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 감귤 피해 규모 산출 어느 쪽이 맞나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08 11:01:38      ·조회수 : 3,349     

[사설] 감귤 피해 규모 산출 어느 쪽이 맞나
한미 FTA 협상이 체결됐을 때 제주감귤의 피해규모는 얼마나 될 것인가. 이를 산정하는 기관별로 현격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농업 정책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한미 FTA 협상과 관련한 농업부문 피해 산정은 향후 농업정책과 해당 작목 작부체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이와 관련한 정부 농업지원 정책에도 민감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는 사안이어서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함이 마땅하다.
사실상 이는 농업의 미래와 농민의 삶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문제라 할 수 있다. 최근 서울에서 열린 ‘한미 FTA 농업계 토론회’에서 한국경제연구원 최세균 연구원은 관세가 완전 철폐 될 경우 제주감귤의 연간 피해액은 793억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이 금액은 제주도가 지난 5월 제주대 용역팀에 의뢰해 산정했던 연간 피해 규모 1687억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어떻게 같은 사안의 단일 품종에 대한 기관별 피해조사가 이처럼 갑절이상 차이가 날수 있을까. 그러니 이를 바탕으로 추진하는 정책이 어떻게 신뢰를 받을 수 있겠는가.
특히 한국경제 연구원 쪽의 감귤 피해 예상액은 사과(1264억원)와 포도(1135억원)에 비해서도 턱없이 낮게 산정돼 우리 나라 최대 과일로 자타가 인정하는 제주감귤 피해규모를 일부러 축소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농민들의 의혹까지 일고 있다.
사실을 부풀려 피해규모를 늘려 잡는 것도 안되지만 사실을 축소해서 발표하는 것 역시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도 당국은 이에 대한 정확한 사실확인을 통해 도민과 농민들에게 밝혀 ‘고의 부풀리기 또는 고의 축소 의혹’에 대한 도민적 의문을 해소해야 할 것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09 감귤 높이기 운동 전개 기획정보과 2012-01-10 3371
1308 [제민포럼]새로운 행정시장의 감귤정책 기획정보과 2012-01-05 3412
1307 서귀포시 올해 감귤분야 FTA기금 479억원 투입 기획정보과 2012-01-02 3156
1306 감귤품종 자급화 사업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1-12-21 3062
1305 감귤유통명령제 감귤값 안정 '효자손' 기획정보과 2011-12-19 2972
1304 "감귤원 구조 바꾸니 품질도 좋아지네" 기획정보과 2011-12-12 3708
1303 신품종 감귤 '레드향' 열과율 줄일 수 있다 기획정보과 2011-12-12 3342
1302 조기 대풍, 감귤 수확철...농어촌 "일손 없나요" 기획정보과 2011-12-08 5435
1301 제주 병귤 유전체 해독 눈 앞에 다가왔다 기획정보과 2011-12-07 2969
1300 2011년 감귤 强小農(강소농) 탄생 기획정보과 2011-12-06 3993
1299 감귤 대표 브랜드 육성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11-11-29 4018
1298 최근 서귀포 지역 감귤도난 잇따라 발생 기획정보과 2011-11-18 3414
1297 제주감귤이 더욱 사랑받으려면? 기획정보과 2011-11-17 3646
1296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 단속 강화 기획정보과 2011-11-17 4971
1295 파치 감귤을 따며 기획정보과 2011-11-17 3838
1294 제주농협, 감귤 미국수출 기반 조성에 총력 기획정보과 2011-11-11 3313
1293 고품질 감귤 출하,말보다 실천입니다 기획정보과 2011-11-09 3126
1292 미국 감귤 수출, 신선도 현지 반응 관건 기획정보과 2011-11-07 3355
1291 호조세 유지하던 감귤 하락세 기획정보과 2011-11-04 3022
1290 제주도 감귤수출 농·감협 FTA 사업비 배정확대 기획정보과 2011-11-04 372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