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흔들리는 감귤농정] 정책추진 일관성 없어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22 09:56:11      ·조회수 : 2,626     

[흔들리는 감귤농정] 정책추진 일관성 없어
<상>고품질 감귤 생산 의지 실종
제민일보 8/21 현민철 기자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실천 노력이 실종되고 있다. 지난해에 비해 간벌 실적은 크게 줄었고, 종전에 시·군을 중심으로 추진되던 고품질 생산을 위한 열매솎기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시기를 놓쳐 버렸다.
고품질 감귤 생산은 커녕 적정 가격조차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는 애정어린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 5·31 지방선거와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등 어수선한 도내 분위기와 맞물려 실종된 감귤농정의 실태를 점검한다.

▲간벌 부진, 열매솎기 실종=고품질 감귤 생산은 수확기 집중 관리가 아닌 연중 관리의 적정성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간벌과 품종갱신, 열매솎기, 토양피복, 묘목갈이 등이 고품질 감귤을 생산할 수 있는 사업들이다.
이 가운데 간벌과 열매솎기는 생산량 조절과 함께 비상품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도는 매년 농·감협, 생산자단체 등과 함께 관련 사업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는 사정이 다르다.
올해초 시행된 간벌 실적은 687㏊로 지난해 2372.4㏊에 비해 크게 줄었다. 전년대비 30%에도 미치지 못한 것이다.
열매솎기는 시작도 되지 않았다.
지난해 7월이후 수확기 이전까지 5988t의 감귤이 열매솎기로 시장에서 격리됐지만 올해는 9월에나 사업이 시작될 예정이다.
도가 매년 7월부터 수확기까지 열매솎기를 꾸준히 추진해 왔지만 올해는 예년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노지감귤을 재배하는 김모씨(45·남원읍)는 “시·군 당시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펼쳐지던 간벌 및 열매솎기 사업이 올해는 실적도 저조하고 시작도 되지 않고 있다”며 “지방선거와 시·군 폐지, 특별자치도 출범 등 어수선한 도내 사회 분위기에 편승, 관련 부서가 정책 추진을 소홀히 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손놓은 농정당국…오히려 느긋=고품질 감귤 생산 문제에 대해 도는 느긋한 입장이다. 품질이 아닌 생산량을 토대로 감귤가격 지지효과를 기대하는 시각이 팽배해 있다.

도 관계자는 “올해산 감귤 생산예상량이 최대 59만t으로 과잉생산은 우려되지 않고 있다”며 “이달말 관측조사를 기준으로 사업계획을 마련, 소·대과 위주로 열매솎기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자치단체와 지방의회, 농·감협, 농업인단체 등이 도민과 농가들을 대상으로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담화문까지 발표하며 의지를 보였던 것과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보이는 대목이다.

그러나 지난해 감귤 생산예상량이 실제 생산량과 차이를 보이면서 가격 폭락 등으로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었던 점과 비교할 때 도의 이런 느긋함이 큰 화를 자초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열매솎기가 사실상 비상품을 줄일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이란 점에서 생리낙과가 끝나는 7월부터 수확기 이전까지가 가장 중요한 시기인데도 도가 이를 무시한 채 8월 관측조사 결과를 본 뒤 시행한다는 발상은 고품질 감귤 생산을 포기한 것이란 의견이다.
때문에 특별자치도 고품질 감귤 생산 노력이 체계적인 관리계획을 마련·시행했던 시·군 당시보다도 미흡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87 늘어나는 뱃살 고민 ′감귤′로 해결한다 기획정보과 2010-12-28 2859
1186 눈 내리는 감귤농장 기획정보과 2010-12-27 2580
1185 겨울철 과일섭취의 다양한 방법은? 기획정보과 2010-12-27 3543
1184 비싸진 국민과일 감귤, 5년만에 최고치 기획정보과 2010-12-22 2610
1183 농협도매사업단, 도매시장 공략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0-12-22 3591
1182 아라동·주민자치委, 감귤 직거래장터 운영 기획정보과 2010-12-15 2808
1181 제주 재래감귤, 일본에 전래돼 재배됐다 기획정보과 2010-12-14 2503
1180 구제역 현장 '온정의 손길' 기획정보과 2010-12-14 2781
1179 친환경 제주감귤 그을음병 주범 '귤가루이' 천적 찾았다 기획정보과 2010-12-14 3211
1178 김재윤 의원, 러시아대사 만나 ‘감귤수출’ 협의 기획정보과 2010-12-10 2982
1177 제주렌트카 타고 감귤 따기 체험도 하는 실속 제주여행 기획정보과 2010-12-10 3697
1176 금빛 들 너머 은빛 한라..지금 제주는 날마다 변신중 기획정보과 2010-12-10 2626
1175 농촌경제의 선순환을 위하여 기획정보과 2010-12-09 2817
1174 감귤농장에 튼튼한 빗장이 필요하다 기획정보과 2010-12-09 3474
1173 고드름 매달린 감귤나무 기획정보과 2010-12-08 2934
1172 ‘제주 감귤 따기 체험’ 행사 오는 10일 시작 기획정보과 2010-12-08 3916
1171 올해 감귤 맛이 왜 이렇지 기획정보과 2010-12-06 2786
1170 제주 농업생태원 감귤따기체험장 '인기' 기획정보과 2010-12-06 3333
1169 일구회, 신례1리서 감귤따기 방문 기획정보과 2010-11-30 3602
1168 제주감귤 동남아 수출 기반 ‘단단히’ 기획정보과 2010-11-24 341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