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감귤산업 '선택과 집중' 필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02 17:01:56      ·조회수 : 2,910     

<html>
<body bgcolor="white" text="black" link="blue" vlink="purple" alink="red">
<b><span style="font-size:15pt;">제주감귤산업 '선택과 집중' 필요 </span></b><p><font color="#666666"><span style="font-size:14pt;">FTA대비, '품질향상'으로 신뢰 회복을<BR>동북아감귤산업심포지엄</span></font></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제민일보 9/29 김영헌 기자</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제주 감귤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책보다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29일 난지농업연구소 감귤연구센터에서 열린 동북아 감귤산업 발전 국제심포지엄에서 ‘한국 감귤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을 주제로 주제발표에 나선 김창명 박사(난지연구소 감귤과장)는 이같이 지적했다.</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김 박사는 “무엇보다 노지감귤의 품질향상 및 등급화 차별화로 소비자의 기호와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산지거점유통센터를 통한 출하가 도외 반출량의 50%인 20만t, 즉 계통출하량의 80%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김 박사는 “노지에서 생산되는 온주밀감 가운데 35%는 12브릭스 이상의 고당도 과실이 생산돼야 한다”며 “고품질감귤생산은 무엇보다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를 5000㏊로 확대시키는 것이 급선무”라고 주장했다.</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또 “이외에도 품종갱신, 방풍수 정리, 간벌 등 과원정비, 시비와 토양관리의 개선 등이 뒤따라야 한다”며 “이같은 극복방안이 제대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도민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이와 함께 이날 중국 화중농업대학 펑수앙 교수는 “중국은 머지않아 장래에 감귤생산량이 브라질을 제치고 세계 1위 생산국이 될 것”이라고 “아직은 국내 생산량이 수요를 미치지 못하고 있지만 3∼4년 후에는 국내 수요를 충족하고 수출량도 증가할 것”이라고 세계 감귤생산시장의 변화를 전망하는 등 중국과 일본의 감귤산업 현황에 대한 발표도 이어졌다.</font></span></P>
<P><span style="font-size:14pt;"><font face="굴림체">한편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FTA이행에 따른 감귤재배 농가의 피해가 확산되기 전에 일본과 중국의 감귤산업 동향을 파악해 국제경쟁력을 제고시킬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BR></font></span></P>
</body>

</html>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45 러시아 대사 “제주감귤 수입물량 11월중 확정” 기획정보과 2010-10-28 2838
1144 제주감귤 출발 좋은데…, 관건은 ‘품질관리’ 기획정보과 2010-10-28 2485
1143 비상품 감귤 유통 전방위 단속 기획정보과 2010-10-28 2428
1142 제주 하우스감귤 유통과정 동행취재 기획정보과 2010-10-28 3341
1141 또…또…또, 미숙감귤 강제착색…이번엔 서귀포 남원 A농장 기획정보과 2010-10-27 2342
1140 “감귤클러스터, 제주맥주 도와달라”…국회에 ‘SOS’ 기획정보과 2010-10-27 2808
1139 덜 익은 감귤 불법 유통 잇따라 기획정보과 2010-10-27 2552
1138 개인 감귤 선과장 '농산물 우수관리 시설' 첫 지정 기획정보과 2010-09-07 2441
1137 노지감귤 생산량 역대 최저 될 듯 기획정보과 2010-09-07 2313
1136 선과장 감귤검사원 지정 필수 기획정보과 2010-08-27 2787
1135 농협제주 수출확대 발빠른 행보 보여 기획정보과 2010-08-27 2253
1134 "온도 2도 상승시 감귤 재배지 육지 이동" 기획정보과 2010-08-27 2596
1133 농협제주, 제주특산품 판매확대 캠페인 기획정보과 2010-08-20 2315
1132 한라봉 해외수출 적극 모색해야 기획정보과 2010-08-20 2530
1131 감귤하우스 지원사업 추가 실시 기획정보과 2010-08-07 2511
1130 감귤시장 개방 피해 최소화 방안은 기획정보과 2010-08-07 2319
1129 감귤운송계약 농협-운송업체 시각차 기획정보과 2010-08-07 2823
1128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로 고품질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0-08-03 2448
1127 日 전문가 "고품질 감귤 생산, 멀칭재배 필요" 기획정보과 2010-08-03 2339
1126 소비자 선호 '파워 감귤 브랜드' 없다 기획정보과 2010-08-03 220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