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협상 예외품목 이외 대안 없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3 09:54:37      ·조회수 : 2,638     

“감귤, 협상 예외품목 이외 대안 없다”
한라일보 6/23
한미 FTA가 발효돼 감귤류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면 도내 감귤산업 피해액이 10년 동안 최대 2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감귤산업 발전방안 용역을 시행중인 제주대학교의 분석이다. 충격적인 보고서다. 감귤에 국한된 것도 아니다. 일반농업, 관광 등 타산업도 함께 몰락해 제주경제가 붕괴될지 모른다는 경고를 용역팀은 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제주도 당국이 선택할 수 있는 카드는 자명해졌다. 뭔가를 하는 것처럼 시늉만 낼 단계가 아닌 것이다. 제주경제의 사활이 걸린 중대 사안이다. 우선 감귤을 협상 예외품목으로 관철시켜야 한다. 달리 대안이 없다. 정부와 적당히 타협할 생각은 접는 게 좋다. 정부가 미국에 한국의 농업을 일방적으로 양보하지 않도록 도 당국이 앞장서서 경각심을 줘야 한다. 뜻을 같이 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없지 않을 것이다.

 이른바 ‘민감품목’에 감귤이 지정되더라도 엄청난 피해가 불가피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지 않은가. 감귤 뿐만 아니라 다른 농작물과 축·수산업 개방 피해도 정확한 분석과 예측이 시급하다. 감귤만 갖고 제주 농촌경제를 지탱할 수는 없다. 열 손가락 깨물어 아프지 않은 손가락은 없다.

 도가 그제 발표한 ‘감귤산업 육성 로드맵’도 장밋빛 전망이 아닌 지 면밀히 재검검해볼 일이다. 감귤 조수입을 2010년에 1조원으로 늘리겠다는 구상을 농가들이 얼마나 현실성 있는 계획으로 받아들일는지 의문이다. 그렇게 발전시키는 것이 당연한 일이겠지만 검증되지 않은 발표로 자칫 FTA 대응에 초점이 흐려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도가 특히 잊지 말아야 할 것은 1차산업 발전대책을 마련함에 있어 감귤 따로, 일반농업·축산업·수산업 따로 제 각각 분산해 논의하기보다 제주의 농·수·축산업을 한 묶음으로 통합해 종합적인 발전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작물간 산업간 우선순위가 보다 명확해지고 이에 따라 산업의 재배치가 가능해진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09 감귤거점 산지유통센터 2곳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629
1108 제주감귤 필리핀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527
1107 감귤선과장 등록제 3년 연장 기획정보과 2010-05-12 2696
1106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 감소 전망 기획정보과 2010-05-12 2931
1105 제주감귤로 만든 '와인' 출시 기획정보과 2010-05-12 2599
1104 노지감귤 생리낙과 체계적 관리 기획정보과 2010-05-12 3087
1103 제주감귤 재배기술 전방위 보급 기획정보과 2010-05-12 3562
1102 올해 첫 햇 하우스감귤 수확 기획정보과 2010-05-12 2875
1101 감귤재배 시설하우스로 급변 기획정보과 2010-05-12 2817
1100 진상귤 재배 '금물과원' 958년만에 복원된다 기획정보과 2010-04-21 3019
1099 감귤 미국 수출길 8년만에 재개 기획정보과 2010-03-24 2787
1098 감귤 조수입 1조원 르네상스 운동 전개 기획정보과 2010-03-24 2791
1097 내년 농림수산사업 국비확보 총력 기획정보과 2010-03-24 2628
1096 제주 농축산물 수출 '봄바람' 기획정보과 2010-03-15 4115
1095 제주 농산물 '연합마케팅이 좋다' 기획정보과 2010-03-15 2654
1094 제주 감귤 100년 기념사업 준비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0-03-02 3544
1093 감귤원 간벌사업 탄력 받는다 기획정보과 2010-03-02 2868
1092 제주산 감귤막걸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3-02 3063
1091 노지·하우스 감귤재배구조 큰 변화 기획정보과 2010-02-22 2717
1090 감귤박 자원화 가능성 보인다 기획정보과 2010-02-22 292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