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72종·돼지고기 15종 상표 난립"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4 09:11:43      ·조회수 : 3,762     

한 조합 여러상표 쓰기도… 품질관리에 허점 드러내
제주에서 생산하는 감귤과 돼지고기의 상표가 난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품질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는 등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23일 제주도에 따르면 현재 제주시농협·한림농협·서귀포농협·중문농협 등 농협중앙회 제주지역본부를 포함한 20개 농협과 8개 영농법인, 6개 작목반, 제주감귤협동조합, 서귀포시 등 40개 생산자단체 또는 기관, 개인 등이 제각기 다른 상표를 달아 감귤을 출하하고 있다. 더욱이 K영농조합은 5개의 상표를, J영농조합은 4개의 상표를 갖고 있다. 서귀포농협과 중문농협 등 5개 농협과 제주감협 등 6개 생산자단체가 3개의 상표를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한 업체가 다수 상표를 쓰는 사례가 많은 탓에 제주산 감귤 상표는 현재 모두 72개나 된다. 하지만 이 가운데 50개 상표만 특허청에 상표등록이 됐을 뿐이고 나머지 22개 상표는 상표등록이 안 된 상태다.

또 중문농협의 '황제', 제주감협의 '불로초', 농협연합사업단의 '햇살바람' 등 일부 감귤 상표만 당도와 산도 등의 품질기준을 만들어 관리하는 등 대부분 품질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돼지고기 상표도 난립하기는 마찬가지다. 제주축협·서귀포축협·제주흑돼지수출사업단 등 15개 업체가 삼다한라포크, 제주촌, 제주흑다돈, 제주불로포크, 올레도새기, 돈그린포크 등 제각기 다른 상표를 등록해 사용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감귤과 돼지고기의 상표가 너무 많아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며 "상표를 통합해 공동상표를 육성하고, 맛과 색깔, 안전성 등을 차별화해 부가가치를 높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07 감귤선과장 등록제 3년 연장 기획정보과 2010-05-12 2293
1106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 감소 전망 기획정보과 2010-05-12 2489
1105 제주감귤로 만든 '와인' 출시 기획정보과 2010-05-12 2250
1104 노지감귤 생리낙과 체계적 관리 기획정보과 2010-05-12 2595
1103 제주감귤 재배기술 전방위 보급 기획정보과 2010-05-12 3111
1102 올해 첫 햇 하우스감귤 수확 기획정보과 2010-05-12 2450
1101 감귤재배 시설하우스로 급변 기획정보과 2010-05-12 2320
1100 진상귤 재배 '금물과원' 958년만에 복원된다 기획정보과 2010-04-21 2602
1099 감귤 미국 수출길 8년만에 재개 기획정보과 2010-03-24 2375
1098 감귤 조수입 1조원 르네상스 운동 전개 기획정보과 2010-03-24 2382
1097 내년 농림수산사업 국비확보 총력 기획정보과 2010-03-24 2243
1096 제주 농축산물 수출 '봄바람' 기획정보과 2010-03-15 3314
1095 제주 농산물 '연합마케팅이 좋다' 기획정보과 2010-03-15 2257
1094 제주 감귤 100년 기념사업 준비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0-03-02 2975
1093 감귤원 간벌사업 탄력 받는다 기획정보과 2010-03-02 2481
1092 제주산 감귤막걸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3-02 2664
1091 노지·하우스 감귤재배구조 큰 변화 기획정보과 2010-02-22 2338
1090 감귤박 자원화 가능성 보인다 기획정보과 2010-02-22 2472
1089 제12차 감귤 북한보내기 선적 기획정보과 2010-02-22 2591
1088 감귤에서 '인공피부' 소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230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