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 FTA서`감귤 보호해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01 10:04:06      ·조회수 : 2,531     

”한미 FTA서`감귤 보호해야”
농업예산확충 필요성도 제기…일회성 모임 비판 여론도
제주일보 8/1
제주경제의 생존권 보호와 주력산업인 감귤산업 유지를 위한 한미FTA(자유무역협정) 대응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또 친환경직불제 지원 확대, 가공시설 설치, 친환경급식 추진 등도 요구되고 있다.

이는 제주특별자치도 친환경농축산국이 31일오후 제2청사 회의실에서 열린 2006 친환경농축산분야 워크숍에서 제기됐다.

강원호 유기농재배농가는 한미FTA 협상과 관련 “중앙정부가 쌀에 비해 제주 감귤을 중요시하지 않아 소외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제주도의 명확한 입장을 요구했다.

또다른 농가도 “우르과이라운드협상때도 오렌지 수입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며 2차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특히 “농어촌진흥기금이 목표대로 적립되지 않고 있고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의 출연금도 강제규정이 아닌 임의규정으로 인해 단 1원도 없는 실정”이라며 농업관련 예산 확충 필요성을 제기했다.

또 친환경재배 감귤을 가공할수 있는 시설 마련, 무농약 감귤 재배 활성화 및 가공용 수매 지원, 시설재배농가 대상 고유가에 대비한 에너지정책 추진 등이 건의했다.

이밖에도 유기축산 실시, 친환경축사 신축비 지원, 유기질 비료 생산 확대, 제주마 지원 확대 및 식용마에 대한 사후관리 철저 등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다.

이에대해 제주도 관계자들은 “한미FTA 협상에서 감귤이 예외품목으로 지정될수 있도록 노력중”이라며 “친환경시범도 육성을 위해 차별화된 시책을 펼칠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에앞서 고성보 제주대교수는 ‘제주도 농업생명산업의 발전전략’을 주제로 제주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특강을 실시했다.

그런데 이날 워크숍은 당초 섭외됐던 초빙 강사가 갑작스럽게 불참을 통보하면서 전날에야 주제발표자가 뒤바뀌는가하면 담당 국장은 승진 인사와 관련 불참한 가운데 상당수 참석자들이 특강 도중 또는 토론 도중 자리를 뜨는 어수선한 분위기속에서 진행, 맥이 빠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때문인지 이날 행사는 제주 농업분야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라기보다는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을 맞아 농업분야 관련 공무원과 전문가, 생산자단체 관계자들간 다짐의 자리를 마련하기 위한 ‘일회성’ 모임이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67 감귤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획정보과 2013-02-06 2760
1366 감귤가격 하락세 긴급처방 절실 기획정보과 2013-02-06 2673
1365 설 대목 앞둬 비상품 감귤 유통 확대 예상 서귀포시 단속강화 기획정보과 2013-01-16 3274
1364 감귤 연중생산.유통체계 구축한다 기획정보과 2013-01-11 2540
1363 제주감귤육종센터 건립...신품종 연구탄력 기획정보과 2013-01-11 2773
1362 [칼럼]제주 감귤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생각 기획정보과 2013-01-04 2904
1361 대전오정동도매시장 전경(2012.12.28) 기획정보과 2012-12-28 4005
1360 [사설]'장미빛 청사진'에 그친 감귤수출 기획정보과 2012-12-27 2770
1359 도내 감귤농가 고령화 가속 기획정보과 2012-12-14 3156
1358 매해 2만t정도의 폐밀감 어디로 숨겨지나 기획정보과 2012-12-04 3154
1357 대한민국 과수산업대전 제주감귤,키위 전국6대 과실과 경쟁 기획정보과 2012-11-28 3152
1356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 방치" 기획정보과 2012-11-19 3341
1355 [기고]감귤 수확할때 눈을 보호하자 기획정보과 2012-11-13 3202
1354 1번과 관리실패 감귤시세'먹구름' 기획정보과 2012-11-08 2686
1353 제주시 감귤 서귀포산 둔갑 산남농심 애탄다. 기획정보과 2012-11-08 3733
1352 [기고]비상품감귤의 유통근절로 감귤 조수입 8,000억원 시대진입 기획정보과 2012-11-07 3586
1351 자치경찰 비상품감귤 유통 무더기 적발 기획정보과 2012-11-01 3171
1350 올해산 극조생 노지감귤 1번과 처리 골머리 기획정보과 2012-10-24 3249
1349 비상품 1번과 유통 우려 이미 현실로 기획정보과 2012-10-24 3491
1348 [기고]비상품감귤 유통행위는 소비자 기만행위 기획정보과 2012-10-15 320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