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채에 짖눌린 ‘제주농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29 15:21:00      ·조회수 : 2,946     


<b><font size=5>
사채에 짖눌린 ‘제주농가’ </font><font size=3 color=blue>

작년말 평균 빚 4834만원 중 사채 808만원…10년새`10배 급증 </font>

2007년 03월 27일 (화) 신정익 기자 <font size=3>


제주지역 농가들의 가구당 부채가 5000만원에 육박한 가운데 일시적인 자금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채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융기관로부터 빌린 채무도 사상처음으로 4000만원을 넘어선 가운데 장기채무의 비중도 지속적으로 늘어 농가경제를 압박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06년도 제주지역 농가경제’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도내 농가당 평균부채 4834만원 가운데 금융기관 빚은 4027만원, 사채는 808만원으로 집계됐다.

금융기관 부채는 전년에 비해 2.9%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4000만원대에 들어섰으며 사채는 전년에 비해 6.7% 감소했다. 이 같은 도내 농가의 사채 비중은 전체 농가부채의 16.7%로 전국평균 509만원에 비해 무려 299만원이나 많은 수준이다.

농가부채에서 사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7년 6.6%에 그쳤으나 2001년 8.4%, 2003년 11.4%, 2004년 13.3%, 2006년 16.7%로 증가했다.

반면 금융기관 부채 비중은 1997년 93.4%에서 2003년 88.6%, 2006년 83.3%로 감소해 대조를 보이고 있다.

도내 농가의 사채 규모는 10년전인 1996년 80만원에 불과했으나 1998년 89만원, 2000년 222만원, 2002년 288만원 등으로 증가한데 이어 2003년 499만원, 2004년 602만원 등으로 급증했다.

농가당 사채규모가 10년새 무려 10배나 증가했다.

금융기관 부채 역시 1995년 730만원에서 1996년 처음으로 1000만원을 넘어 1083만원을 기록한 후 1998년 1781만원, 2001년 2825만원, 2004년 3920만원, 2005년 3912만원에 이어 지난해 처음 4000만원을 웃돌았다.

이처럼 도내 농가의 사채비중이 증가한 것은 2000년대들어 감귤가격 등 농산물 가격이 하락하면서 농가들이 문턱이 높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조달이 쉽지 않아 일시적인 자금융통을 위해 사채를 이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상환기간별 농가부채 현황을 보면 1년 이내로 비교적 단가성 부채인 유동부채는 1097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3.9% 감소한 반면 1년 이상 장기성 부채인 고정부채는 3738만원으로 2.8% 증가하면서 전체 부채 가운데 77.3%를 차지, 부채의 그늘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47 산지유통센터 건립사업 본격 시동 기획정보과 2008-08-05 3094
1046 감귤 피복재배 지원사업 강화 기획정보과 2008-08-05 3628
1045 감귤 산지유통센터 ‘본궤도’ 기획정보과 2008-07-23 2967
1044 생산량 감소 전망에 계약출하물량 저조 기획정보과 2008-07-17 2891
1043 "유통부문 경쟁력, 대형선과장 중심 상품화에 있다" 기획정보과 2008-07-17 2984
1042 감귤 경쟁력 강화사업 아이디어 공모 기획정보과 2008-07-15 2626
1041 감귤 러시아 시장 공략 기획정보과 2008-07-07 2582
1040 제주농업의 미래 기획정보과 2008-06-25 4361
1039 감귤 기능성 음료 개발 기획정보과 2008-06-25 2897
1038 위기의 하우스 감귤농가 기획정보과 2008-06-24 3383
1037 하우스농가 유류 줄이기 안간힘 기획정보과 2008-06-16 2667
1036 제주감귤, 커피와 만났다 기획정보과 2008-06-13 3547
1035 감귤정책의 새 틀 기획정보과 2008-06-12 3271
1034 제주감귤, 호주 타즈메니아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08-06-04 3592
1033 감귤원 초생재배로 일석이조 효과 거두세요. 기획정보과 2008-06-03 2968
1032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기획정보과 2008-05-30 2575
1031 감귤 피막제 사용 농가자율에 맡긴다 기획정보과 2008-05-28 2813
1030 호우 예비특보... "농작물 이렇게 관리하세요" 기획정보과 2008-05-23 2907
1029 [기고]감귤의 경쟁력은 고품질이다 기획정보과 2008-05-23 2971
1028 [연합뉴스]귤 껍질이 암세포 죽인다 기획정보과 2007-11-12 373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