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불량감귤 열매솎기 뒷북대응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01 14:09:51      ·조회수 : 3,973     

불량감귤 열매솎기 뒷북대응
도, 추진시기 놓치고 뒤늦게 나서
제민일보 8/31 현민철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노지감귤 생산 예상량 2차 조사결과 발표후 부랴부랴 불량감귤 열매솎기 추진 계획을 발표, 뒷북 행정이란 지적이다.
매년 불량감귤 열매솎기가 7월이후 수확기 이전까지 추진되는데 반해 올해는 1개월이상 늦게 추진돼 늑장대응이란 비난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는 최근 농업기술원의 2차 관측조사 결과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 예상량이 최대 59만t에 이를 것으로 조사됨에 따라 극대과와 극소과, 상처과 등 소비자 기호에 맞지 않는 불량감귤을 위주로 열매솎기를 추진키로 했다.
도는 이에 따라 제주시 1만4000t과 서귀포시 2만6000t 등 모두 4만t을 불량감귤 열매솎기 추진목표로 설정했다.
도는 이를 위해 농가자율 실천 운동과 함께 농업인 단체 및 유관기관 단체 위주의 일손돕기 지원과 참여농가 가공용 우선수매 등 감귤 시책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그런데 올해 불량감귤 열매솎기 추진 시기가 예년보다 늦어 도가 느긋한 입장을 보이다 뒤늦게 열매솎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비난이 일고 있다.
지난 5월 1차 관측 조사결과 최대 59만t 생산이 예상돼 불량감귤 열매솎기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시됐으나 도가 이를 무시하다 추진 시기만 놓치고 뒤늦게 추진계획을 수립하는 등 늑장대응을 벌이고 있는 것.
특히 일부 농가들은 감귤 수확기가 다가오면서 불량감귤 열매솎기에 소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 과잉생산 등도 우려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2차 관측 조사결과 과잉생산이 우려된 만큼 감귤 제값 받기 차원에서 열매솎기를 추진키로 했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409 [감귤명품화사업 진단②]대통령 공약 무색한 '제주감귤명품화 사업' 기획정보과 2014-01-24 4073
1408 [감귤산업명품화 진단①]제주 감귤밭 1천평으로 한중 FTA자신감 기획정보과 2014-01-24 3716
1407 서귀포시, 설 대목 비상품 감귤 유통 단속강화 기획정보과 2014-01-22 3254
1406 한라봉 생산량 감소원인 '자근(自根)'...어떻게 해결? 기획정보과 2014-01-16 3864
1405 "신선한 과일과 스낵의 만남"...제주 '프루낵' 런칭 기획정보과 2014-01-13 3620
1404 [기자수첩]'명품감귤연합사업단'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기획정보과 2014-01-10 3878
1403 제주밀감,한라봉 지고 '레드향'뜬다 기획정보과 2014-01-08 3458
1402 "따뜻한 제주 감귤은 뜨거운 사랑입니다" 기획정보과 2014-01-07 3270
1401 한라봉 효능 제값하나? 감귤과 비교해보니... 기획정보과 2013-12-12 3971
1400 [날씨경영 스토리]기후변화와 '감귤' 기획정보과 2013-12-02 3551
1399 [오피니언]종착역 향한 한중FTA, 대책 재점검하라 기획정보과 2013-11-19 3581
1398 [기고]감귤 제값받기에 대한 소고 기획정보과 2013-11-18 3258
1397 [제민포럼]감귤산업의 희망 그리고 절망 기획정보과 2013-11-12 4646
1396 [기고]최고의 과일이라고 쓰고 '감귤'이라 읽는다 기획정보과 2013-11-08 4682
1395 감귤 1번과 상품화 논란 재연 기획정보과 2013-11-01 3856
1394 [오피니언]감귤 명품화 결실, 정부 지원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13-11-01 3526
1393 '감귤의 가치'가공용 식품으로 되돌아 보자! 기획정보과 2013-10-30 4274
1392 제주도의회, 감귤 1번과 상품화 재점화 '논란' 기획정보과 2013-10-28 3639
1391 [열린마당]극조생감귤 '첫인상'이 좋아야 한다 기획정보과 2013-10-02 3908
1390 '시장 따로 정책 따로'감귤산업 우려 기획정보과 2013-09-30 380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