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72종·돼지고기 15종 상표 난립"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4 09:11:43      ·조회수 : 3,758     

한 조합 여러상표 쓰기도… 품질관리에 허점 드러내
제주에서 생산하는 감귤과 돼지고기의 상표가 난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품질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는 등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23일 제주도에 따르면 현재 제주시농협·한림농협·서귀포농협·중문농협 등 농협중앙회 제주지역본부를 포함한 20개 농협과 8개 영농법인, 6개 작목반, 제주감귤협동조합, 서귀포시 등 40개 생산자단체 또는 기관, 개인 등이 제각기 다른 상표를 달아 감귤을 출하하고 있다. 더욱이 K영농조합은 5개의 상표를, J영농조합은 4개의 상표를 갖고 있다. 서귀포농협과 중문농협 등 5개 농협과 제주감협 등 6개 생산자단체가 3개의 상표를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한 업체가 다수 상표를 쓰는 사례가 많은 탓에 제주산 감귤 상표는 현재 모두 72개나 된다. 하지만 이 가운데 50개 상표만 특허청에 상표등록이 됐을 뿐이고 나머지 22개 상표는 상표등록이 안 된 상태다.

또 중문농협의 '황제', 제주감협의 '불로초', 농협연합사업단의 '햇살바람' 등 일부 감귤 상표만 당도와 산도 등의 품질기준을 만들어 관리하는 등 대부분 품질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돼지고기 상표도 난립하기는 마찬가지다. 제주축협·서귀포축협·제주흑돼지수출사업단 등 15개 업체가 삼다한라포크, 제주촌, 제주흑다돈, 제주불로포크, 올레도새기, 돈그린포크 등 제각기 다른 상표를 등록해 사용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감귤과 돼지고기의 상표가 너무 많아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며 "상표를 통합해 공동상표를 육성하고, 맛과 색깔, 안전성 등을 차별화해 부가가치를 높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27 정보화마을 전자상거래 성장 지속 기획정보과 2012-04-13 2884
1326 한미FTA 발효...제주 1차산업 피해 현실로...제주도 차원 체계적 대응책 마련 절실 기획정보과 2012-03-16 3597
1325 감귤 간벌이 시급한 까닭 기획정보과 2012-03-08 3562
1324 서귀포시, 감귤 타이벡 지원 신청 접수 기획정보과 2012-03-05 2658
1323 수출전용 선과장 건립 절실하다 김혜숙 2012-02-27 3166
1322 올해산 감귤 7000톤 지구촌 곳곳 누빈다 기획정보과 2012-02-22 3427
1321 [기고]수확의 기쁨이 충만한 농촌을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2-02-15 3360
1320 ‘불로초' 퍼스트브랜드 과수부문 2년 연속 대상 기획정보과 2012-02-14 3168
1319 기온상승 노지감귤과 한라봉 제주 고유물 아니다 기획정보과 2012-02-13 2607
1318 감귤은 국민과일...1인당 소비량 꾸준한 안정세 기획정보과 2012-02-10 3566
1317 "천혜향·감평 재배농가 로열티 주의해야" 기획정보과 2012-02-09 3529
1316 감귤 볼록총채벌레 책자 발간 기획정보과 2012-02-08 3182
1315 제주감귤농협, 감귤 품질향상 사업 추진에 전력 기획정보과 2012-02-02 3396
1314 감귤 로열티 문제 신품종 개발로 극복 기획정보과 2012-01-31 3582
1313 제주감귤 가공품 해외시장 누비나 기획정보과 2012-01-27 3134
1312 농촌여성이 만든 '감귤과즐' 인기 짱 기획정보과 2012-01-20 3545
1311 서울.경기 도매시장서 비상품 감귤 버젓이 유통 기획정보과 2012-01-20 2955
1310 종자전쟁시대 감귤 품종 개발 총력 기획정보과 2012-01-17 3038
1309 감귤 높이기 운동 전개 기획정보과 2012-01-10 2986
1308 [제민포럼]새로운 행정시장의 감귤정책 기획정보과 2012-01-05 300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