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늘어나는 뱃살 고민 ′감귤′로 해결한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2-28 09:00:54      ·조회수 : 3,179     

늘어나는 뱃살 고민 ′감귤′로 해결한다
색다르게 즐기는 감귤
우리나라 대부분의 국민들은 기능성이 많이 함유된 과일중에 하나로 감귤을 꼽는다. 그러다 현실적으로 감귤을 매일 2개이상 섭취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농촌 진흥청 감귤시험장 연구팀은 감귤의 기능성을 쉽게 섭취하는 방법을 공개했다.

감귤 껍질에는 알맹이에 비해 2~5배 이상 많은 기능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알맹이만 먹고 껍질은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조금만 신경을 쓰면 우리가 생각지도 못한 비타민 덩어리를 먹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그럼 효율적으로 껍질을 먹는 방법은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감귤을 즐기는 방법

우선 부패나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건전한 감귤을 선택한 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는다(세척시 식초 1~2숟가락을 타서 씻으면 효과적).
다음은 감귤을 깨끗한 수건이나 종이타월로 외부에 묻는 수분을 제거한 후 귤껍질 부분을 칼로 +자로 그은 후 벗기고 3~4mm로 잘게 썬다.
감귤 껍질에는 정유(테르페노이드)라고 하는 물질이 분포되어 있는데 이물질은 정유는 공기랑 접촉하기를 좋아해 쉽게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하면서 기능성을 섭취하려면 제거하는것이 좋다.

정유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선 물을 끓인 후 불을 끈다. 대략 수온이 90도씨 내외의 뜨거운 물이 되면 여기에 슬라이스 된 감귤껍질을 20분간 담근다.
물 색깔이 연한 노란색을 띄면서 표편에 약간의 기름 같은 것이 보이면 건져내 찬물에 넣고 식힌후 껍질의 물기를 꽉 짠 후 냉동실에 보관해 이용하면 된다.

먹는 방법은 우선 샐러드나 채소를 먹을때 함께 넣어 먹어도 좋고 그냥 과자처럼 먹어도 좋다. 일정시간 양을 정해놓고 먹을 필요는 없으며 기본적으로 먹는 분량은 귤껍질 2~3개 분량(30g)이상 먹는것이 중요하다. 지속적으로 섭취했을때는 비만억제·고지혈증 예방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늘어나는 뱃살 고민 ′감귤′로 해결한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49 감귤 제값받기 열매솎기에 달렸다 기획정보과 2008-09-17 4018
1048 올해산 감귤 51만 2천톤 예상 기획정보과 2008-09-01 4100
1047 산지유통센터 건립사업 본격 시동 기획정보과 2008-08-05 3424
1046 감귤 피복재배 지원사업 강화 기획정보과 2008-08-05 4049
1045 감귤 산지유통센터 ‘본궤도’ 기획정보과 2008-07-23 3350
1044 생산량 감소 전망에 계약출하물량 저조 기획정보과 2008-07-17 3247
1043 "유통부문 경쟁력, 대형선과장 중심 상품화에 있다" 기획정보과 2008-07-17 3377
1042 감귤 경쟁력 강화사업 아이디어 공모 기획정보과 2008-07-15 2993
1041 감귤 러시아 시장 공략 기획정보과 2008-07-07 3011
1040 제주농업의 미래 기획정보과 2008-06-25 4743
1039 감귤 기능성 음료 개발 기획정보과 2008-06-25 3260
1038 위기의 하우스 감귤농가 기획정보과 2008-06-24 3810
1037 하우스농가 유류 줄이기 안간힘 기획정보과 2008-06-16 2979
1036 제주감귤, 커피와 만났다 기획정보과 2008-06-13 4373
1035 감귤정책의 새 틀 기획정보과 2008-06-12 3635
1034 제주감귤, 호주 타즈메니아주로 수출된다. 기획정보과 2008-06-04 4483
1033 감귤원 초생재배로 일석이조 효과 거두세요. 기획정보과 2008-06-03 3321
1032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기획정보과 2008-05-30 2963
1031 감귤 피막제 사용 농가자율에 맡긴다 기획정보과 2008-05-28 3178
1030 호우 예비특보... "농작물 이렇게 관리하세요" 기획정보과 2008-05-23 332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