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고품질 감귤 생산체제로 전환하려면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1-31 09:26:41      ·조회수 : 2,731     

고품질 감귤 생산체제로 전환하려면

<김용호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 연구관/논설위원>

2010년산 브랜드급 노지 감귤생산량이 예상했던 것 보다 한층 밑도는 것 같다.
농·감협 유통센터가 증가되는 것만큼 고품질 감귤 생산량이 많아져야 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외관상으로는 농협별 마케팅전략으로 브랜드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소비지매장에서는 브랜드감귤이 계속 진열·판매되어야 함에도 브랜드급 감귤이 없는 것은 마케팅전략에도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고품질의 감귤생산량이 10만t 정도가 되면서 브랜드 감귤소득 비중이 증가해야 됨에도 통계조차 잡히고 있지 않으니 무언가 잘못되어도 한창 잘못된 것 같다. 어느 유통센터나 한결같이 고품질 감귤만 생산해 출하시켜준다면 최고가격을 받는데 노력하겠다고 할뿐 고품질감귤 생산은 농업인이 해야 될 몫이라는 것이다.


농협중앙회 연합마케팅팀에서 문의해오길 농협유통센터가 고품질 감귤을 생산하는 현장과 산지농협 유통센터가 연계돼 지역특성에 맞는 브랜드 재배기술로 생산된 감귤을 비파괴선과기로 선별해 브랜드화 하고,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게 기본이 아니냐하는 것이었다.


당연한 일이다. 2년 전부터 서귀포농협에선 공선회를 조직하고, 브랜드생산 매뉴얼에 맞춰 현장 지도한 결과 작년에는 11월 상순에 브랜드감귤이 출하되기 시작해 돈을 버는 감귤농업으로 발전되기 시작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고 있다.


늦은 감은 있지만 농협중앙회에서 감귤농업인들의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해 생산·유통·마케팅전략을 수립해 제주전역으로 확대시키려고 하고 있다니 여간 바람직스러운 일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고 고품질의 감귤을 제주도 전역에서 생산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지역에 따라 입지조건상 다소 부적합한 환경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품질감귤 생산전략을 수립함에 있어서 몇 가지 유의사항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감귤원 토양종류가 화산회토양으로 감귤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화산회토양은 폭우시 물 빠짐은 좋지만 토양입자가 부드러워서 뿌리신장이 왕성해 지하 1.5m 이상 자라기 때문에 단기간 토양건조에 의해 감귤나무에 수분스트레스를 부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회산회토양이라 할지라도 경사지라든가, 토심이 얕은 곳, 자갈이 많은 토양 이외의 토심이 깊은 감귤원은 고품질 감귤을 생산하기가 매우 어렵다.


다음으로는 밀식화가 너무나 진행돼 감귤원이라기 보다는 감귤나무숲이라고 할 정도다. 다공질필름 멀칭과 점적관수장치를 하려고 한다면 남북방향의 1/2 1차 간벌과 대각선 방향으로 2차 간벌을 동시에 실시하고, 무전정으로 1년간 휴식년제를 도입해 수관을 확대시켜야만 이듬해에 수량이 증가된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소과가 당도는 높다고들 하면서 전정을 강하게 하여 내년도에 감귤이 달릴 가지를 세력화시켜 대과발생을 조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강한 가지에서는 대과가, 약한 가지에서는 중·소과가 주렁주렁 달린다는 것을 누구나 잘 알면서도 전정시기만 되면 강한 전정을 하는 습관에서 하루 빨리 해방되어야 한다.


기후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하더라도 겨울철 극저온이 상존하고 있어 늦게 수확하게 되면 수세가 약해져 동해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해거리현상이 심해지는데다 강우량이 증가되고 있어 온주밀감의 품질향상에 어려움이 많다.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생산기반조성에 착수하려면 위의 사항을 충분히 숙지해야 브랜드 감귤 생산이 가능하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87 제주도 내년 감귤 8개사업 FTA기금 지원 기획정보과 2011-10-28 3438
1286 [제민포럼]감귤 탑프루트 사업을 마무리 하며 기획정보과 2011-10-28 3178
1285 제주농협 우수감귤 선도농가 발굴·육성 기획정보과 2011-10-25 2406
1284 '비상품감귤'이 우리를 멍들게 한다. 기획정보과 2011-10-21 2975
1283 식약청, 감귤 대미 수출 지원 '잔류 농약 설명회' 개최 기획정보과 2011-10-20 2886
1282 고품질 감귤·출하 조절 가격 좌우 기획정보과 2011-10-17 3561
1281 [제주] 올해 수확 감귤값 '쑥쑥' 기획정보과 2011-10-12 2810
1280 노지감귤 가격 지금부터 중요하다 기획정보과 2011-10-11 2879
1279 제주 감귤 유통 혁신으로 조수입 7000억 시대 도전 기획정보과 2011-10-06 2555
1278 감귤출하신고제도 이래서 중요합니다 기획정보과 2011-09-28 2863
1277 제주감귤 크기 ‘적당’ 당도 ‘높고’…가격호조 기대감도 상승 기획정보과 2011-09-28 3125
1276 가을 가뭄 지속…농가 희비 교차 기획정보과 2011-09-27 3189
1275 "고품질 감귤 우량 변이가지를 찾습니다" 기획정보과 2011-09-14 2364
1274 감귤 수출, 물량확보 고질문제 해결 시급 기획정보과 2011-09-14 2589
1273 감귤출하연합회 사전대응 워크숍 기획정보과 2011-09-08 2777
1272 제주넙치·감귤 '골든시드 프로젝트' 포함 기획정보과 2011-09-08 2708
1271 日 시코쿠 지역 등 3곳 감귤류 수입 제한 조치 기획정보과 2011-09-06 2590
1270 개방화시대 감귤산업 생존전략은 기획정보과 2011-08-29 2633
1269 친환경 농산물은 찌꺼기도 돈!…기능성식품 ‘변신’ 기획정보과 2011-08-24 2835
1268 감귤산업, 수출확대로 돌파구 찾아야 기획정보과 2011-08-22 246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