 응석이 섞인 그런 정도로 알았는 데 그게 아니었다.

문제는 서울의 동네 슈퍼마켓에서도 이 보다 질이 좋은 한라 봉을 쉽게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내가 준 한라봉의 질이 형편없더라고….

내가 상자 속에 든 한라봉의 질을 어떻게 알 것인가. 누이였으니 망정이지 남에게 선물한 것이었다면 내 체면은 어떻게 되었을까. 누이의 목소리가 앙칼진 연유를 알만했다.

부르는 대로 값을 주고 최고의 상품이라는 말을 믿고 서울까지 양손에 가볍지 않게 들고 가서 선물한 죄 밖에 없는데, 그 한라 봉으로 해서 내가 곤욕을 치르고 있는 것이다. 서울을 다녀온 며칠 후 신문에 ‘한라봉 만족도 갈수록 추락’이라는 기사가 난 걸 보았다.

큼지막하게 표제를 단 신문 기사가 나를 슬프게 했다. 신문을 보며 누이의 볼멘소리가 거저 나온 게 아니었구나 하는 생각에 고개가 끄떡여졌다. 꼭 풋감 씹은 기분이었다. 처음 누이로부터 한라봉 어쩌고 하는 말을 들을 때만 해도 설마 한 두 개 잘못 된 게 섞였겠지 하고 대수롭잖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신문에 한라봉을 질타하는 글이 실릴 정도니, 누이의 당찬 목소리가 설마가 아님을 실감케 했다. 누이에게 변명의 여지가 없게 된 것이다. 누구를 탓해야 되는 것일까. 한라봉은 제주과일의 상징인 양 한껏 부풀어 있었는데, 이제 서서히 추락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에서는 한미 FTA를 서두르고 있다. 밀감이나 한라봉이 FTA의 파고를 견딜만한 재주가 있기나 한가. 설령 재주가 있다고 한들 지역 특산물이라고 해서 법의 보호를 받던 시대는 갔다. 눈앞에 닥친 거센 물결을 몸으로 부닥쳐야 하는 현실이 하루하루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밀감도 한라봉도 적당히 미적거리는 사고로는 먹혀들지 않는다. 신문에 나 있는 ‘한라봉 만족도 갈수록 추락’이라는 기사가 강 건너 불이 아니다. 소설가 이문열은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고 했다. 한라봉에 애시 당초 날개가 있기나 했을까.

한라봉이 추락하는 모양새를 볼 양이면 아예 날개다운 날개도 없이 붕떴다가 추락하는 양상이다. 일부에서는 처음부터 한라봉은 거품으로 부풀어 있었다는 말도 서슴없이 한다. 아무튼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고 했다.

이제라도 더 추락하기 전에 한라봉에 날개를 달자. 한라봉에 날개를 다는 일은 생산자의 몫이다. 유통과정에서도 한 몫을 거들어야 한다. 그것만이 사는 길이다. 묘수는 없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87 감귤 '1번과' 상품대접 받나?....조례개정 '관심' 기획정보과 2013-09-24 3104
1386 [기고]제주감귤 미국식탁 진출 '청신호' 기획정보과 2013-09-04 3333
1385 [사설]감귤산업 명품화 대책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3-08-26 3241
1384 수도권 대학생 농업원정대 제주에 떳다... 기획정보과 2013-07-02 3082
1383 환경변화와 감귤(김용호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 연구관) 기획정보과 2013-06-26 3049
1382 이양호 농촌진흥청장, 브랜드감귤대학 현장방문 기획정보과 2013-06-24 3095
1381 찾아오는 서귀포, 돌아오는 서귀포 가시화 기획정보과 2013-06-20 2780
1380 노지감귤 관측조사 시작 기획정보과 2013-05-13 3285
1379 감귤 생산체계 바뀐다 기획정보과 2013-05-13 3427
1378 제주시 감귤비가림하우스등 245억 지원 기획정보과 2013-05-13 3405
1377 지열.공기열냉방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3-05-13 3399
1376 기금지원 시설점검 기확정보과 2013-05-13 3320
1375 만감류 안정생산 위해 꽃따기·적과 실천해야 기획정보과 2013-05-02 2968
1374 선호도 높은 제주 감귤 직거래는 바닥 기획정보과 2013-05-02 3645
1373 비닐하우스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가능 기획정보과 2013-05-02 3445
1372 노지감귤 1번과 올해도 기확정보과 2013-05-02 3415
1371 황룡병 발생 지역, 감귤류 묘목 수입 금지 기획정보과 2013-05-02 3168
1370 감귤간벌 초과 달성…제주농협 622ha 실시 기획정보과 2013-04-12 2980
1369 가장 부유하다는 서귀포 감귤 농가의 '추락' 기획정보과 2013-03-13 3339
1368 [기고]맛과 품질로 감귤 경쟁력을 높이자! 기획정보과 2013-03-08 328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