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고품질 생산만이 제주농업 살 길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18 11:07:58      ·조회수 : 3,022     

고품질 생산만이 제주농업 살 길
제주타임즈 7/15
“제주농산물 정신차려야 한다” 최근 인천과 부산의 식물검역소에서 외국산 수입농산물의 실태를 파악하고 돌아온 도내 농협관계자들은 하나같이 입을 모았다. 제주농산물의 품질 향상과 상품성 제고에 대한 피나는 노력이 없으면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는 경고에 다름 아니다. 중국산 당근 감자 파 두릅 콩이나 칠레산 키위, 미국산 오렌지 등은 선도나 세척도 선별도 굵기 등 외관상으로는 국내산을 압도할 정도의 최상품들이라는 것이다. 외관만으로는 제주산이 이들과 경쟁할 수 없을 정도로 취약하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한ㆍ미FTA 협상등으로 제주농업이 최대위기에 직면해 있다. 농업분야 만큼은 협상에서 제외되기를 바라지만 제주농산물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별단의 대책을 시급히 마련하지 못한다면 제주농업의 앞날은 캄캄할 뿐이다. 따라서 제주농정당국이나 농민, 그리고 생산자 단체 등은 삼위일체가 되어 제주농산물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물론 제주 농산물의 경쟁력은 양에 있지않다. 품질로 승부해야 한다. 품질로 승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산 농민들의 의식이 바꾸어져야 한다. 농업기술단체나 농정당국도 유기농 등 기능성 작부체계를 확보하여 제주농업의 경쟁력을 높일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대농민 교육을 통해 농민의식 개혁에 앞장서야 한다. 수입농산물과 차별화 하려면 ‘신토불이 농업’이라 할 수 있는 유기농법을 확산시키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거듭 강조하거니와 제주농업의 살길은 고품질 생산을 통한 경쟁력 확보 뿐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67 "감귤 72종·돼지고기 15종 상표 난립" 기획정보과 2010-11-24 3787
1166 감귤유통 인센티브 기획정보과 2010-11-24 2700
1165 제주 노지 감귤도 따고 맛도 보고… 기획정보과 2010-11-18 2835
1164 [건강요리] 오방색으로 입맛 돋우는 ‘비빔밥’ 기획정보과 2010-11-16 2579
1163 자오즈민 “신혼여행 때 한라산·감귤에 반했다” 기획정보과 2010-11-16 2990
1162 [한겨레프리즘] 선키스트는 협동조합이다 / 김현대 기획정보과 2010-11-15 3214
1161 서귀포 감귤박물관 올레꾼 대상 홍보 주력 기획정보과 2010-11-15 2497
1160 감귤 농업인이 바라보는 중국 감귤 산지 변화 기획정보과 2010-11-11 2572
1159 감귤·단감 값 40% 뜀박질… 이상기온으로 출하량 줄어 기획정보과 2010-11-11 2819
1158 활성산소, 컬러 푸드로 다스려라 기획정보과 2010-11-10 2829
1157 귤 껍질까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믿음이 '생협'의 경쟁력 기획정보과 2010-11-10 5369
1156 [터치라인] 제주, 플레이오프 때 감귤이 미운 이유는? 기획정보과 2010-11-09 3041
1155 친환경 목재 펠릿, 제주 첫 선 '관심' 기획정보과 2010-11-08 2683
1154 '호호' 불며 한 입… 추위를 이기는 맛! 기획정보과 2010-11-08 3318
1153 서귀포시, 2011년 고품질 감귤 생산시설 현대화사업 신청·접수 기획정보과 2010-11-04 2959
1152 농협, 4일 농산물상품 바이어 설명회 기획정보과 2010-11-04 2685
1151 식품업계, 웰빙 건강재료 함유 ‘붐’ 기획정보과 2010-11-03 3320
1150 대상웰라이프, 어린이용 건강즙 3종 출시 기획정보과 2010-11-03 2266
1149 성산일출봉-감귤 등 ‘서귀포의 힘 100선’ 기획정보과 2010-11-02 2982
1148 제주 노지감귤 생산예상량 오차 얼마나 줄일까? 기획정보과 2010-11-01 243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