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화훼 등 시설농가 영농비 ‘비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22 11:00:38      ·조회수 : 2,620     

<b><font size=5>

화훼 등 시설농가 영농비 ‘비상’ </font><fint size=3 color=blue>

7월부터 면세유 감면혜택 25%↓…내년은 전액과세 </font>

2007년 03월 21일 (수) 제주타임스 <font size=3>


화훼, 감귤 등 시설재배농가들이 오는 7월부터 면세유 감면혜택을 25% 못받게 돼 영농비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내년 1월 1일부터는 세제혜택이 완전 사라져 시설농가들은 도저히 수지타산을 맞출 수 없게 돼 발등의 불이 아닐 수없다.

지난해 15만ℓ의 면세유를 사용한 화훼농가 강정구씨(제주시 신촌)는 값싼 중국산에 밀려 화훼값이 약세를 면치 못하는 상황에서 난방용 면세유마저 두배 가까이 오를 예정이어서 걱정이 태산이다.

강씨가 지난해 사용한 난방비는 약 1억원. 당장 7월부터 25% 경감혜택이 줄어들어 2500만원이 더 들어가고 내년부터는 2억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농협제주본부에 따르면 농업용 석유류의 비과세 적용시한은 오는 6월 30일로 7월 1일부터 75% 감면받고 2008년 1월 1일부터는 전액 과세된다.

예를 들어 농업용으로 쓰이는 경유의 농가 구입가격이 1ℓ당 6657.59원(2006년 평균기준)에서 7월부터 809.93원, 내년 1월부터는 1266.96원으로 오르게 되는 것이다. 농업용 휘발유는 1ℓ당 508.25원에서 3배 가까운 1496.69원으로 인상된다.

이에 따라 연간 15만ℓ의 면세 경유를 사용하는 강씨의 경우 내년부터는 1억원의 추가비용이 더 발생하게 되는 셈이다.

1986년 도입된 농업용 석유류에 대한 비과세 조치는 부정유통이 근절되지 않고 있다는 재정경제부와 예산부처의 입김이 크게 작용, 단계별 조치를 그쳐 내년부터 폐지될 전망이다.

농협 관계자는 “지난해말 면세조치 연장 부분에 대한 개정안만 빠진채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해 당장 7월부터 면세혜택이 25% 줄게 돼 시설농가들의 영농비 부담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 큰 혼란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농협제주본부 변대근 차장은 “제주지역의 경우 농업용 면세유 공급으로 인한 농가의 경영비 절감액이 2002년 375억원에서 2003년 431억원, 2004년 498억원, 2005년 505억원으로 크게 늘어나고 있다”면서 “농가경영비에서 유류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서 면세유 공급 중단은 도내 하우스 감귤을 비롯 화훼 재배농업인들에게는 심각한 경영비 압박을 주는 요인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면세기한을 영구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여야 국회의원과 농협중앙회는 면세유 기한을 연장 조치 또는 영구화를 건의한 상태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농업용 유류비가 상승할 경우 농산물 가격인상으로 이어지는데다 수입 농산물 급증을 초래, 결국 농가소득 감소에 따른 부채 증가, 농업경쟁력 하락 등의 악영향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

특히 정부가 FTA지원 대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하우스 시설 등도 면세유 공급이 중단될 경우 연료비 부담이 가중돼 재배포기 또는 타작목으로의 전환 등 심각한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 정부의 특단이 절대 필요한 실정이다.
</font>
김용덕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27 정보화마을 전자상거래 성장 지속 기획정보과 2012-04-13 2885
1326 한미FTA 발효...제주 1차산업 피해 현실로...제주도 차원 체계적 대응책 마련 절실 기획정보과 2012-03-16 3649
1325 감귤 간벌이 시급한 까닭 기획정보과 2012-03-08 3593
1324 서귀포시, 감귤 타이벡 지원 신청 접수 기획정보과 2012-03-05 2691
1323 수출전용 선과장 건립 절실하다 김혜숙 2012-02-27 3170
1322 올해산 감귤 7000톤 지구촌 곳곳 누빈다 기획정보과 2012-02-22 3468
1321 [기고]수확의 기쁨이 충만한 농촌을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2-02-15 3365
1320 ‘불로초' 퍼스트브랜드 과수부문 2년 연속 대상 기획정보과 2012-02-14 3206
1319 기온상승 노지감귤과 한라봉 제주 고유물 아니다 기획정보과 2012-02-13 2639
1318 감귤은 국민과일...1인당 소비량 꾸준한 안정세 기획정보과 2012-02-10 3567
1317 "천혜향·감평 재배농가 로열티 주의해야" 기획정보과 2012-02-09 3567
1316 감귤 볼록총채벌레 책자 발간 기획정보과 2012-02-08 3215
1315 제주감귤농협, 감귤 품질향상 사업 추진에 전력 기획정보과 2012-02-02 3400
1314 감귤 로열티 문제 신품종 개발로 극복 기획정보과 2012-01-31 3585
1313 제주감귤 가공품 해외시장 누비나 기획정보과 2012-01-27 3140
1312 농촌여성이 만든 '감귤과즐' 인기 짱 기획정보과 2012-01-20 3545
1311 서울.경기 도매시장서 비상품 감귤 버젓이 유통 기획정보과 2012-01-20 2956
1310 종자전쟁시대 감귤 품종 개발 총력 기획정보과 2012-01-17 3092
1309 감귤 높이기 운동 전개 기획정보과 2012-01-10 2990
1308 [제민포럼]새로운 행정시장의 감귤정책 기획정보과 2012-01-05 304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