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패드(fad)의 추방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20 09:32:34      ·조회수 : 2,902     


<b><font size=5>
패드(fad)의 추방 </font>

2007년 03월 20일 (화) 제주일보 <font size=3>


김기원 제주도립예술단 예술감독

끝없이 전해지는 갈등과 충돌 소식에, 떠도는 나그네가 되고 싶은 생각이 문득 문득 마음에 자리한다. 저마다 고향과 후손의 미래를 위한 일이라는 그럴듯한 명분을 두고는 있지만 민초들 중에서는 곧이곧대로 받아 들이기를 주저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은 어떤 연유에서일까?

우리민족의 행동을 ‘냄비에 물을 끊는 것’과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멀리 ‘국채보상운동’에서 시작하여 가까운 사례를 든다면 IMF때 전 국민의 ‘금 모으기’ 운동까지, 이를 보는 세계 사람들의 시선은 경악, 바로 그것이었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들의 생활 자세는 나라를 위하여 온몸을 던졌던 일치된 국민 행동은 언제 그랬냐는 듯이 나만을 생각하는 사회로 치닫고 있다.

제주사회도 지금 냄비유형(?)인 패드시책으로 인해 심한 후유의 몸살을 앓고 있다.

패드(fad)는 일시적으로 떴다가 사라지는 유행을 말한다. 사전적 해석은 ‘변덕’이고, 영어에선 ‘craze-, 미치게하다 또는 발광하다’로 역시 반짝 유행을 의미하고 있다.

제주도 ‘패드적 사고‘의 후유증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지금 줄을 이어 그 처방을 기다리고 있다.

너도 나도 돈이 된다 하여 심었고 이제 한미 FTA에 운명이 걸린 감귤, 해마다 홍역 치르듯 차질을 빚는 당근 양파 마늘의 생산과 유통, 유사 축제의 정리 등을 듣다보면 이는 소위 ‘된다는 곳’으로의 쏠림을 막지 못한데서 기인했고 해법은 방황 중이란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지금 우리는 국제자유도시 제주특별자치도를 어떻게 만들고자 생각하고 있는가. 오늘에 주어질 핑크빛 혜택을 위한 계획 수립에만 골몰하고 있지는 않은가? 과연 오늘에 기초를 두고 초석을 다져 먼 훗날 제주를 평화롭고 풍요롭게 번영시킬 대계(大計)를 세우고 있기는 한가?

지금 도민사회는 패드시책 추진의 시행착오 때문에 엄청난 예산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혼란과 갈등에 휩싸여 있다는 사실을 당국은 인식하고 있는가?

유행병처럼 만연한 시책수립과 추진을 감시하고 추방할 열린의식과 혜안이 절실한 시기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47 산지유통센터 건립사업 본격 시동 기획정보과 2008-08-05 3094
1046 감귤 피복재배 지원사업 강화 기획정보과 2008-08-05 3628
1045 감귤 산지유통센터 ‘본궤도’ 기획정보과 2008-07-23 2967
1044 생산량 감소 전망에 계약출하물량 저조 기획정보과 2008-07-17 2891
1043 "유통부문 경쟁력, 대형선과장 중심 상품화에 있다" 기획정보과 2008-07-17 2984
1042 감귤 경쟁력 강화사업 아이디어 공모 기획정보과 2008-07-15 2626
1041 감귤 러시아 시장 공략 기획정보과 2008-07-07 2582
1040 제주농업의 미래 기획정보과 2008-06-25 4361
1039 감귤 기능성 음료 개발 기획정보과 2008-06-25 2897
1038 위기의 하우스 감귤농가 기획정보과 2008-06-24 3383
1037 하우스농가 유류 줄이기 안간힘 기획정보과 2008-06-16 2667
1036 제주감귤, 커피와 만났다 기획정보과 2008-06-13 3547
1035 감귤정책의 새 틀 기획정보과 2008-06-12 3271
1034 제주감귤, 호주 타즈메니아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08-06-04 3592
1033 감귤원 초생재배로 일석이조 효과 거두세요. 기획정보과 2008-06-03 2968
1032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기획정보과 2008-05-30 2575
1031 감귤 피막제 사용 농가자율에 맡긴다 기획정보과 2008-05-28 2813
1030 호우 예비특보... "농작물 이렇게 관리하세요" 기획정보과 2008-05-23 2907
1029 [기고]감귤의 경쟁력은 고품질이다 기획정보과 2008-05-23 2971
1028 [연합뉴스]귤 껍질이 암세포 죽인다 기획정보과 2007-11-12 373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