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미숙감귤 기능성물질 추출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2-12 11:26:34      ·조회수 : 2,758     


<b><font size=5>
미숙감귤 기능성물질 추출
</font><font size=3 color=blue>
하이테크진흥원, 산업화 연구 본격화
</font>
2007년 02월 12일 (월) 제주일보<font size=3>


덜익은 제주산 온주감귤에서 동맥경화 등에 효능이 있는 기능성물질을 추출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에따른 산업화 연구도 본격화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은 11일 미숙감귤 추출물에 다량 함유된 ‘나리루틴(Narirutin)’과 ‘리모시트린(Limocitrin)’ 성분을 순도높게 뽑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리루틴과 리모시트린은 플로보노이드의 일종으로 동맥경화 등의 혈관계 질환이나 비만, 백혈병 개선은 물론 암세포 증식 방지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 온주감귤 미숙과에는 완숙과보다 8∼10배 많은 나리루틴과 리모시트린이 함유되는가 하면 함유량도 그동안 유용성분으로 보고된 헤스페리딘(Hesperidin)과 나린진(Naringin)보다 2∼6배 이상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하이테크진흥원은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천연물 분리정제 장비를 이용한 고순도 정제기술을 개발해 특허출원했으며 효능 입증을 위한 동물 입상실험에 들어갔다.

하이테크진흥원은 또 미숙감귤의 기능성 물질을 산업화하기 위한 연구개발계획을 수립, 첫 단계로 경제성 조사 연구를 수행키로 했다.

이에따라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산업화 공정 개발 연구가 착수될 예정이어서 산업화 진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이테크진흥원은 미숙감귤을 이용해 의약품·식품 소재나 향장품 원료 등의 대량 생산기술이 개발되면 제주감귤의 경쟁력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font>김태형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47 산지유통센터 건립사업 본격 시동 기획정보과 2008-08-05 3094
1046 감귤 피복재배 지원사업 강화 기획정보과 2008-08-05 3628
1045 감귤 산지유통센터 ‘본궤도’ 기획정보과 2008-07-23 2967
1044 생산량 감소 전망에 계약출하물량 저조 기획정보과 2008-07-17 2891
1043 "유통부문 경쟁력, 대형선과장 중심 상품화에 있다" 기획정보과 2008-07-17 2984
1042 감귤 경쟁력 강화사업 아이디어 공모 기획정보과 2008-07-15 2626
1041 감귤 러시아 시장 공략 기획정보과 2008-07-07 2582
1040 제주농업의 미래 기획정보과 2008-06-25 4361
1039 감귤 기능성 음료 개발 기획정보과 2008-06-25 2897
1038 위기의 하우스 감귤농가 기획정보과 2008-06-24 3383
1037 하우스농가 유류 줄이기 안간힘 기획정보과 2008-06-16 2667
1036 제주감귤, 커피와 만났다 기획정보과 2008-06-13 3547
1035 감귤정책의 새 틀 기획정보과 2008-06-12 3271
1034 제주감귤, 호주 타즈메니아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08-06-04 3592
1033 감귤원 초생재배로 일석이조 효과 거두세요. 기획정보과 2008-06-03 2968
1032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기획정보과 2008-05-30 2575
1031 감귤 피막제 사용 농가자율에 맡긴다 기획정보과 2008-05-28 2813
1030 호우 예비특보... "농작물 이렇게 관리하세요" 기획정보과 2008-05-23 2907
1029 [기고]감귤의 경쟁력은 고품질이다 기획정보과 2008-05-23 2971
1028 [연합뉴스]귤 껍질이 암세포 죽인다 기획정보과 2007-11-12 373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