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 FTA 감귤투쟁, 지금이 고비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15 09:53:40      ·조회수 : 2,777     

[사설] FTA 감귤투쟁, 지금이 고비다
9/15 제주타임즈
10월 23일부터 진행될 한-미FTA 제4차 본 협상을 앞두고 제주감귤 운명이 가물가물해지고 있다. 그 동안 한-미FTA협상 과정에서 제주감귤은 한때 ‘관세철폐 예외품목’으로 분류돼 희망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미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강경 일변도로 나오던 ‘섬유 개방’ 협상에서 한 걸음 후퇴하면서 그 대신 우리 정부가 고수해 오던 ‘농산물 개방’문제를 압박해 옴으로써 감귤의 ‘예외품목 지위’가 흔들릴 개연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당황한 제주도와 감귤특별대책위는 농림부 장관에게 건의문을 보내 “감귤산업의 몰락은 곧 제주도민의 생존과 직결돼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협상 품목에서의 제외를 재차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현재까지 나타난 문제점 파악과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고, FTA협상단도 방문할 계획이지만 성과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마디로 감귤의 장래 문제가 중요한 고비를 맞고 있으며, 따라서 FTA에 대한 투쟁도 막바지 고비에 이른 셈이다. 이제 제주도와 감귤대책위, 도의회-국회의원, 도민들은 이 중차대한 고비를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절박한 기로에 서 있다. 앞으로 감귤을 위해서는 건의-방문-성명-서명-집회 등을 통한 ‘협상 품목 제외 운동’의 개념에서가 아니라 ‘투쟁’의 개념으로 그 외의 행동까지도 구체화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비록 시장이 좁은 제주지만 오렌지를 비롯한 미국산 상품 불매운동까지도 불사해야 한다. 거도적(擧道的)인 결연한 행동이 아니고서는 감귤을 지켜내기 어려울지도 모른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29 감귤운송계약 농협-운송업체 시각차 기획정보과 2010-08-07 3243
1128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로 고품질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0-08-03 2834
1127 日 전문가 "고품질 감귤 생산, 멀칭재배 필요" 기획정보과 2010-08-03 2769
1126 소비자 선호 '파워 감귤 브랜드' 없다 기획정보과 2010-08-03 2689
1125 사과, 배, 단감에서 배워야 할 감귤 수출 기획정보과 2010-08-03 2732
1124 지난해 감귤 조수입 6000억 돌파 기획정보과 2010-07-22 2557
1123 노지온주 생산량 25% 줄 듯 기획정보과 2010-07-22 2948
1122 제주감귤 아이스크림 미국 진출 기획정보과 2010-07-15 2816
1121 노지감귤 착과량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0-07-08 2520
1120 고당도 감귤 생산을 위한 토양피복 기획정보과 2010-07-08 2749
1119 서귀포시 감귤원 농산물 운반기 지원사업 추진 기획정보괴 2010-07-01 2953
1118 제주감귤 1조원시대 열리나 기획정보과 2010-07-01 2863
1117 제주대, 감귤바이오에너지사업 유치 기획정보과 2010-07-01 2630
1116 임금께 감귤 진상 '금물과원' 복원 기획정보과 2010-07-01 2922
1115 농업프론티어, 영농기술 전도사로 기획정보과 2010-07-01 2788
1114 친환경 유기농 음료 전국 보급 기획정보과 2010-07-01 3216
1113 한라봉 및 천혜향 발전 전망 밝다 기획정보과 2010-06-24 3159
1112 브랜드 감귤 출하 확대를 위한 현장 움직임 기획정보과 2010-06-17 3215
1111 감귤 산지유통센터 추가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549
1110 올해 감귤 생산량 적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92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