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꽃혹파리 방제 힘써야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02 09:41:28      ·조회수 : 3,016     

감귤꽃혹파리 방제 힘써야 (제민일보 2006. 5. 1)

감귤꽃혹파리는 꽃이 떨어질 시기에 꽃이 많은 과수원에서는 이로울 수도 있고, 꽃이 적은 과수원에서는 해로울 수도 있는 해충이다. 성충의 몸길이는 1.5㎜정도이며 담갈색이다. 유충은 1㎜정도 크기의 유백색이다.

제주도에는 한라산을 기준으로 산 북쪽과 남쪽의 피해가 나타나는 시기가 다를 수 있다. 특히 금년처럼 예년보다 새순 발아시기가 빠르면 꽃봉오리를 빨리 볼 수 있는데, 금년과 같은 기상에서는 육안으로 잘 관찰 될 수 있다.

농장에서의 예찰방법은 꽃봉오리를 보면 정상적인 것은 유백색(하얀색)으로 보이고, 피해를 입은 꽃봉오리는 누런색깔을(갈변) 보이게 된다. 또 꽃봉오리를 까보면 속에 빨간색으로 된 아주 작은 벌레들이 모여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꽃봉오리가 갈변된 것은 꽃봉오리 내부가 부패됐기 때문이다.

이 해충은 연간 1세대 발생하는 벌레다. 꽃이 떨어진 후 유충 형태로 토양 중에서 다음해 4월까지 생활한다.

다시 설명하면면 월동 유충은 4월에 토양 지표면에서 번데기가 되고 4~월에 성충이 돼 꽃봉오리에 산란, 피해를 주는 것이다.

올해처럼 봄이 일찍 오는 해에는 서귀포시·남제주군 지역에서는 벌써 피해 조짐이 관찰될 것이다.

이 벌레는 봉오리 속에서 짧게는 7일, 길게는 10일 정도 피해를 가져오는데 피해가 나타나면 생리 낙화시기에 낙화량이 더 조장되기도 한다.

그러면 어떻게 방제를 해야 할 것인가.

감귤꽃혹파리는 해에 따라 발생량이 큰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과수원을 한번 돌아보며 예찰을 할 필요가 있다. 약제로서는 파프유제(엘산·씨디알) 1000배 액이나 스프라사이드, 모폭스 등을 살포하면 된다. 한가지 더 강조한다면 남들이 약제를 살포하니까 무작정 살포하거나, 필요없는 약제를 혼용 살포할 필요는 없다.

이 해충의 방제 시기는 여러가지 면에서 시기를 정할 수 있지만, 자기 농장에서 예찰을 하여 다른 해에 비해 감귤꽃 색깔이 봉우리상태에서 갈변되는 것이 간혹 눈에 띠게 되면 많이 발생될 징조이므로 해당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김석중 / 제주시농업기술센터 감귤기술담당>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49 성산일출봉-감귤 등 ‘서귀포의 힘 100선’ 기획정보과 2010-11-02 3475
1148 제주 노지감귤 생산예상량 오차 얼마나 줄일까? 기획정보과 2010-11-01 2883
1147 푸르스름한 감귤 오해 없었으면 기획정보과 2010-11-01 3271
1146 FTA를 이겨낸 남원 포도ㆍ제주 감귤 기획정보과 2010-10-28 3636
1145 러시아 대사 “제주감귤 수입물량 11월중 확정” 기획정보과 2010-10-28 3631
1144 제주감귤 출발 좋은데…, 관건은 ‘품질관리’ 기획정보과 2010-10-28 2945
1143 비상품 감귤 유통 전방위 단속 기획정보과 2010-10-28 2849
1142 제주 하우스감귤 유통과정 동행취재 기획정보과 2010-10-28 3925
1141 또…또…또, 미숙감귤 강제착색…이번엔 서귀포 남원 A농장 기획정보과 2010-10-27 2711
1140 “감귤클러스터, 제주맥주 도와달라”…국회에 ‘SOS’ 기획정보과 2010-10-27 3392
1139 덜 익은 감귤 불법 유통 잇따라 기획정보과 2010-10-27 2928
1138 개인 감귤 선과장 '농산물 우수관리 시설' 첫 지정 기획정보과 2010-09-07 2855
1137 노지감귤 생산량 역대 최저 될 듯 기획정보과 2010-09-07 2679
1136 선과장 감귤검사원 지정 필수 기획정보과 2010-08-27 3267
1135 농협제주 수출확대 발빠른 행보 보여 기획정보과 2010-08-27 2675
1134 "온도 2도 상승시 감귤 재배지 육지 이동" 기획정보과 2010-08-27 3105
1133 농협제주, 제주특산품 판매확대 캠페인 기획정보과 2010-08-20 2740
1132 한라봉 해외수출 적극 모색해야 기획정보과 2010-08-20 2958
1131 감귤하우스 지원사업 추가 실시 기획정보과 2010-08-07 2821
1130 감귤시장 개방 피해 최소화 방안은 기획정보과 2010-08-07 282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