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정책까지‘해거리’를 하면 안된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1-26 09:16:43      ·조회수 : 2,543     

꼭 3년전 이맘때인 2008년 2월 제주도 감귤농정 당국은 거창한 계획을 발표했다. ‘제주감귤 HIGH-UP(하이업)을 위한 감귤정책 일대전환 전략과 Action Plan(액션플렌)’이 그것이다. 특별자치도 출범 2년째를 맞아 민선 4기 김태환 도정이 야심차게 제시한 감귤산업 혁신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 농정당국이 이 같은 전략을 제시한 배경은 관(官) 주도의 감귤정책을 시장원리에 입각, 대전환을 하겠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시장원리·참여형 정책 ▲주체별 자율·자립형 정책 ▲농업경영체 등 단위별 적용 ▲성과에 따른 차등 지원 ▲소비자 중심 정책 등 ‘감귤정책 일대전환 5대 전략’을 새로운 정책방향으로 제시했다. 역으로 보면 그 동안 감귤정책이 행정주도로 집행되면서 감귤산업의 자생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반성을 한 셈이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새로운 감귤정책은 철저한 역할분담을 바탕으로 행정당국은 감귤정책 수립 및 조정, 예산·기술 지원, 농업인 교육을 담당하고 생산자단체는 고품질감귤 생산지도와 유통 전반을 전담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감귤농가는 간벌과 열매솎기 등 생산현장에서 고품질 감귤 생산을 책임지도록 했다.

감귤농정 당국은 이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추진단과 테스크포스(TF)팀을 꾸리고 단계별 추진계획을 마련하는 등 한동안 부산을 떨었다. 그런데 이듬해 이 같은 큰 흐름은 아주 자연스럽게 유야무야됐다. 2009년산 노지감귤 생산량이 70만t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행정이 주도적으로 감산에 나섰다. 공무원들에게 ‘직을 걸고’ 간벌 등 감산목표를 달성하라고 내몰았다. 자율정책 기조는 ‘헛구호’였음을 스스로 고백한 셈이다. 다시 관 주도로 유(U)턴했다.

그랬던 제주도 감귤농정 당국이 다시 새해 벽두부터 감귤정책 일대전환을 내걸고 각 부문 주체들을 단도리하고 나섰다.

그런데 제주도 당국의 정책행보가 3년전 그것과 너무나 닮았다. 마치 3년 세월이 흐르지 않은 것 같다. 일례로 농정당국이 마련한 정책자료집을 보자. 일부 내용은 3년전 자료집에서 토씨 하나 다르지 않게 그대로 옮겨 실었다. 생산량 등 통계수치만 일부 업데이트했다.

이번에 특별히 강조했다면 수출 부문이다. 민선 5기 우근민 도정의 핵심 정책 기조가 ‘수출 1조원 시대 개막’인 점을 감안해 역동적인 수출 확대와 가공산업 육성 등을 통해 ‘감귤산업 1조원 시대를 연다’는 슬로건을 붙였다.

그리고 감귤산업 1조원 시대 개막의 목표년도를 3년전에는 2017년으로 잡았다고 이번에는 2014년으로 앞당긴 점도 달라진 부분이다.

3년이라는 시간은 그리 짧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원리 정책과 주체별 역할 분담을 여전히 읊조리는 행태로 감귤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수 있을까.

제주도에서 감귤만큼 다양한 자료와 폭넓은 데이터를 가진 작목도 드물 것이다. 그만큼 당국이 축적한 노하우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그래서 언제 어느 상황에서도 웬만한 자료쯤은 후딱 생산해 낸다. 만지작거릴 카드도 적지 않다. 문제는 그것들 가운데 새로운 것이 없다는 데 있다.

결국 사람의 문제로 귀착된다. 3년 이상 묵은 파일 하나 꺼내 적당히 손질해서 파일명만 바꿔 내놓아서는 곤란하다. 감귤산업의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가 ‘해거리’ 현상이다. 그렇다고 정책까지 ‘해거리’를 해선 안된다. 오는 2014년 7월께 다시 이런 논의가 이뤄지지 않기 위해서 더 그렇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47 올해 하우스감귤 가격 '양호' 기획정보과 2011-06-20 2836
1246 감귤원 휴식년제 열매따기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1-06-08 2725
1245 올해산 노지감귤 품질관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1-06-08 2981
1244 감귤 美 수출 9년만에 재개되나 기획정보과 2011-05-30 3105
1243 감귤감산 참여위한 동기부여 필요 기획정보과 2011-05-30 2555
1242 제주감귤 '햇살바람'을 키워라 기획정보과 2011-05-26 3925
1241 제주감귤, 정부 수출유망산업으로 육성 기획정보과 2011-05-24 2221
1240 감귤 휴식년제 집중 지도한다 기획정보과 2011-05-24 2498
1239 감귤박물관, 하귤 이용한 이색체험 운영 기획정보과 2011-05-24 3537
1238 정부, 한·중 FTA까지 서두를 셈인가 기획정보과 2011-05-20 2664
1237 감귤박물관 '신비한 귤빛 유혹'도자기 특별전 개최 기획정보과 2011-05-19 3063
1236 추사와 ‘인연의 길’을 걷다 기획정보과 2011-05-16 3380
1235 노지감귤 적정생산 노력 통했다 기획정보과 2011-05-13 2397
1234 제주시, 감귤생산시설현대화사업 일제점검 기획정보과 2011-05-12 2079
1233 노지감귤 수출확대 ‘파란불’ 기획정보과 2011-05-09 3036
1232 감귤원 간벌.휴식년제 달성...고품질화 청신호 기획정보과 2011-05-04 2567
1231 전통 농·축식품유통공사 설립 필요 기획정보과 2011-05-03 2403
1230 제주 가온하우스 감귤 첫 출하 기획정보과 2011-05-02 3350
1229 기상청, 감귤.수산업 지원 기후변화 서비스 제공 기획정보과 2011-04-29 2964
1228 [기고-이용민]제주감귤 미국시장 도전에 격려를 기획정보과 2011-04-27 253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