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9 09:56:41      ·조회수 : 3,992     

감귤산업 정책 선택·집중 필요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과장 29일 열릴 한·중·일 국제심포지엄 앞두고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 요약문 발표
제민일보 9/28 김경필 기자
한·미FTA 협상 등 시장개방에 따른 제주감귤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 정책을 선택,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김창명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장은 29일 오후 1시30분부터 난지농업연구소에서 열릴 동북아 감귤산업 국제심포지엄에서 제주도가 추진하는 감귤정책의 선택과 집중 필요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 과장은 심포지엄에 앞서 보도자료로 발표한 요약문을 통해 선택·집중이 필요한 감귤정책으로 품질향상 및 등급화·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의 기호와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과장은 이를 위해 산지거점유통센터를 통한 감귤출하물량이 도외 반출량의 50%인 20만t(계통출하량의 80%)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노지에서 생산되는 감귤중 35%는 12브릭스 이상의 고당도로 생산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고당도 노지감귤 생산 방안으로 “무엇보다 다공질필름 멀칭재배를 5000㏊까지 확대시키는 것이 제주도의 급선무”라며 제시했다.
김 과장은 또 “고품질 품종 갱신, 방풍수 정리, 간벌 등 과원정비와 시비·토양관리 개선도 고당도 감귤생산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한후 “제주감귤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도민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오까다 마사미찌씨와 펑수앙 중국 화중농업대학교수가 참석, 각각 일본과 중국의 감귤산업 현황과 발전방향을 발표할 계획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89 제12차 감귤 북한보내기 선적 기획정보과 2010-02-22 2981
1088 감귤에서 '인공피부' 소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2744
1087 道, 감귤하우스 401억 지원 대상자 확정 기획정보과 2010-02-22 2540
1086 고품질 감귤 생산 간벌 필수 기획정보과 2010-02-22 2525
1085 무농약 감귤 생산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0-02-12 2562
1084 서귀포시, 농약대신 미생물로 병충해 방지, 무농약 감귤 도전 기획정보과 2010-02-12 2658
1083 감귤박물관, 온주감귤 및 향토재래귤 보호수 사진전 개최 기획정보과 2010-02-12 2931
1082 친환경감귤 생산 위한 미생물 배양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0-02-12 2645
1081 감귤하우스 자동개폐기 시설 38억원 투자 기획정보과 2010-02-12 3363
1080 감귤생산시설 현대화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0-02-12 3425
1079 서귀포지역 고품질감귤 생산시설 현대화사업 호응 기획정보과 2010-02-12 2508
1078 제주 감귤껍질로 천연파마제 개발 기획정보과 2009-11-23 3249
1077 "노지감귤 처리방안 상호 협력키로" 기획정보과 2009-11-23 3383
1076 감귤껍질 활용 축산농가 소득향상 추진 기획정보과 2009-11-11 3517
1075 "감귤 북한 보내기 계속 추진을" 기획정보과 2009-11-11 3333
1074 제주감귤 군납 확대 '청신호' 기획정보과 2009-11-11 3282
1073 감귤 뷰티·테라피사업 탄력 기획정보과 2009-11-11 2846
1072 감귤시험장 김용호씨'마르퀴스 후즈 후' 등재 기획정보과 2009-11-11 2925
1071 제주 감귤, 과거 100년과 미래 100년 기획정보과 2009-11-11 3007
1070 "제주감귤 세계적 상품화 이뤄낼 것" 기획정보과 2009-11-11 311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