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72종·돼지고기 15종 상표 난립"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4 09:11:43      ·조회수 : 3,761     

한 조합 여러상표 쓰기도… 품질관리에 허점 드러내
제주에서 생산하는 감귤과 돼지고기의 상표가 난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품질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는 등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23일 제주도에 따르면 현재 제주시농협·한림농협·서귀포농협·중문농협 등 농협중앙회 제주지역본부를 포함한 20개 농협과 8개 영농법인, 6개 작목반, 제주감귤협동조합, 서귀포시 등 40개 생산자단체 또는 기관, 개인 등이 제각기 다른 상표를 달아 감귤을 출하하고 있다. 더욱이 K영농조합은 5개의 상표를, J영농조합은 4개의 상표를 갖고 있다. 서귀포농협과 중문농협 등 5개 농협과 제주감협 등 6개 생산자단체가 3개의 상표를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한 업체가 다수 상표를 쓰는 사례가 많은 탓에 제주산 감귤 상표는 현재 모두 72개나 된다. 하지만 이 가운데 50개 상표만 특허청에 상표등록이 됐을 뿐이고 나머지 22개 상표는 상표등록이 안 된 상태다.

또 중문농협의 '황제', 제주감협의 '불로초', 농협연합사업단의 '햇살바람' 등 일부 감귤 상표만 당도와 산도 등의 품질기준을 만들어 관리하는 등 대부분 품질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돼지고기 상표도 난립하기는 마찬가지다. 제주축협·서귀포축협·제주흑돼지수출사업단 등 15개 업체가 삼다한라포크, 제주촌, 제주흑다돈, 제주불로포크, 올레도새기, 돈그린포크 등 제각기 다른 상표를 등록해 사용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감귤과 돼지고기의 상표가 너무 많아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며 "상표를 통합해 공동상표를 육성하고, 맛과 색깔, 안전성 등을 차별화해 부가가치를 높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27 日 전문가 "고품질 감귤 생산, 멀칭재배 필요" 기획정보과 2010-08-03 2348
1126 소비자 선호 '파워 감귤 브랜드' 없다 기획정보과 2010-08-03 2222
1125 사과, 배, 단감에서 배워야 할 감귤 수출 기획정보과 2010-08-03 2323
1124 지난해 감귤 조수입 6000억 돌파 기획정보과 2010-07-22 2159
1123 노지온주 생산량 25% 줄 듯 기획정보과 2010-07-22 2472
1122 제주감귤 아이스크림 미국 진출 기획정보과 2010-07-15 2296
1121 노지감귤 착과량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0-07-08 2100
1120 고당도 감귤 생산을 위한 토양피복 기획정보과 2010-07-08 2335
1119 서귀포시 감귤원 농산물 운반기 지원사업 추진 기획정보괴 2010-07-01 2619
1118 제주감귤 1조원시대 열리나 기획정보과 2010-07-01 2454
1117 제주대, 감귤바이오에너지사업 유치 기획정보과 2010-07-01 2202
1116 임금께 감귤 진상 '금물과원' 복원 기획정보과 2010-07-01 2381
1115 농업프론티어, 영농기술 전도사로 기획정보과 2010-07-01 2427
1114 친환경 유기농 음료 전국 보급 기획정보과 2010-07-01 2645
1113 한라봉 및 천혜향 발전 전망 밝다 기획정보과 2010-06-24 2769
1112 브랜드 감귤 출하 확대를 위한 현장 움직임 기획정보과 2010-06-17 2797
1111 감귤 산지유통센터 추가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211
1110 올해 감귤 생산량 적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562
1109 감귤거점 산지유통센터 2곳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237
1108 제주감귤 필리핀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15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