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09 16:03:29      ·조회수 : 3,261     

<p></p>
<font size="5"><b>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b></font>
<p></p>
<font size="4">행위자 없으면 적발해도 페기처분 못해 </font>
<font size="3">제민일보 10/5 조문욱 기자

추석을 앞두고 노지감귤 강제 착색행위가 서서히 고개를 드는 가운데 이같은

위법행위에 대한 적절한 제재방안이 마련돼 있지 않고 있어 행정력 낭비만

초래하고 있다.

제주시는 지난 3일 노형동 화랑마을 소재 감귤원에서 극조생 노지감귤 5000여

㎏을 비닐로 씌워 에틸렌가스를 주입, 강제 착색하는 현장을 적발했다.

제주시에 따르면 이 감귤은 감귤원 소유자 A씨는 상인에게 400여 만원을 받고

포전 거래한 것으로 현재 A씨는 상인의 인적사항과 연락처를 기록해 두지 않아

상인이 누군지 모른다고 하고 있다는 것.

강제 착색 행위자를 찾지 못한 제주시는 마을책임자를 입회시켜 착색행위 확인을

받고 현장을 보존하고 현재 직원을 상주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제주시 관계자는 “제주도감귤유통 조례상 불법행위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불법

행위를 적발해도 이를 직권 처리할 수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즉 사유재산권이라

는 걸림돌 때문에 불법행위물이지만 폐기처분 등 행정처리를 하지 못해 지켜보고

만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노형동의 사례처럼 불법행위 현장이 적발됐지만 행위자가 나타나지

않아 행위자가 나타날 때까지 직원을 대기시켜야 하는 행정력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지난 9월 29일 올해 첫 미숙감귤 수확현장을 적발, 폐기처분한 것과 대조를

보이고 있다.

한편 4일에도 제주시에 덜 익은 감귤을 수확 한다는 제보가 들어와 현장 확인

결과 당도가 출하 규정(8브릭스) 이상으로 나오자 착색이 될 때까지 수확 연기를

당부하고 돌아왔으며 현재까지 도내에서 3건의 비상품감귤 유통행위가 적발됐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69 친환경 농산물은 찌꺼기도 돈!…기능성식품 ‘변신’ 기획정보과 2011-08-24 3182
1268 감귤산업, 수출확대로 돌파구 찾아야 기획정보과 2011-08-22 2890
1267 제주감귤 해외시장 넓힌다 기획정보과 2011-08-20 3230
1266 감귤 조수입 7000억 열매솎기에 달려 있다 기획정보과 2011-08-18 3139
1265 친환경노지감귤원 지원사업 효과 기획정보과 2011-08-18 2871
1264 “감귤부산물 건조시설 지체상금 과다” 기획정보과 2011-08-01 3438
1263 귀농이야기 - 감귤농사 이인호·김연화 부부 기획정보과 2011-08-01 3171
1262 감귤휴식년제 뒷심 필요하다 기획정보과 2011-07-28 3039
1261 극조생 하우스감귤 ‘당도’‘때깔’ 좋아진 비결은? 기획정보과 2011-07-28 3110
1260 국내산 냉이ㆍ토마토 美 수출길 열려 기획정보과 2011-07-22 3486
1259 기후변화와 감귤 생리낙과 기획정보과 2011-07-21 3547
1258 개성으로 감귤의 새 역사를 창조하자 기획정보과 2011-07-20 3115
1257 감귤 만감류 전환·유통시설 현대화 등 필요 기획정보과 2011-07-20 3094
1256 감귤 求償무역 적극 추진해야 기획정보과 2011-07-15 3378
1255 노지감귤 군납 감소세 유통처리 한계 기획정보과 2011-07-15 3149
1254 감귤 군납 확대 건의 기획정보과 2011-07-15 3611
1253 2011 제주감귤국제마라톤 참가신청 접수 기획정보과 2011-07-11 3822
1252 감귤 초콜릿·쿠키 말레이시아 공략 기획정보과 2011-07-11 2992
1251 사회봉사자, 감귤 적과 작업 기획정보과 2011-07-10 2882
1250 제주감귤농협, 농식품 마케팅혁신대상 종합대상 수상 기획정보과 2011-07-08 307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