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농정당국 제도개선 ‘미적미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7-25 09:57:08      ·조회수 : 2,749     

농정당국 제도개선 ‘미적미적’
감귤 열매 우박 피해 ‘농작물 재해보험 혜택’서 제외
제주일보 7/25 고경업 기자
감귤 재해보험이 제주지역 현실에 맞지 않은데도 농정당국은 제도개선에 미온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24일 농협 제주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2001년에 도입된 농작물 재해보험은 자연재해로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할 때 손실의 일정부분을 보상해주는 보험제도로 현재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단감, 감귤 등 6개 품목에 대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상범위가 태풍, 우박, 동상해로 인한 낙과, 낙엽으로 한정돼 낙과 피해가 거의 없는 제주 감귤 농가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제주지역의 특성상 감귤의 경우 태풍과 강풍, 우박 등에 의한 풍상과가 주로 발생하고 있지만 정작 보상범위에는 포함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지난달 10일 성산읍 일대에 내린 우박으로 감귤원 128㏊에서 30∼80%의 상처과가 발생했지만 해당 농가가 보험에 가입했더라도 현재의 규정상 재해보험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다.

이 때문에 감귤의 경우 재해보험 시행초기인 2002년에는 3374농가(2364㏊)가 보험에 가입했으나 이후 큰 폭으로 감소해 올해의 경우 129농가(68㏊)에 그치는 등 재해보험 가입을 극히 꺼리고 있다. 올해 품목별 대상면적 대비 가입면적은 사과 52%, 배 52%, 단감 25% 등이지만 감귤은 0.4%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농협제주본부는 보상범위에 풍상과를 포함해주고 대상재해도 호우, 가뭄, 황사 등으로 확대해 줄 것을 해마다 건의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제도개선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농협 관계자는 “감귤의 경우 아무리 강한 태풍이 불어도 꼭지가 매우 단단해 낙과·낙엽 피해가 좀처럼 생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농림부는 답변서에서 농업인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품목별, 재해별로 심도있는 연구를 거쳐 연차적으로 대상품목을 확대하겠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농림부 관계자는 “대상 품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피해통계 축적, 손해평가 방법의 정립, 전업화 수준, 위험분산 가능성 등 보험성립 요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47 푸르스름한 감귤 오해 없었으면 기획정보과 2010-11-01 2878
1146 FTA를 이겨낸 남원 포도ㆍ제주 감귤 기획정보과 2010-10-28 3321
1145 러시아 대사 “제주감귤 수입물량 11월중 확정” 기획정보과 2010-10-28 2902
1144 제주감귤 출발 좋은데…, 관건은 ‘품질관리’ 기획정보과 2010-10-28 2547
1143 비상품 감귤 유통 전방위 단속 기획정보과 2010-10-28 2489
1142 제주 하우스감귤 유통과정 동행취재 기획정보과 2010-10-28 3411
1141 또…또…또, 미숙감귤 강제착색…이번엔 서귀포 남원 A농장 기획정보과 2010-10-27 2396
1140 “감귤클러스터, 제주맥주 도와달라”…국회에 ‘SOS’ 기획정보과 2010-10-27 2873
1139 덜 익은 감귤 불법 유통 잇따라 기획정보과 2010-10-27 2582
1138 개인 감귤 선과장 '농산물 우수관리 시설' 첫 지정 기획정보과 2010-09-07 2510
1137 노지감귤 생산량 역대 최저 될 듯 기획정보과 2010-09-07 2363
1136 선과장 감귤검사원 지정 필수 기획정보과 2010-08-27 2848
1135 농협제주 수출확대 발빠른 행보 보여 기획정보과 2010-08-27 2323
1134 "온도 2도 상승시 감귤 재배지 육지 이동" 기획정보과 2010-08-27 2659
1133 농협제주, 제주특산품 판매확대 캠페인 기획정보과 2010-08-20 2366
1132 한라봉 해외수출 적극 모색해야 기획정보과 2010-08-20 2585
1131 감귤하우스 지원사업 추가 실시 기획정보과 2010-08-07 2541
1130 감귤시장 개방 피해 최소화 방안은 기획정보과 2010-08-07 2398
1129 감귤운송계약 농협-운송업체 시각차 기획정보과 2010-08-07 2876
1128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로 고품질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0-08-03 252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