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타임스][사설] 불량 감귤 과감한 퇴출만이 살길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10-09 18:44:26      ·조회수 : 3,385     

<b><font size=4>[사설] 불량 감귤 과감한 퇴출만이 살길 </font></b>

2007년 10월 08일 (월) 제주타임스


제주전역을 초토화 시켰던 제11호 태풍 ‘나리’의 상처는 아직도 아물지 않고 있다. 감자 당근 마늘 등 농작물의 사실상 폐작에 이어 올해 산 감귤 처리에도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나리’의 영향으로 한창 영글어야 할 감귤이 상처를 입거나 감귤나무가 찢겨졌고 이 때문에 감귤의 질이 떨어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특히 잦은 비 날씨로 인한 감귤의 당도 저하도 감귤 유통처리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그래서 도 당국이 추진하는 감귤유통 조절 명령제가 도입되더라도 이 같은 이유들로 하여 감귤 값을 제대로 받을 수 있을까 걱정하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감귤 피해 농민들이 한 알이라도 더 생산하려고 상처 난 과일이나 병든 과일 등 품질이 떨어지는 감귤까지 무작정 시장에 내놓을 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일 년 내내 땀 흘린 농산물을 버리지 않으려는 농민들의 심정은 이해가 간다. 그러나 이들을 부추기는 중간상인들의 농간에 농민들이 넘어가 오히려 소비시장을 교란시켜 제주감귤 이 제값을 받지 못할까가 걱정이다. 그래서 감귤유통 조절명령제 도입에 앞서 상처 난 과일이나 병든 과일 등 불량 감귤을 과감히 퇴출시키려는 생산농민과 농민단체들의 실천적 노력이 절대필요하다는 주문이 이어지고 있다. 과감한 열매솎기, 수상선과(樹上選果)를 통해 감귤의 품질을 높이고 여기에다 감귤 유통 조절명령제 도입을 통한 비상품 유통 차단만이 가뜩이나 주눅이 들고 있는 올해 산 제주감귤의 원활한 처리를 기대할 수 있다는 조언이다. ‘작은 것 욕심내다가 큰 것’ 잃어버리는 어리석음에서 벗어나자는 것이다. 어려울 때 일수록 지혜를 모아 나가야 할 것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09 감귤거점 산지유통센터 2곳 건립 기획정보과 2010-06-04 2573
1108 제주감귤 필리핀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10-06-04 2472
1107 감귤선과장 등록제 3년 연장 기획정보과 2010-05-12 2643
1106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 감소 전망 기획정보과 2010-05-12 2867
1105 제주감귤로 만든 '와인' 출시 기획정보과 2010-05-12 2549
1104 노지감귤 생리낙과 체계적 관리 기획정보과 2010-05-12 3020
1103 제주감귤 재배기술 전방위 보급 기획정보과 2010-05-12 3520
1102 올해 첫 햇 하우스감귤 수확 기획정보과 2010-05-12 2803
1101 감귤재배 시설하우스로 급변 기획정보과 2010-05-12 2741
1100 진상귤 재배 '금물과원' 958년만에 복원된다 기획정보과 2010-04-21 2954
1099 감귤 미국 수출길 8년만에 재개 기획정보과 2010-03-24 2718
1098 감귤 조수입 1조원 르네상스 운동 전개 기획정보과 2010-03-24 2716
1097 내년 농림수산사업 국비확보 총력 기획정보과 2010-03-24 2573
1096 제주 농축산물 수출 '봄바람' 기획정보과 2010-03-15 4068
1095 제주 농산물 '연합마케팅이 좋다' 기획정보과 2010-03-15 2586
1094 제주 감귤 100년 기념사업 준비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0-03-02 3472
1093 감귤원 간벌사업 탄력 받는다 기획정보과 2010-03-02 2808
1092 제주산 감귤막걸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3-02 2996
1091 노지·하우스 감귤재배구조 큰 변화 기획정보과 2010-02-22 2647
1090 감귤박 자원화 가능성 보인다 기획정보과 2010-02-22 286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