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제값받기 열매솎기에 달렸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8-09-17 09:08:43      ·조회수 : 3,702     

올해산 노지감귤은 해거리 현상으로 인해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과일관측에 따르면 올해 노지감귤의 성목면적이 지난해보다 3% 감소하고 성목단수도 22% 감소했다. 이에 따라 감귤생산량은 지난해보다 25% 감소한 50만9천톤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또 올해 노지감귤의 품질은 지난해에 비해 양호할 전망이다. 특히 8월 기상호조로 당도가 작년보다 약 1브릭스 높은 10.6브릭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색택 등 외관도 작년에 비해 좋을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크기는 지난해보다 좋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은 착과수로 인해 과실 크기가 전체적으로 커져서 소비자의 선호도가 떨어지는 대과 비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단 올해 감귤은 과잉생산에 따른 가격하락이라는 악순환에서 벗어날 듯 싶다. 감귤은 적정생산량 범위에서 벗어날수록 가격이 크게 하락하여 농가 조수입을 떨어뜨리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해 왔음을 우리는 경험칙상 잘 알고 있다.

감귤산업이 제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감귤가격 하락으로 농가소득이 감소한 해는 지역경제가 휘청거렸다. 감귤가격 하락은 단지 감귤농가에만 타격을 주는 것이 아니라 포장, 운송, 고용, 소비 등 감귤연관 산업에까지 영향을 미쳐 제주경제 전반에 타격을 주게 된다.

올해는 공급과잉-가격폭락-농가소득 감소-소비위축-경기침체라는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희망적이다.

그러나 적정생산이 된다고 해서 안심할 수 만은 없다. 생산량은 감귤값을 결정하는 여러가지 요인 중 한 가지일 뿐 절대적 기준이 아니기 때문이다.

모든 상품이 다 그렇듯이 품질이 뛰어나지 않고서는 소비자로부터 외면당한다. 소비가 위축되면 설령 적정공급이 되더라도 가격은 하락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올해의 경우 감귤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고물가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가격전망이 불투명한 실정이다.

더욱이 올해는 비상품 감귤 차단과 출하조절 등을 위해 5년 연속 도입했던 감귤유통명령제 발령도 어렵게 됐다. 유통명령제 도입이 감귤가격 안정에 상당한 도움을 줬음은 모두가 인정하는 사실이다.

때문에 올해산 감귤은 고품질로 승부할 수 밖에 없다. 지난해의 경우 과잉생산에다 비상품 감귤이 대량으로 소비시장에 유통되면서 가격하락 뿐만 아니라 제주감귤의 이미지를 크게 실추시켰었다. 제주감귤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생산단계에서부터 불량감귤을 아예 근절시키는 노력이 중요하다.

다행히 최근들어 생산농가를 비롯한 농협 등 생산자단체, 농업인단체를 중심으로 불량감귤 열매솎기 운동이 확산되고 있어 고품질 감귤생산에 대한 희망을 던져주고 있다. 1년 내내 애써 키운 자식같은 열매를 버려야 하는 농심을 헤아리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환부를 도려내야 건강을 지킬 수 있듯이 불량감귤을 과감히 솎아내야 실추된 제주감귤의 건강한 이미지를 회복시킬 수 있다. 또 무임승차하려는 농가에게는 따끔한 사회적 질책과 함께 행·재정상 패널티도 줘야 한다. 고품질의 감귤생산은 우선적으로 농가 몫이다. 상품을 제대로 만들어 내지 않고 제값만 받으려 하는 것은 '도둑놈 심보'나 진배없다.

아무튼 고품질 감귤생산을 위한 농가, 생산자단체 및 농업인단체의 불량감귤 열매솎기 분위기가 좀 더 확산되기를 바란다.

<한라일보 고대용 경제부장>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07 감귤선과장 등록제 3년 연장 기획정보과 2010-05-12 2274
1106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 감소 전망 기획정보과 2010-05-12 2484
1105 제주감귤로 만든 '와인' 출시 기획정보과 2010-05-12 2241
1104 노지감귤 생리낙과 체계적 관리 기획정보과 2010-05-12 2595
1103 제주감귤 재배기술 전방위 보급 기획정보과 2010-05-12 3092
1102 올해 첫 햇 하우스감귤 수확 기획정보과 2010-05-12 2445
1101 감귤재배 시설하우스로 급변 기획정보과 2010-05-12 2314
1100 진상귤 재배 '금물과원' 958년만에 복원된다 기획정보과 2010-04-21 2602
1099 감귤 미국 수출길 8년만에 재개 기획정보과 2010-03-24 2375
1098 감귤 조수입 1조원 르네상스 운동 전개 기획정보과 2010-03-24 2377
1097 내년 농림수산사업 국비확보 총력 기획정보과 2010-03-24 2242
1096 제주 농축산물 수출 '봄바람' 기획정보과 2010-03-15 3294
1095 제주 농산물 '연합마케팅이 좋다' 기획정보과 2010-03-15 2257
1094 제주 감귤 100년 기념사업 준비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0-03-02 2970
1093 감귤원 간벌사업 탄력 받는다 기획정보과 2010-03-02 2481
1092 제주산 감귤막걸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3-02 2659
1091 노지·하우스 감귤재배구조 큰 변화 기획정보과 2010-02-22 2323
1090 감귤박 자원화 가능성 보인다 기획정보과 2010-02-22 2472
1089 제12차 감귤 북한보내기 선적 기획정보과 2010-02-22 2591
1088 감귤에서 '인공피부' 소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230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