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지구온난화 '제주=감귤' 공식 깨지고 있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1-03 10:21:27      ·조회수 : 3,019     

지구온난화 '제주=감귤' 공식 깨지고 있다
타지역 자가소비 재배서 완도군 올해 첫 노지감귤 시장에 출하
도 2일부터 향후 타 지역 재배면적·생산량·시장여파 분석 돌입


 제주특산물인 감귤산업이 최근 지구온난화 영향 등으로 재배지가 타지역으로 빠르게 확산, 제주독점에서 경쟁체제로 변화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 완도군에 따르면 2008년까지 제주를 제외한 타지역 감귤 재배면적은 48.8㏊이며, 하우스 한라봉이 46.7㏊, 노지온주감귤이 2.4㏊로 조사됐다. 감귤 생산량도 510t이며, 한라봉 460t, 노지온주 50t으로 나타났다.

 타 지역에서 한라봉은 2000년부터 재배됐지만 제주지역보다 생산량도 작고, 재배비용이 높아 제주산보다 경쟁력이 떨어졌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 무가온 한라봉 재배가 가능해지는 등 재배여건이 좋아지고 있다.

 타 지역 노지온주감귤은 1980년초부터 재배됐지만 자가소비용에 머물렀다. 그러나 최근 급격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타 지역에서 감귤재배 여건을 갖추면서 점차 노지온주 감귤산업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완도군은 자가 소비용으로만 재배했던 소완도 노지감귤을 올해부터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시작했다.

 완도군은 최근 완도지역의 겨울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날이 적어 감귤재배에 적합하다고 밝히고 있다. 또 소안감귤은 새콤하고 달콤한 특유의 맛을 갖고 있고, 25일 이상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더구나 완도군은 앞으로 감귤을 소득특화작물로 육성하기 위해 감귤 작목반을 구성을 운영하고 있으며, 무농약 인증 획득과 고품질 재배기술, 마케팅 등 소안 감귤의 브랜드화를 위해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앞으로 노지온주감귤 재배지가 전라도 완도뿐만 아니라 전남 여수·고흥·진도, 경남 거창 등으로 북상하면서 타 지역 감귤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오는 2~6일 전라도와 경상도 등 타 지역 감귤 재배 및 유통실태 조사하고, 이후 재배면적 확대 예상 지역에 대한 별도조사에 나선다.

 도는 이번 조사에서 최근 변화된 감귤 재배지역과 면적, 노지감귤 묘목 구입선과 재배실태, 농가동향, 향후 전망 등을 분석한다. 김용현 기자 noltang@jemin.com


제민일보 2009년 11월 02일 김용현 기자 noltang@jemin.com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25 감귤 간벌이 시급한 까닭 기획정보과 2012-03-08 3552
1324 서귀포시, 감귤 타이벡 지원 신청 접수 기획정보과 2012-03-05 2644
1323 수출전용 선과장 건립 절실하다 김혜숙 2012-02-27 3163
1322 올해산 감귤 7000톤 지구촌 곳곳 누빈다 기획정보과 2012-02-22 3408
1321 [기고]수확의 기쁨이 충만한 농촌을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2-02-15 3356
1320 ‘불로초' 퍼스트브랜드 과수부문 2년 연속 대상 기획정보과 2012-02-14 3155
1319 기온상승 노지감귤과 한라봉 제주 고유물 아니다 기획정보과 2012-02-13 2599
1318 감귤은 국민과일...1인당 소비량 꾸준한 안정세 기획정보과 2012-02-10 3515
1317 "천혜향·감평 재배농가 로열티 주의해야" 기획정보과 2012-02-09 3515
1316 감귤 볼록총채벌레 책자 발간 기획정보과 2012-02-08 3169
1315 제주감귤농협, 감귤 품질향상 사업 추진에 전력 기획정보과 2012-02-02 3349
1314 감귤 로열티 문제 신품종 개발로 극복 기획정보과 2012-01-31 3540
1313 제주감귤 가공품 해외시장 누비나 기획정보과 2012-01-27 3131
1312 농촌여성이 만든 '감귤과즐' 인기 짱 기획정보과 2012-01-20 3504
1311 서울.경기 도매시장서 비상품 감귤 버젓이 유통 기획정보과 2012-01-20 2936
1310 종자전쟁시대 감귤 품종 개발 총력 기획정보과 2012-01-17 3035
1309 감귤 높이기 운동 전개 기획정보과 2012-01-10 2984
1308 [제민포럼]새로운 행정시장의 감귤정책 기획정보과 2012-01-05 2998
1307 서귀포시 올해 감귤분야 FTA기금 479억원 투입 기획정보과 2012-01-02 2824
1306 감귤품종 자급화 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1-12-21 273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