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근래 감귤원에는...........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5-29 10:16:25      ·조회수 : 2,777     

근래 감귤원에는...........

한라일보 5/27 <김석중/제주시농업기술센터 감귤기술 담당>
금년도 기상은 알다가도 모르겠다. 늦서리로 인하여 일부지역 감귤나무가 추위 피해를 입는가 하면 봄이 일찍 찾아들어 감귤 새순이 예년에 비해 며칠 일찍 발아를 하여 좋은 징조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4월 하순부터 봄다운 날씨가 계속 이어지지 못하여 감귤꽃이 피다가 움츠리고 식물도 계절에 민감한 반응으로 꽃이 늦게 피어 전년대비 여러 날 늦게 개화됨을 농가들이 피부로 느낄 정도이다.

 식물은 자연의 순리에 의해 새순이 나고 꽃이 피고 열매를 맺고 그리고 성숙기에 접어들어서는 고개를 숙이고 익음현상을 보이게 된다. 헌데 근래에 보면 감귤꽃이 개화되었지만 예년처럼 많은 양의 꽃은 아닌가 싶다. 지역간의 차이는 물론 지난해 착과량 또한 농장주가 과수원을 어떻게 관리 했느냐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온주밀감은 한 해 열매가 많이 열리면 한 해는 적게 열리는 해거리를 하는게 본래의 생리다. 그러나 해거리를 줄이는 방법인 전정을 비롯하여 비배관리, 적과 등으로 다소 조정될 수는 있으나 그렇게 큰 차이를 가져오지는 않는다.

 근래 전화상담 양상을 보면 천차만별이다. 5월까지 단 한번도 농약 살포를 하지 않은 농가가 있는가 하면 벌써 2∼3회 살포한 농가도 있다. 분명한 것은 병은 반드시 예방 위주의 방제이고 충은 발생 정도가 심하기 전에 방제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는 것이다. 요사이 지역적으로나 농장 간에 다소 감귤꽃 개화 정도가 차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방제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만 어떠한 약종을 제시하기보다는 왜 방제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강조하고자 한다.

 어느 농장이건 꽃잎이 만개 후 꽃잎 색깔이 변하고 낙화될 무렵 습도가 높거나 비가 주룩주룩 내리게 되면 꽃에 곰팡이병이 발생하게 되므로 잿빛곰팡이병약을 날씨가 좋은 날을 택하여 살포하되 새순 끝에 진딧물이 달라붙고 있으므로 진딧물약을 혼용하여 살포해야 한다. 곰팡이병이 방제가 안 되면 과실에 버즘처럼 된 딱지가 붙어 수확할 때까지 흔적이 남게 됨을 잊지 말아야 한다. 꽃잎이 거의 다 떨어진 시기에 정상적인 기상이라면 기본적으로 흑점병약을 살포하여 사전 방제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흑점병약은 살포시 살충제와 혼용 하여 살포코자 할 때에는 반드시 농약혼용 가부표를 참고해야 한다.

 한 가지 금물이라면 단 한번에 다종의 농약(3종 이상)을 혼용하여 살포함은 매우 위험스러운 일이라는 것이다. 어떤 병해충을 중점적으로 방제해야 할 것인가를 반드시 사전에 과수원을 예찰하여 정해야 한다. 농약도 오·남용이 되지 않도록 해 생산비를 줄이는 것도 농가경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농업기술센터나 농업기술원에 전화하여 전문지도사와 상담하는 것도 매우 바람직한 방법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47 산지유통센터 건립사업 본격 시동 기획정보과 2008-08-05 3138
1046 감귤 피복재배 지원사업 강화 기획정보과 2008-08-05 3678
1045 감귤 산지유통센터 ‘본궤도’ 기획정보과 2008-07-23 3020
1044 생산량 감소 전망에 계약출하물량 저조 기획정보과 2008-07-17 2936
1043 "유통부문 경쟁력, 대형선과장 중심 상품화에 있다" 기획정보과 2008-07-17 3045
1042 감귤 경쟁력 강화사업 아이디어 공모 기획정보과 2008-07-15 2690
1041 감귤 러시아 시장 공략 기획정보과 2008-07-07 2637
1040 제주농업의 미래 기획정보과 2008-06-25 4422
1039 감귤 기능성 음료 개발 기획정보과 2008-06-25 2952
1038 위기의 하우스 감귤농가 기획정보과 2008-06-24 3425
1037 하우스농가 유류 줄이기 안간힘 기획정보과 2008-06-16 2710
1036 제주감귤, 커피와 만났다 기획정보과 2008-06-13 3599
1035 감귤정책의 새 틀 기획정보과 2008-06-12 3318
1034 제주감귤, 호주 타즈메니아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08-06-04 3650
1033 감귤원 초생재배로 일석이조 효과 거두세요. 기획정보과 2008-06-03 3032
1032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기획정보과 2008-05-30 2635
1031 감귤 피막제 사용 농가자율에 맡긴다 기획정보과 2008-05-28 2882
1030 호우 예비특보... "농작물 이렇게 관리하세요" 기획정보과 2008-05-23 2961
1029 [기고]감귤의 경쟁력은 고품질이다 기획정보과 2008-05-23 3019
1028 [연합뉴스]귤 껍질이 암세포 죽인다 기획정보과 2007-11-12 380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