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중국 감귤, 제주 감귤 발목 잡나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2-08 09:38:51      ·조회수 : 3,497     

<b><font size=5>
중국 감귤, 제주 감귤 발목 잡나 </font>
<font size=3 color=blue>
중국 감귤의 ‘제주 감귤’발목 잡기가 현실화됐다.</font>

2007년 02월 07일 (수) 제민일보

<font size=3>
세계 2위 생산량 등 물량공세로 제주 감귤을 위협해오던 중국 감귤이 최근 ‘품질’에서도 비교 우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등 어려움에 봉착했다.

7일 농협중앙회 제주지역본부와 감협 무역사무소, 수출업체 등에 따르면 주 수출시장인 캐나다에의 2006년산 감귤 선적 물량은 665t으로 지난해 2494t의 27% 정도를 수출하는데 그쳤다. 이는 캐나다 수출 목표 2800t의 25% 수준에 불과하다.

캐나다 시장은 1990년부터 제주감귤이 수출되기 시작, 2~3년전만 해도 5000t가까이 수출했던 효자 지역. 하지만 지난해 11월 중순 갑자기 수출 작업 중단 통보를 했다.

수출 중단의 가장 큰 원인은 중국 감귤의 시장 잠식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지에서의 중국 감귤 가격은 제주 감귤과 비교해 30%정도(2.8㎏ 상자 기준) 수준에 머무는 등 가격 경쟁력을 갖고 있다. 그나마 지금까지는 품질이 상대적으로 좋고 국가 브랜드 이점 등으로 시장을 지키고 있었지만 최근 중국 감귤 품질이 급격히 향상되면서 ‘제주 감귤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수확 역시 제주감귤보다 한달정도 빠른 9월 이뤄지는 등 가격·품질·시기 모든 면에서 제주 감귤을 앞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감귤은 품종이 다양한 것은 물론 싼 노동력 등을 바탕으로 사과 등과 같은 개별포장을 하고, 대대적인 물량 공세까지 뒷받침되면서 경쟁력을 키우는 등 제주 감귤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농수산물유통공사의 2003년 자료 등에서 ‘중국이 제주산보다 품질이 좋은 감귤을 수출 시장에 내놓고 있다’는 정보가 나오기는 했지만 이번처럼 수출이 중단된 것은 처음으로 관련 단체와 업계가 크게 긴장하고 있다.

틈새시장으로 러시아 시장과의 물꼬를 트고 동남아시아 시장을 관리하고 있기는 하지만 시장 한계가 있는데다 중국산과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강찬종 감협 무역사무소장은 “현지 바이어들이 제주산보다 중국산이 가격이나 품질면에서 낫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며 “앞으로 캐나다 시장은 이번 수출 물량 정도를 유지하는 것도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농협 제주지역본부 관계자는 “현재 국내 시장 가격이 좋아 수출물량을 확보하는 것도 힘들다고는 하지만 앞으로가 문제”라며 “앞으로 감귤 품질별 차별화 등으로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제주 감귤이 살길”이라고 말했다.</font>
고미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29 감귤운송계약 농협-운송업체 시각차 기획정보과 2010-08-07 3210
1128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로 고품질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0-08-03 2820
1127 日 전문가 "고품질 감귤 생산, 멀칭재배 필요" 기획정보과 2010-08-03 2731
1126 소비자 선호 '파워 감귤 브랜드' 없다 기획정보과 2010-08-03 2667
1125 사과, 배, 단감에서 배워야 할 감귤 수출 기획정보과 2010-08-03 2707
1124 지난해 감귤 조수입 6000억 돌파 기획정보과 2010-07-22 2524
1123 노지온주 생산량 25% 줄 듯 기획정보과 2010-07-22 2932
1122 제주감귤 아이스크림 미국 진출 기획정보과 2010-07-15 2788
1121 노지감귤 착과량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0-07-08 2477
1120 고당도 감귤 생산을 위한 토양피복 기획정보과 2010-07-08 2719
1119 서귀포시 감귤원 농산물 운반기 지원사업 추진 기획정보괴 2010-07-01 2925
1118 제주감귤 1조원시대 열리나 기획정보과 2010-07-01 2838
1117 제주대, 감귤바이오에너지사업 유치 기획정보과 2010-07-01 2595
1116 임금께 감귤 진상 '금물과원' 복원 기획정보과 2010-07-01 2899
1115 농업프론티어, 영농기술 전도사로 기획정보과 2010-07-01 2778
1114 친환경 유기농 음료 전국 보급 기획정보과 2010-07-01 3196
1113 한라봉 및 천혜향 발전 전망 밝다 기획정보과 2010-06-24 3132
1112 브랜드 감귤 출하 확대를 위한 현장 움직임 기획정보과 2010-06-17 3177
1111 감귤 산지유통센터 추가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549
1110 올해 감귤 생산량 적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92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