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채에 짖눌린 ‘제주농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29 15:21:00      ·조회수 : 3,492     


<b><font size=5>
사채에 짖눌린 ‘제주농가’ </font><font size=3 color=blue>

작년말 평균 빚 4834만원 중 사채 808만원…10년새`10배 급증 </font>

2007년 03월 27일 (화) 신정익 기자 <font size=3>


제주지역 농가들의 가구당 부채가 5000만원에 육박한 가운데 일시적인 자금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채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융기관로부터 빌린 채무도 사상처음으로 4000만원을 넘어선 가운데 장기채무의 비중도 지속적으로 늘어 농가경제를 압박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06년도 제주지역 농가경제’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도내 농가당 평균부채 4834만원 가운데 금융기관 빚은 4027만원, 사채는 808만원으로 집계됐다.

금융기관 부채는 전년에 비해 2.9%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4000만원대에 들어섰으며 사채는 전년에 비해 6.7% 감소했다. 이 같은 도내 농가의 사채 비중은 전체 농가부채의 16.7%로 전국평균 509만원에 비해 무려 299만원이나 많은 수준이다.

농가부채에서 사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7년 6.6%에 그쳤으나 2001년 8.4%, 2003년 11.4%, 2004년 13.3%, 2006년 16.7%로 증가했다.

반면 금융기관 부채 비중은 1997년 93.4%에서 2003년 88.6%, 2006년 83.3%로 감소해 대조를 보이고 있다.

도내 농가의 사채 규모는 10년전인 1996년 80만원에 불과했으나 1998년 89만원, 2000년 222만원, 2002년 288만원 등으로 증가한데 이어 2003년 499만원, 2004년 602만원 등으로 급증했다.

농가당 사채규모가 10년새 무려 10배나 증가했다.

금융기관 부채 역시 1995년 730만원에서 1996년 처음으로 1000만원을 넘어 1083만원을 기록한 후 1998년 1781만원, 2001년 2825만원, 2004년 3920만원, 2005년 3912만원에 이어 지난해 처음 4000만원을 웃돌았다.

이처럼 도내 농가의 사채비중이 증가한 것은 2000년대들어 감귤가격 등 농산물 가격이 하락하면서 농가들이 문턱이 높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조달이 쉽지 않아 일시적인 자금융통을 위해 사채를 이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상환기간별 농가부채 현황을 보면 1년 이내로 비교적 단가성 부채인 유동부채는 1097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3.9% 감소한 반면 1년 이상 장기성 부채인 고정부채는 3738만원으로 2.8% 증가하면서 전체 부채 가운데 77.3%를 차지, 부채의 그늘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29 감귤운송계약 농협-운송업체 시각차 기획정보과 2010-08-07 3204
1128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로 고품질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0-08-03 2806
1127 日 전문가 "고품질 감귤 생산, 멀칭재배 필요" 기획정보과 2010-08-03 2720
1126 소비자 선호 '파워 감귤 브랜드' 없다 기획정보과 2010-08-03 2645
1125 사과, 배, 단감에서 배워야 할 감귤 수출 기획정보과 2010-08-03 2685
1124 지난해 감귤 조수입 6000억 돌파 기획정보과 2010-07-22 2515
1123 노지온주 생산량 25% 줄 듯 기획정보과 2010-07-22 2912
1122 제주감귤 아이스크림 미국 진출 기획정보과 2010-07-15 2773
1121 노지감귤 착과량 확보 '비상' 기획정보과 2010-07-08 2456
1120 고당도 감귤 생산을 위한 토양피복 기획정보과 2010-07-08 2707
1119 서귀포시 감귤원 농산물 운반기 지원사업 추진 기획정보괴 2010-07-01 2903
1118 제주감귤 1조원시대 열리나 기획정보과 2010-07-01 2824
1117 제주대, 감귤바이오에너지사업 유치 기획정보과 2010-07-01 2580
1116 임금께 감귤 진상 '금물과원' 복원 기획정보과 2010-07-01 2882
1115 농업프론티어, 영농기술 전도사로 기획정보과 2010-07-01 2755
1114 친환경 유기농 음료 전국 보급 기획정보과 2010-07-01 3177
1113 한라봉 및 천혜향 발전 전망 밝다 기획정보과 2010-06-24 3108
1112 브랜드 감귤 출하 확대를 위한 현장 움직임 기획정보과 2010-06-17 3165
1111 감귤 산지유통센터 추가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547
1110 올해 감귤 생산량 적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91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