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불신만 재촉하는 道 감귤농정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09 09:54:21      ·조회수 : 3,621     

불신만 재촉하는 道 감귤농정
제주일보 8/8
제주특별자치도 감귤농정의 행태가 갈수록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이는 왁스코팅 처리를 한 감귤출하규제 정책이 허공에 뜨면서 비롯된다.

도 조례상 감귤 왁스규제는 지난 7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가기로 명문화됐다. 하지만 당국은 이 눈치 저 눈치를 보면서 여태 명확한 입장 표명조차 없다. 참으로 한심스럽다.

현행 감귤의 왁스코팅 체계는 물로 세척 후 선과하는 과정에서 화염 열풍건조를 거친다. 이로 인해 미관상 뛰어나 보이나 운송도중 부패되는 사례 등이 잇따르고 있다.

결국 제주도와 도의회는 고품질 보장을 위해 2004년 7월 감귤유통조례를 개정, 왁스코팅 감귤의 국내출하를 금지하되 선과기 개선을 위해 2년간 그 시행을 유보했던 것이다.

따라서 당국은 지난 7월부터 본격적인 단속에 들어가야 했다. 하지만 생산농가 등의 반발이 거세지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

농협 조합장들로 구성된 제주감귤협의회조차 “왁스코팅 감귤은 좋은 값을 받고 있고 부패율 또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는 농가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특히 현행 선과기 체계로는 왁스코팅이 불가피하다며 이의 규제를 강력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과일의 무한경쟁시대에 청정 제주감귤의 생존전략이 아니다. 수입산 오렌지와의 차별화를 위해서도 그렇다.

이에 (사)한국농업경영인 제주도연합회는 7일 성명을 내고 “왁스코팅은 ‘자연 그대로’라는 청정 이미지를 훼손시켜 궁극적으론 제주감귤에 막대한 상처를 입힌다”고 주장했다.

왁스코팅 자체는 겉보기에만 좋게 하려는 것일 뿐으로, 오히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질 경우 웰빙시대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당할 위험성이 크다는 얘기다. 옳은 지적이다.

지금은 제주감귤의 미래를 위해 ‘환골탈퇴’와 같은 사고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눈앞의 좋은 값에만 집착하는 근시안적인 사고는 제주감귤의 추락을 앞당길 뿐이다. 그러다보니 오는 10월 중순께부터 올해산 노지감귤의 본격 출하를 앞두고 있다. 당국은 더 이상 조례시행을 미뤄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생산자 단체가 도의회에 조례 시행유보를 건의해 주기를 내심 바란다니 아직도 정신 못 차렸다.

오히려 불신만 재촉하는 감귤농정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89 감귤유통 불법행위고개...단속은 한계 기획정보과 2013-09-30 3650
1388 감귤 1번과 상품화 반대 기획정보과 2013-09-27 3197
1387 감귤 '1번과' 상품대접 받나?....조례개정 '관심' 기획정보과 2013-09-24 3360
1386 [기고]제주감귤 미국식탁 진출 '청신호' 기획정보과 2013-09-04 3686
1385 [사설]감귤산업 명품화 대책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3-08-26 3605
1384 수도권 대학생 농업원정대 제주에 떳다... 기획정보과 2013-07-02 3402
1383 환경변화와 감귤(김용호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 연구관) 기획정보과 2013-06-26 3342
1382 이양호 농촌진흥청장, 브랜드감귤대학 현장방문 기획정보과 2013-06-24 3340
1381 찾아오는 서귀포, 돌아오는 서귀포 가시화 기획정보과 2013-06-20 3110
1380 노지감귤 관측조사 시작 기획정보과 2013-05-13 3655
1379 감귤 생산체계 바뀐다 기획정보과 2013-05-13 3637
1378 제주시 감귤비가림하우스등 245억 지원 기획정보과 2013-05-13 3685
1377 지열.공기열냉방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3-05-13 3769
1376 기금지원 시설점검 기확정보과 2013-05-13 3813
1375 만감류 안정생산 위해 꽃따기·적과 실천해야 기획정보과 2013-05-02 3346
1374 선호도 높은 제주 감귤 직거래는 바닥 기획정보과 2013-05-02 4082
1373 비닐하우스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 가능 기획정보과 2013-05-02 3843
1372 노지감귤 1번과 올해도 기확정보과 2013-05-02 3854
1371 황룡병 발생 지역, 감귤류 묘목 수입 금지 기획정보과 2013-05-02 3417
1370 감귤간벌 초과 달성…제주농협 622ha 실시 기획정보과 2013-04-12 322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