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민포럼]감귤 탑프루트 사업을 마무리 하며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0-28 09:08:07      ·조회수 : 3,116     

과실수입개방 허용과 FTA·DDA등 시장 추가개방 논의 확대 및 웰빙 열풍등 소비자 패턴이 고품질과 안전성 중심으로 급격히 변하고 있는 시점에서 최고품질 감귤생산으로 고소득을 올리는 탑프루트 사업이 2단계 막바지로 접어들고 있다. 3년동안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과 제주도농업기술원 그리고 기술센터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내용을 돌이켜 보고 잘된 점은 계속 추진하고 다소 부족한 점은 개선·보완해 더 발전된 탑프루트 사업으로 추진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우선 많은 농가들이 종합적인 만족도에 있어 긍정적인 점수를 준다. 특히 고품질 생산에 관해 대부분의 농가들이 자신감을 갖게 됐고 탑프루트 기술을 투입해 생산된 감귤들이 도매시장 등에서 관행 감귤농가에 비해 2~3배 더 높은 가격을 받았을때 그 기쁨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려울 정도였다. 지금까지는 특정 지역의 감귤이 맛있고 높은 가격을 받았지만 탑프루트 농가들의 경우 산남·북 가릴것 없이 날씨와 토양 등 하늘로부터 주어진 환경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고품질 생산으로 높은 가격을 받는 농업인이 꽤 많이 생겨났다.

더욱이 최근에 준공된 거점산지유통센타(APC)의 비파괴 선과기를 통한 차별화된 상품생산은 소비자를 만족시켜 지속구매가 이뤄지고 감귤이 명품으로 거듭나는 계기도 됐다. APC가 없었던 10년 전만해도 탑프루트의 핵심 기술인 타이벡(TYVEC)재배를 통해 생산된 감귤이 높은 가격을 받지 못했기에 부정적인 농업인들이 많았다. 고생은 무척했지만 그에 따른 보상을 받지 못했기에 초창기 농업인들은 활용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APC 를 통해 선별된 감귤의 경우 도매시장 등에서 차별화된 상품으로 인정을 받고 있고 다른제품 대비 높은 가격을 주었기에 앞으로는 더 늘어날 것이다. 품질 만족도에 있어서는 매년 품질이 향상되고 있고 과일의 크기·색깔·당도 등에서 기존 관행으로 생산된 감귤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탑프루트 사업전과 비교 상품의 고급화가 이뤄졌다. 기술수준에서는 중앙기술지원단과 도기술원 및 기술센터 지도사들의 교육과 지원에 힘을 얻어 많이 향상됐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내용외에 문제점 및 과제도 있었다. 특히 홍보 및 유통과정의 문제점은 앞으로 개선해야 할 것 같다. 2단계 마지막 3년차가 진행되는 지금도 많은 농업인들의 경우 탑프루트사업을 모르고 있다. 탑프루트 사업이 단지 회원들만의 고품질 생산과 고소득 올리는 것만이 아니고 기술과 경험을 인근 농가들에게 전파하는 일도 중요한 일일 것이다.

또한 유통과정은 많은 농업인들이 불만을 갖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이다. 아직까지는 참여농업인이 적고 물량이 많지 않다 해도 지속적인 관심과 더 나아가 탑프루트 생산감귤 판매시 창구를 일원화활 수 있는 방법도 좋을 것 같다. 또한 현재의 단지별 회원구성을 20명 전후가 아닌 50여명 수준으로 확대해 더 많은 농업인에게 기회를 주고 이분들이 각지역에서 기술 전도사가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것도 중요하다.

최근 우리 국회는 한-미 FTA 비준에 진통을 겪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FTA가 비준됐고 올해 말에는 한-중 FTA 협상이 시작된다는 말이 흘러 나온다. 다가올 엄청난 시련 앞에 우리가 지금이라도 대처할 수 있는 것은 고품질 생산과 안정된 농산물 생산일 것이다.

이 자리를 빌어 그동안 탑프루트 사업을 위해 애쓴 시험장·기술원 및 기술센터의 지도직 담당자들에게 감사드리며 사업이 종료돼 특별한 지원을 할 수 없다 해도 강소농 사업과 연계해 탑프루트 회원들이 높은 수취 가격을 받을 수 있도록 관심과 성원을 기대해 본다. 아울러 3년동안 교육과 컨설팅 등을 통해 검증된 우수회원들을 잘 활용해 주변농가들에게 그동안 배운 축적된 기술을 보급시킬 수 있는 장을 만들어 주고 그러므로써 감귤산업의 경쟁력을 갖도록 하는 일 또한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김종우 감귤사랑동호회 회장·논설위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25 감귤 간벌이 시급한 까닭 기획정보과 2012-03-08 3535
1324 서귀포시, 감귤 타이벡 지원 신청 접수 기획정보과 2012-03-05 2636
1323 수출전용 선과장 건립 절실하다 김혜숙 2012-02-27 3160
1322 올해산 감귤 7000톤 지구촌 곳곳 누빈다 기획정보과 2012-02-22 3397
1321 [기고]수확의 기쁨이 충만한 농촌을 기대하며 기획정보과 2012-02-15 3354
1320 ‘불로초' 퍼스트브랜드 과수부문 2년 연속 대상 기획정보과 2012-02-14 3146
1319 기온상승 노지감귤과 한라봉 제주 고유물 아니다 기획정보과 2012-02-13 2591
1318 감귤은 국민과일...1인당 소비량 꾸준한 안정세 기획정보과 2012-02-10 3464
1317 "천혜향·감평 재배농가 로열티 주의해야" 기획정보과 2012-02-09 3505
1316 감귤 볼록총채벌레 책자 발간 기획정보과 2012-02-08 3160
1315 제주감귤농협, 감귤 품질향상 사업 추진에 전력 기획정보과 2012-02-02 3290
1314 감귤 로열티 문제 신품종 개발로 극복 기획정보과 2012-01-31 3482
1313 제주감귤 가공품 해외시장 누비나 기획정보과 2012-01-27 3130
1312 농촌여성이 만든 '감귤과즐' 인기 짱 기획정보과 2012-01-20 3448
1311 서울.경기 도매시장서 비상품 감귤 버젓이 유통 기획정보과 2012-01-20 2894
1310 종자전쟁시대 감귤 품종 개발 총력 기획정보과 2012-01-17 3013
1309 감귤 높이기 운동 전개 기획정보과 2012-01-10 2981
1308 [제민포럼]새로운 행정시장의 감귤정책 기획정보과 2012-01-05 2989
1307 서귀포시 올해 감귤분야 FTA기금 479억원 투입 기획정보과 2012-01-02 2811
1306 감귤품종 자급화 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1-12-21 272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