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라봉 이미지 추락 대책없나]농가 자정노력·품질관리 절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02 09:45:42      ·조회수 : 2,711     

[한라봉 이미지 추락 대책없나]농가 자정노력·품질관리 절실
(제민일보 4/28 고미기자)

한라봉 추락에 끝이 보이지 않는다. 노지 감귤출하가 마무리되면서 가격 회복 기미를 보인 것도 잠시 이동식 노점을 이용, 관광객들에게 비상품 한라봉을 판매하는 행위가 잇따라 적발되는가 하면 아직도 ㎏당 1000원 수준의 저가 한라봉이 도매 시장에 유통되는 등 총체적 난국에 직면했다.


△농가 차원의 자정 노력 절실 = 27일 진행된 한라봉 가격 대책회의에서 참석자들은 현재 한라봉의 출하나 가격 체제 등 관리 전반에 있어 문제가 있음을 시인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시된 해결 방안은 농가 등을 대상으로 품질 관리와 출하 조절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단속 수위를 강화한다는 것이 전부다.

유통명령제 이후 순수하게 한라봉 단속을 위해 투입된 인원은 17개반 62명이다. 일부 민간인을 제외하고는 공무원과 농·감협 직원으로 구성됐다.

한라봉 단속은 감귤처럼 크기나 외관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당도 등을 측정해야 하는만큼 현실적으로 어렵다.

3㎏상자당 10개 미만의 한라봉이 들어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이를 일일이 검사하는 것은 무리이며 섣불리 당도 측정을 감행하기도 쉽지 않다.

특히 최근 비상품 한라봉의 주요 유통 경로로 지적되고 있는 노점 판매의 경우 판매 장소가 일정치 않은데다 기동성이 단속반을 앞지르는 등 제대로 된 단속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대부분 한라봉 단속은 소비자 등의 제보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 전부일 정도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대형 선과장 구축 통한 관리 체계화 시급 = 한라봉은 또 선과장을 통한 선별 작업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 등 품질관리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당도 기준에 따른 선별을 위해서는 비파괴 선과기가 필요하지만 도내에 비치된 비파괴 선과기는 난지농업연구소와 남군 농업기술센터, 서귀포농업기술센터 등 행정기관과 위미·남원·성산·고산·효돈·표선 농협과 감협 유통센터·제주지소, 클린영농조합법인이 보유하고 있는 12대(12개 라인)가 전부다.

1대가 하루 10시간 작업했을 때 처리할 수 있는 물량은 3t 수준으로 이들 선과기를 총 가동해도 최근 하루 출하 물량(40~50t)을 소화하기에는 태부족이다.

이웃 일본이 한라봉 비파괴 선과기를 많게는 22개 라인까지 확보, 품질관리를 하는 것과는 큰 대조를 이루고 있다.

농가들이 직접 선별할 물량을 가지고 선과기를 찾아다녀야 하는 번거로움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그렇다고 농가들이 1억5000만원(2004년 지원액 기준)이 넘는 설치비용을 감당할 수도 없어 ‘한라봉 품질 기준’은 말에만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전문가들은 “감귤과 마찬가지로 한라봉 역시 대형 선과장을 구축해 이들 물량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행정기관에 의존하기 보다는 생산자 단체를 중심으로 이들 의견을 수합, 필요한 비파괴선과기 물량 등을 파악하는 등 역할 분담을 통한 문제해결을 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47 산지유통센터 건립사업 본격 시동 기획정보과 2008-08-05 3138
1046 감귤 피복재배 지원사업 강화 기획정보과 2008-08-05 3678
1045 감귤 산지유통센터 ‘본궤도’ 기획정보과 2008-07-23 3020
1044 생산량 감소 전망에 계약출하물량 저조 기획정보과 2008-07-17 2936
1043 "유통부문 경쟁력, 대형선과장 중심 상품화에 있다" 기획정보과 2008-07-17 3059
1042 감귤 경쟁력 강화사업 아이디어 공모 기획정보과 2008-07-15 2701
1041 감귤 러시아 시장 공략 기획정보과 2008-07-07 2637
1040 제주농업의 미래 기획정보과 2008-06-25 4422
1039 감귤 기능성 음료 개발 기획정보과 2008-06-25 2967
1038 위기의 하우스 감귤농가 기획정보과 2008-06-24 3430
1037 하우스농가 유류 줄이기 안간힘 기획정보과 2008-06-16 2710
1036 제주감귤, 커피와 만났다 기획정보과 2008-06-13 3599
1035 감귤정책의 새 틀 기획정보과 2008-06-12 3318
1034 제주감귤, 호주 타즈메니아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08-06-04 3650
1033 감귤원 초생재배로 일석이조 효과 거두세요. 기획정보과 2008-06-03 3039
1032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기획정보과 2008-05-30 2635
1031 감귤 피막제 사용 농가자율에 맡긴다 기획정보과 2008-05-28 2888
1030 호우 예비특보... "농작물 이렇게 관리하세요" 기획정보과 2008-05-23 2966
1029 [기고]감귤의 경쟁력은 고품질이다 기획정보과 2008-05-23 3035
1028 [연합뉴스]귤 껍질이 암세포 죽인다 기획정보과 2007-11-12 381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