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류 협상 궁금증 증폭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19 11:19:56      ·조회수 : 2,991     

<b><font size=5>

감귤류 협상 궁금증 증폭</font>

입력날짜 : 2007. 03.17. 한라일보

제주도 "감귤 계절관세 적용여부 확인 안돼"<font size=3 color=blue>

대책위 건의문 "도민 뜻 반영안되면 불인정"</font><font size=3>

 한미FTA 농업분야 고위급 회담이 19일부터 예정된 가운데 미국산 오렌지에 대해 연중 특정시기에 수입관세를 신축적으로 부과하는 '계절관세'에 대한 협의가 진행될 것이란 관측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으나 제주도 당국은 "아직 확인된 게 없다"고 밝혀 궁금증을 증폭시키고 있다.

 이와관련 한미FTA 감귤특별대책위원회(위원장 강지용)는 16일 대정부 건의문을 통해 "제주도민의 뜻이 반영되지 않거나 동의가 없는 한미FTA협상은 어떤 내용도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제주도 관계자는 최근 오렌지 계절관세 부과에 대한 보도 등과 관련해 "공식적으로 확인된 게 없으며 과일류 전체에 대한 접근방법으로 알고 있다"며 "(계절관세에 대해) 과일별로 확실하게 구분돼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농림부도 감귤만큼은 지키겠다는 의지"라고 덧붙였다.

 농림부는 지난 13일 공식 브리핑을 통해 지난 8차 한미FTA 농업 분과 협상에서 별 진전없이 양국의 큰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며 우리나라는 이번 협상에서 미국이 핵심 민감품목에 대한 양허(개방) 제외, 계절관세, 수입쿼터(TRQ) 설정 등 다양한 방식을 인정하면 계절관세 적용기간이나 수입쿼터 물량 등의 문제에서는 신축성을 보일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와관련 김태환 지사는 지난 8차협상 때 우리측 김종훈 수석대표와의 면담에서 "감귤류 등 민감품목에 대한 계절관세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다"며 "이는 제주에서는 매우 충격적인 일로 받아들여져 도민의 정서와 감정이 악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미 양측은 쇠고기·오렌지 등 핵심 품목의 경우 오는 19~21일로 예정된 농업분야 고위급 협상과 그에 앞선 실무 협의 등을 통해 계속 의견 조율을 시도할 예정이다.

 한편 한미FTA감귤대책위는 이날 19일 열리는 고위급 회담을 앞둬 제주 생존권 사수를 위해 오렌지 등 감귤류가 쌀과 대등하게 협상품목에서 제외해 주도록 국회와 한미FTA체결지원위원회·외교통상부·농림부 등에 건의문을 전달했다. 대책위는 건의문에서 "제주감귤의 지역 집중도와 민감성 등 감귤 폐원시 대체작목이 없고, 또한 대체 직업이 없어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호소하는 제주특별자치도민의 절박한 심정을 반드시 헤아려 줄 것"을 요청했다.

 대책위는 이어 "제주도민들은 생존권 차원에서 감귤이 쌀처럼 대등한 지위를 인정받을 때까지 끝까지 사력을 다해 투쟁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87 감귤 '1번과' 상품대접 받나?....조례개정 '관심' 기획정보과 2013-09-24 3123
1386 [기고]제주감귤 미국식탁 진출 '청신호' 기획정보과 2013-09-04 3360
1385 [사설]감귤산업 명품화 대책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3-08-26 3252
1384 수도권 대학생 농업원정대 제주에 떳다... 기획정보과 2013-07-02 3082
1383 환경변화와 감귤(김용호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 연구관) 기획정보과 2013-06-26 3051
1382 이양호 농촌진흥청장, 브랜드감귤대학 현장방문 기획정보과 2013-06-24 3100
1381 찾아오는 서귀포, 돌아오는 서귀포 가시화 기획정보과 2013-06-20 2794
1380 노지감귤 관측조사 시작 기획정보과 2013-05-13 3291
1379 감귤 생산체계 바뀐다 기획정보과 2013-05-13 3427
1378 제주시 감귤비가림하우스등 245억 지원 기획정보과 2013-05-13 3411
1377 지열.공기열냉방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3-05-13 3410
1376 기금지원 시설점검 기확정보과 2013-05-13 3344
1375 만감류 안정생산 위해 꽃따기·적과 실천해야 기획정보과 2013-05-02 2983
1374 선호도 높은 제주 감귤 직거래는 바닥 기획정보과 2013-05-02 3647
1373 비닐하우스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가능 기획정보과 2013-05-02 3461
1372 노지감귤 1번과 올해도 기확정보과 2013-05-02 3422
1371 황룡병 발생 지역, 감귤류 묘목 수입 금지 기획정보과 2013-05-02 3178
1370 감귤간벌 초과 달성…제주농협 622ha 실시 기획정보과 2013-04-12 2980
1369 가장 부유하다는 서귀포 감귤 농가의 '추락' 기획정보과 2013-03-13 3345
1368 [기고]맛과 품질로 감귤 경쟁력을 높이자! 기획정보과 2013-03-08 328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